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식품 표준개발 및 인증제도 운영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 |
---|---|
주관연구기관 |
한국식품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
연구책임자 | 김은미 |
참여연구자 | 남궁배, 정승원, 심유신, 김종찬, 박선현, 정지윤, 나종희, 이용환, 장윤제, 김아영, 손홍진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7-12 |
과제시작년도 | 2017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000006270 |
과제고유번호 | 1711062191 |
사업명 | 한국식품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
DB 구축일자 | 2020-07-29 |
키워드 | 건조농산물.위생지표.국가표준.전통식품인증.KS인증.Dried vegetables.Sanitary indicator.Korea Standardization.the traditional food certification.KS certification. |
○ 1세부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유통량이 가장 많은 건조과채류로 무청시래기, 무말랭이, 감말랭이, 고구마말랭이를 수집분석을 통해 식품으로 안전한 가공공정단계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제조공정, 품질기준 및 기준규격을 설정에 필요한 기초...
○ 1세부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유통량이 가장 많은 건조과채류로 무청시래기, 무말랭이, 감말랭이, 고구마말랭이를 수집분석을 통해 식품으로 안전한 가공공정단계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제조공정, 품질기준 및 기준규격을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이화학적 품질특성, 중금속함량(3종), 미생물학적 유해물질(일반세균, 대장균, 진균, Bacillus cereus 등), 농약잔류, 이산화황 등을 분석하였으며 추가로 현장조사 현장적용을 통해, 고구마말랭이에 대한 국가 표준규격인 전통식품 표준규격 제정(안) 1건,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의 신규작업 제안서 1건과 무말랭이, 시래기 품목의 전통식품 표준규격 재개정 2건 등 총 4건의 국가·국제규격 개발 작업을 완료하였음
○ 2세부 연구에서는 KS 및 전통식품인증심사 및 관리업무를 수행하였음. 1차연도에는 KS인증심사는 115건, 한국전통식품인증은 258건을 심사하였으며 2차연도에는 KS인증심사는 57건,한국전통식품인증은 307건을 심사하여 연구기간(2년)동안 737건 완료하여 목표치인 700건을 추가 달성함
(출처 : 요약서 4p)
□ Purpose & Contents
○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dried products of agriculture, the fixation of national stan...
□ Purpose & Contents
○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dried products of agriculture, the fixation of national standard specification and supporting small busines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ood certification system
□ Results
○ Study 1: Currently, the dried fruits and vegetables, dried turnips, dried white radish, dried sweet potatoes and persimmon, which are the mostdistributed in Korea,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establishments of safe food processing steps, and were obtained the basic data necessaryfor set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quality and specification standard.
The dried products were analyse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heavy metal levels (3 species), microorganism (general bacteria. E. coli , and B. cereus) and residual pesticides. Through an additional field survey, 1 proposal the traditional food standard specification and 1 proposal for the new work of the International Food Standard Commitee (CODEX) were proposed for the dried sweet potatoes. 2 proposals the traditional food standard specification were proposed for the dried turnips and dried whiteradish.
○ Study 2: KS, the traditional food certification audit and management tasks were carried out. In the first year, 115 KS certification and 258 Korean traditional food certification were examined. In the second year,57 KS certification and 307 Korean traditional food certification were examined. During the study period (2 years), 737 cases were completed.
□ Expected Contribution
○ Contributes to the stable distribution and supply systems of dried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 food service industry
○ Supports ensuring product quality and safety through dissemination of quality assurance system (national standard) suitable for domestic food industry
○ Contributes to the promotion of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exporting strategy of the food industry by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quality competitiveness of the food certified products
(출처 : SUMMARY 6p)
식품 표준개발 및 인증제도 운영을 통한 중소기업 지원
주관연구기관 : 한국식품연구원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책임연구자 :
김은미
발행년월 : 2017-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