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과제명 | ICT산업 중장기전망(2020-2024년) 및 대응전략 |
---|---|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12 |
과제시작년도 | 2019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000029505 |
과제고유번호 | 1711094262 |
사업명 | ICT진흥및혁신기반조성(R&D) |
DB 구축일자 | 2020-10-10 |
4. 연구 내용 및 결과
국내외 거시 환경을 분석한 결과 우선 세계 경제는 높은 불확실성의 지속과 그에 따른 투자 및 교역의 감소로 인하여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2019년에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
4. 연구 내용 및 결과
국내외 거시 환경을 분석한 결과 우선 세계 경제는 높은 불확실성의 지속과 그에 따른 투자 및 교역의 감소로 인하여 점진적으로 악화되어 2019년에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OECD와 IMF 등 주요기관들은 2020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2019년 대비 소폭 반등한 3.0~3.4%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고 중장기적으로 세계경제는 내년을 기점으로 다시 반등할 것으로 기대되나 여전히 중국, 미국, 일본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은 높은 상황이다. OECD와 IMF와 한국은행, KDI 등은 2019년 한국 경제 성장률이 2.0%에서 2020년 경제 성장률이 2.2~2.3%수준으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거시 경제 모형인 Seasonal ARIMA 모형기반으로 ICT 산업의 생산 및 수출을 2024년 12월까지 전망한 결과 ICT 기기생산은 전자부품의 생산 둔화세가 완연하고, 통신 및 방송기기와 영상 및 음향기기는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ICT 서비스 생산은 소폭 둔화되기는 하나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ICT기기 수출은 2018년 이후 다시 정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휴대폰 및 디스플레이 수출 감소세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가트너(Gartner) 자료를 통해 세계 IT 시장 현황 및 전망에 대해 살펴보면 2019년에는 유럽, 아시아 등 대부분의 지역의 경제 둔화로 IT기기, 데이터센터시스템 등 하드웨어 부문의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고, 신규 IT프로젝트도 감소해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전년대비 0.4% 증가에 머물렀다. 향후에는 소프트웨어 및 IT서비스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반으로 연평균(2018~2023)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의 ICT 산업 생산 및 수출 전망에 대한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0년 ICT 산업 생산은 메모리반도체의 수요 회복과 5G 확산에 따른 통신서비스의 회복, 소프트웨어 시장의 안정적 성장으로 전년대비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24년 ICT산업 생산은 소프트웨어 시장의 안정적 성장과 5G, AI, IoT 관련 반도체 및 플렉시블 OLED 패널 등 고부가가치 부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겠으나 중국의 부상으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이 확대되고 해외생산이 증가하면서 ICT기기 시장이 둔화되어 연평균(’20~’24) 1.3%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2020년 ICT 산업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의 재고조정, AI 및 서버용 수요 증가로 반도체 수출이 소폭 회복되고, 5G 스마트폰 및 폴더블 폰 확대로 통신 및 방송기기 시장의 하락세가 둔화되면서 전년대비 6.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0~2024년 ICT 산업 수출은 메모리 반도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폴더블 스마트폰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겠으나 중국업체의 추격으로 수출 확대에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연평균(’20~’24) 1.4%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우리나라 ICT 산업은 구조적으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품목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집중되어 있어 중국 혹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경기변동에 동조하는 경향이 클수밖에 없다. 중국은 2010년 이후로 경제구조를 수출 및 투자 중심에서 내수 및 소비 중심으로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과의 패권경쟁으로 성장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또한 중국은 중간재의 국산화 확대를 위해 집중적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ICT 산업의 기술은 빠르게 진보하고 있어 우리나라 기업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ICT 산업은 수출대상국을 다변화하고 기술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를 할 필요가 있다.
반면 경기변동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반도체의 경우 수축기를 벗어나 회복기 혹은 확장기에 들어선 모습이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즉, IoT, 5G, AI, 클라우드 등의 발달은 우리나라가 주도하고 있는 메모리반도체에 대한 수요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 메모리반도체 시장은 사실상 과점시장으로 수요와 공급의 변동에 따른 가격변동폭이 자동차나 기계류 등의 타산업에 비해 훨씬 크다. 가격변동성이 크다는 것은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저투자를 야기하고 사회적 비효용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정부는 기업의 수출상대국 다변화를 위해 해외진출에 따르는 불확실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해외진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경제적인 무역장벽 뿐 만 아니라 문화 및 제도적인 장벽을 완화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하겠다. 더불어 공급이 비탄력적으로 조정됨에 따라 발생하는 경기변동과 그 짧아지는 주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출처 : 요약문 18p)
4. Research Results
The key results for the production and export prospects of the ICT industry are as follow. It is predicted ...
4. Research Results
The key results for the production and export prospects of the ICT industry are as follow. It is predicted that production of the ICT industry in 2020 will grow 3.2% due to a recovery of the demand for memory semiconductors, a recovery of telecommunication services following the spread of 5G, and stable growth in the software market. From 2020 to 2024, production in the ICT 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due to stable growth of the software market and demand for high value-added components such as 5G, AI, IoT-related semiconductors and flexible OLED panels, but the ICT device market is expected to slow down to an average of 1.3% growth per year due to the rise of China and increase in overseas production.
Exports of the ICT industry are expected to grow 6.6% in 2020 as exports of semiconductors will recover slightly due to inventory adjustment of memory semiconductors and increased demand for AI and servers, and the market for tele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devices will grow due to the expansion of 5G smartphones and foldable phones. Exports of the ICT industry from 2020 to 2024 will maintain a competitive edge around high value-added products such as memory semiconductors, flexible displays, and foldable smartphones, but they are expected to post an annual growth rate of 1.4% due to increased difficulties in expanding exports caused by Chinese companies' pursuit.
(출처 : SUMMARY 22p)
참여 연구원 |
---|
ICT산업 중장기전망(2020-2024년) 및 대응전략
주관연구기관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발행년월 : 2019-1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ICT산업 중장기전망(2020-2024년) 및 대응전략 |
---|---|
연구책임자(Manager) : | 고동환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2019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디스플레이패널,반도체,방송통신서비스,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연구목표(Goal) : | o 본 연구의 목표는 2019년의 국내 정보통신방송기기, 정보통신방송서비스, 소프트웨어 부문의 생산(매출)과 수출입 성과를 진단하고, 국내외 거시 환경과 ICT 트렌드 분석을 기반으로 2020년 단기와 중장기(2020~2024) 전망치를 제시하며, ICT 산업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에 있음 |
연구내용(Abstract) : | o 거시경제 및 ICT산업 현황 분석 - 한국의 ICT산업 구조 변화 추이 분석 - 주요기관의 세계 및 한국경제 전망 분석하고 ICT산업에 영향력이 큰 거시경제적 이슈 도출 - 도출된 거시경제적 이슈의 ICT산업 파급경로 분석 o 계량전망 모형을 활용하여 ICT산업 및 세부품목별 전망치 도출 - 거시 및 ICT 산업 생산 및 수출 데이터 수집하여 ... |
기대효과(Effect) : | o 본 연구의 전망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0년 업무 계획과 K-ICT 전략과 같은 ICT 중장기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o 미·중 무역 분쟁, 보호무역주의 확산, 브렉시트 등 거시경제적 충격들이 ICT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파급경로 분석을 통해 기업들과 정책 담당자들에게 거시 경제 지표 변화에 따른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해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