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은 근본적으로 규모가 영세하고, 우수 인력 확보등에 어려움이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사전 R&D 투자나, 진출국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기술수요 및 수준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우수 아...
해외진출을 고려하고 있는 국내 중소기업들은 근본적으로 규모가 영세하고, 우수 인력 확보등에 어려움이 있어 신제품 개발을 위한 사전 R&D 투자나, 진출국을 대상으로 해외시장 기술수요 및 수준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우수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기술실현에 상당한 재정투자가 요구되며, 장시간이 소요되어 급성장하고 있는 아시아 시장에서 실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에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기술 지원 등을 통한 민관 공동 기술 개발 및 신제품화와 기술 현지화를 통한 해외진출 지원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진출을 희망하고 있는 국내 중소ㆍ중견기업을 위해 동남아시아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해외진출 타겟 국가를 선정하고, 대상국의 기술수요 및 수준을 파악하여, 국내유일의 건설분야 출연연인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우수 보유 기술을 활용하여 동남아 해외건설시장 개척 및 진출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출처 : 서지자료 175p)
Abstract ▼
Domestic SMEs considering overseas expansion are inherently small in size and have difficulty in securing excellent manpower. Ther...
Domestic SMEs considering overseas expansion are inherently small in size and have difficulty in securing excellent manpower.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invest in advance R & D investment for new product development or to grasp the technical demand and level of overseas market. In addition, even with good ideas, significant financial investment is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of technology, and it is very likely to be practical in the fast-growing Asian market. Therefore, it is very urgent that public-private joi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new productization and localization of technology are supported by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target countries for overseas entry, focusing on emerg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for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ishing to enter overseas markets, and grasped the technology demand and level of the target countries. Using the excellent technology of the R & D Center, we sought ways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in South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