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바이오의약품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가이드라인 선진화 연구(1) |
---|---|
주관연구기관 | 씨드모젠 |
연구책임자 | 최영국 |
참여연구자 | 박상진, 박기랑, 신성화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19-10 |
과제시작년도 | 2019 |
주관부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등록번호 | TRKO202000029905 |
과제고유번호 | 1475011123 |
사업명 | 의약품등안전관리(R&D) |
DB 구축일자 | 2020-09-26 |
키워드 | 외래성.바이러스.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품질관리.extraneous.virus.cell therapy.gene therapy.quality control. |
연구목표
○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원료, 원액, 완제의 품질관리시험법 중 공통된 바이러스 오염원성 확인 시험법의 확립 및 수행을 위한 표준방법서 구축
연구 내용 및 결과
1. 특정바이러스 부정 시험법의 구축 및 S...
연구목표
○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원료, 원액, 완제의 품질관리시험법 중 공통된 바이러스 오염원성 확인 시험법의 확립 및 수행을 위한 표준방법서 구축
연구 내용 및 결과
1. 특정바이러스 부정 시험법의 구축 및 SOP 마련: 선행 12172바약안304에서 수행한 9종 바이러스를 제외한 5종바이러스 HHV-4,HHV-6, HHV-7, HHV-8, hCMV 검출법 구축 및 5종 SOP 확립
2. 외래성바이러스 부정시험 (in vitro) 시험법 확립 및 SOP 마련: 4종 검출세포주에서 BVDV, Reovirus 3, BP, BH 바이러스 검출시험법 확립 및 4종 SOP 확립
3. 외래성바이러스 부정시험 (in vivo) 시험법 확립 및 SOP 마련: 성숙마우스, 젖먹이마우스 및 부화란에서의 외래성 바이러스 실시 방법 확립 및 3종 SOP 확립
4. 특정 바이러스 부정 시험법 확인: HeLa PreMCB GMP batch를 검체로 HHV-4,HHV-6, HHV-7, HHV-8, hCMV 바이러스 부정 시험법 확인. 추가적으로, HeLa PreMCB GMP batch를 검체로 in vitro 외래성바이러스 부정시험 및 NGS를 수행하여, 품질분석을 실시하였음.
5. 추가적으로, BHV-1 바이러스를 검체로 BHV-1 특이적검출시험법 밸리데이션, 외래성바이러스 in vitro 시험, NGS를 통한 LOD를 확인하여 시험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였음.
6.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가이드라인 개선(안) 마련 및 검증: HeLa PreMCB cell lysate를 검체로 표준화된 In vitro 및 in vivo 외래성바이러스 부정시험법을 적용하여 의약품 품질분석 결과를 도출하였음. 추가적으로, FDA guidance for industry 2건과 EP와 생물의약품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가이드라인 개선(안)을 비교하여, 가이드라인 개선(안)을 제시함.
(출처 : 요약문 7p)
The project aims were to establish detection methods for common adventitious viral contaminants of component(s), drug substance(s)...
The project aims were to establish detection methods for common adventitious viral contaminants of component(s), drug substance(s), and drug product(s) in the manufacture of advanced therapy medicinal products (ATMPs), including cellular and gene therapy products, as well as analytical method validation to establish standardized SOPs.
For virus-specific QC testing, we established five standardized detection method SOPs utilizing real-time PCR, including those for HHV-4, HHV-6, HHV-7, HHV-8, and hCMV. Nine viral detection methods including HIV-1, HIV-2, HTLV-1, HTLV-2, HAV, HBV, HCV, SV40 and B19 virus were excluded in this project, since previously we have established in the course of 12172바약안304.
For QC testing of in vitro adventitious virus tests, we established four standardized SOPs for the detection of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VDV), reovirus 3, bovine parvovirus, and bovine herpesvirus-1 (BHV-1) using four detector cell types, namely Vero, MRC-5, HeLa, and BT cells.
For QC testing of in vivo adventitious virus tests, we established method and standardized three SOPs to the detection of common adventitious viral contaminant of components in three experimental animals including adult mouse, suckling mouse and embryonated egg.
Confirmation of virus-specific test with test article: Virus-specific QC tests were performed for the detection of HHV-4, HHV-6, HHV-7, HHV-8, and hCMV with extracted genomic DNA from the HeLa PreMCB GMP batch serving as the test article. In addition, in vitro adventitious virus tests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were performed using the same test articl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well-established for GMP testing applications.
Comparison of detection capability according to virus detection methods: To evaluate the detection limitations and capabilities of the tests, the detection limit for BHV-1 was validated for the virus-specific test, in vitro adventitious virus test, and NGS test.
Verification of draft guidance proposal: We compared, “Guidance on the testing for adventitious agents of biological products for human use,” published by the MFDS to the FDA’s, “Guidance for industry,” as well as EP 2.6.16 (“Tests for extraneous agents in viral vaccines for human use”). Then we provided information required for updating the current guide
(출처 : Summary 9p)
바이오의약품 외래성 바이러스 부정시험 가이드라인 선진화연구 주관연구기관 : 씨드모젠 책임연구자 : 최영국 발행년월 : 2019-10
닫기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