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국어입력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연관자료 탐색 (선택한 자료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탐색)
과제명 | 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 연구센터 |
---|---|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이병헌 |
참여연구자 | 소인섭, 정현경, 한윤이, 고우리랑가스와미구나세카란, 구루프라사스파드마나반, 김청운, 김예슬, 김성혜, 류승협, 배현우, 이상석 ...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2 |
과제시작년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등록번호 | TRKO202100018745 |
과제고유번호 | 1711111459 |
사업명 | 집단연구지원(R&D) |
DB 구축일자 | 2022-03-05 |
키워드 | 종양 네트워크.종양 이형성.엑소좀.맞춤형 치료.분자표적.펩타이드 치료제.약물전달.유전체.Tumor network.Tumor heterogeneity.Exosome.Personalized therapy.Molecular target.Peptide therapeutics.Drug delivery.Genomics. |
연구개발 목표
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를 통한 암치료기술 개발하고자 함. 이를 위해
· 암세포와 네트워크의 협력자에 대한 펩타이드 리간드 발굴과 표적지향성 약물전달 기술개발
· 암세포 유래 엑소좀의 특이 단백질 ...
연구개발 목표
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를 통한 암치료기술 개발하고자 함. 이를 위해
· 암세포와 네트워크의 협력자에 대한 펩타이드 리간드 발굴과 표적지향성 약물전달 기술개발
· 암세포 유래 엑소좀의 특이 단백질 발굴 및 기능 연구
· 암조직 및 임상시료(혈액)의 유전체 및 대사체 통합정보 발굴 및 암 맞춤치료기술 개발
· 연구센터 중심의 학내 집단연구 강화 및 제도적 지원 통한 기초의학전공 의사과학자 양성
연구개발 내용
(1) 종양 네트워크 다중표적 약물전달 및 제어기술 개발
· 인터루킨-4 수용체 표적을 통한 항암 나노약물전달 및 Bcl-xL siRNA 전달
· 암세포와 종양관련 마크로파지의 이중표적을 통한 항암치료 및 면역기능 항진
· 비유전적으로 엔지니어링된 암 표적형 CTLs 개발 및 암 면역치료
· PD-L1 블롯킹 펩타이드 개발 및 항암면역치료
· 삼중음성 유방암세포 특이적 결합 펩타이드 발굴 및 항암치료
· 이중 기능성/고감도 표적성을 위한 펩타이드 디스플레이 페리틴 나노케이지 개발
· 암세포 표적형 다중 기능 항암 엘라스틴 유사 단백질(ELP) 폴리머 개발
· 나노약물전달체의 생체 안전성과 독성 분석 및 면역독성 동물모델 구축
(2) 오믹스 바이오마커 발굴을 통한 종양 이형성 극복 및 맞춤치료기술 개발
· 암세포 및 암환자 혈장에서 엑소좀 단백체 분석 통한 종양특이 Del-1 발굴
· 설폰아마이드 항생제를 이용한 엑소좀 분비 억제를 통한 항암치료기술 개발
· 수분통로 단백질 AQP5의 암세포 이동 및 전이 기능 규명과 관련 miRNA 발굴
· 항암치료 폐암 환자(137명)의 혈액 및 수술전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 받은 직장암 환자(105명)의 임상정보와 조직 확보 및 PD-L1 다형성을 비롯한 폐암의 항암제 치료반응 예측 Regulome SNP 발굴
· 타목시펜 내성 유방암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lncRNA 발굴
· 대장암 전이 예측 관련 circulating miRNA-203 개발
· 대장직장암 화학방사선요법 반응성 관련 16종의 miRNA 발굴
· 간암 예후예측용 exosome 액삼생검 마커 개발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 펩타이드 및 내재성 단백질 소재 생체적합성 약물전달체를 개량신약 개발에 활용
· 엑소좀을 이용한 암의 분자표적 발굴, 분자진단, 및 치료에 활용
· 항암제 반응 예측 regulome SNP 및 암 전이 예측 miRNA를 이용한 맞춤치료 및 정밀의학용 액상생검 기술 개발에 활용
· 오믹스 통합 정보를 통한 암 맞춤치료기술 전략 제시 및 HT신기술산업 발전에 기여
(출처 : 요약문 2p)
종양 이형성 및 네트워크 제어 연구센터
주관연구기관 : 경북대학교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책임연구자 :
이병헌
발행년월 : 2021-02
보고서 내 다른 이미지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