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전 던지기를 모두 맞추는 방법은?

2013-03-11

이와 같이 우리 주위에서 예상이나 예측을 해야하는 상황을 접하게 될 때는 대부분 고전적 방법이라 할 수 있는 확률의 도움을 받아 설명하는데, 이런 상황을 확률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라고 주장하는 미국의 과학자들이 등장해 화제가 되고 있다.


양자현상으로 설명하는 동전 던지기

물리과학 전문매체인 피직스월드(Physicsworld)는 온라인 판을 통해 캘리포니아 대학의 안드리아스 알브레히트(Andreas Albrecht)와 다니엘 필립스(Daniel Phillips) 박사가 일상 생활에서 예측이 필요할 때 사용하는 수학적 확률은 양자역학에 의해서 기술되는 물리적 세계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전을 던져 앞뒤를 맞추거나 날씨를 예측하는 일처럼 우리 주변에서 벌어지는 모든 예측 불가능한 일들은 근본적으로 수학적 확률이라기보다는 물리학의 양자(quantum, 量子) 현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동전의 물리적인 현상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동전에 가해지는 힘이나 동전이 떨어지는 높이, 그리고 공기의 저항과 같은 모든 매개변수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면 우리들은 동전의 어느 면이 보일지에 대한 결과를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알브레히트 박사와 필립스 박사는 “동전이 어느 면을 보일지에 대한 예상은 양자역학으로 기술되는 물리 세계의 본질적인 무작위성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어떻게 될 것인지 궁금해 하는 것과 같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모습들은 이제 양자현상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모든 수학적 확률은 양자현상을 적용한 확률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동전 던지기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과 유사



두 사람은 자신들의 주장을 증명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인 당구공 모양의 분자들을 고려했는데, 이들은 끊임없이 서로 충돌을 거듭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이젠베르크(Heisenberg)의 불확정성 원리’에 따르면 당구공 모양의 분자 궤적에는 본질적인 불확정성이 있다. 이는 위치와 운동량에 대한 불확정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간단한 방정식에 당구공의 반경과 충돌하지 않고 갈 수 있는 평균 거리인 평균 자유경로, 그리고 질량 값들을 적절하게 부여하고 이들 불확정성이 공들의 충돌 시에 얼마나 커지는가를 연구했다.
그리고 그 결과 물이나 공기에서의 불확정성은 매 충돌시마다 대단히 커져 이런 유체 특성의 모든 단일 요동이 충분한 양자 역학적 유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이 프로세스는 신경과학자들이 2008년 논의한 것으로서, 열린 뉴런 이온 채널의 요동에 의해 발생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런 요동은 교대로 대부분이 물인 유체 안의 폴리펩티드(polypeptide)라고 불리는 분자들의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다. 브라운 운동을 구동하는 양자 불확정성은 완전히 동전 던지기의 결과를 임의적으로 만들 수 있다.
알브레히트 박사와 필립스 박사는 “누구든지 동전을 던지는 사람은 사실상 슈뢰딩거(Schrodinger)의 고양이 실험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죽어 있을 수도 있고 살아 있을 수도 있는 고양이라기보다는 이 경우의 양자 객체는 동전이기 때문에 최종 상태는 앞면일 수도 있고 뒷면일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양자현상과 수학적 확률의 상관 관계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은 “물리적 양자 세계로부터 완전히 고립된 수학적 확률을 이용하는 기존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단지 하나의 반증만 있으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킹 칼리지 런던대의 데이비드 파피노(David Papineau) 교수는 “이들 연구진이 옳은 것으로 보이지만 그렇다고 그들의 결론이 놀라운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파피노 교수는 “동전 던지기든 태아의 성별이든 모든 의미 있는 확률은 양자적 확률의 발로일 가능성이 높다”며, “사실 우리에겐 가이거 계수기 같은 디바이스가 있는데, 이것은 얼마나 큰 결과가 종종 불확실한 사건에 의해서 발생하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덧붙였다.
알브레히트 박사와 필립스 박사는 자신들이 양자 현상과 고전적인 수학적 확률 간의 상관관계를 정면으로 다룬 최초의 물리학자들이라고 소개하면서 “최근의 ‘영구팽창(eternal inflation)’ 같은 물리적인 프로세스가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것과 같은 포켓 우주를 다수 복제할 수 있다는 일부 이론들을 배제시킬 수 있다”고 주장헸다.
이 같이 주장한 이유에 대해 두 사람은 “양자 파동함수로는 어떤 우주에서 특정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같은 다중우주론이 성립하려면 고전적인 수학적 확률론을 채택해야 한다”며 “수학적 확률론의 근간이 양자현상에 기반을 두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주장은 가능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