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에도 여전히 뜨거운 미국의 배터리 재활용 시장
(2023.01.18)
-
지속 성장 중인 호주 이차전지 배터리 재활용 시장
(2022.05.23)
-
중국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현황
(2021.12.06)
-
배터리 순환경제
삼정 KPMG. Business Focus. 배터리 순환경제,.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의 부상과. 기업의 대응 전략. March 2022. 삼정KPMG 경제연구원 ...
-
다부처 정책 연계성 확보를 통한 순환경제 정책 로드맵 연구 : 전기차 ...
순환경제 정책 수립 시 고려할 중점요소 선정(안) 제4장 국내 부처별 순환경제 관련 정책 추진현황 및 개선요소 도출: 전기차 배터리 부문 사례연구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Dec 5, 2022 ... 폐기물과 관련하여 순환경제 개념 도입이 주요 이슈로 등장.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경우 다양한 방면에서 이슈가 발생하고 있으며, ...
-
국내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현황과 의미
재제조‧재활용하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의 중요성 또한 증가할 것이다. ... 배터리 소재 분야의 자립화에 기여하고, 산업계 순환경제 전환에 이바지할 수.
-
규제개선·지원을 통한 순환경제 활성화 방안 : 플라스틱 열분해 및 사용후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
-
다부처 정책 연계성 확보를 통한 순환경제 정책 로드맵 연구 : 전기차 배터리를 중심으로
(2020)
-
그린 뉴딜이 가속화 시킬 배터리 재활용 산업 성장
(2020-10-29)
그린 뉴딜이 가속화 시킬 배터리 재활용 시장 성장 속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이 2025년까지 연평균 25% 성장하며 배터리 서플라이 체인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폐배터리에 대한 각국 정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배터리는 코발트, 리튬, 니켈 등 원소재 문제로 인해 폐기 및 매립시 환경에 치명적이다. 이 때문에 각국 정부는 배터리를 환경 유해 물질로 지정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산화코발트, 리튬 등을 1% 이상 함유한 유독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
전기자동차용 폐 배터리 재사용(Reuse)
(1) 정의
전기차에서 한차례 사용된 후 분리 배출된 배터리로 잔존 용량 수명이나 건강 상태(State of health; SOH) 등에 따라 원래 목적이었던 전기차용 배터리로 재사용, ESS(에너지 저장 장치), 전동굴삭기, 전동휠체어, 가정용 등의 용도로 재사용하는 기술을 지징함
전기차용 사용 후 배터리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 목적화(Repurposing) 공정이 필요함
(2) 필요성
2015년 파리기후협약 채택에 따라 전기차 보급 확대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 보급은 지속적 성장세 예상
2020년 전 세계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3백만대로, 전년대비 41% 증가하였으며,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2020년부터 11년간 18% 성장하는데, 연평균 280만대 수준이다. 2030년에는 전기차가 판매량의 31%나 차지하게 되고, 연간 판매량은 3,700만대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
전기차 배터리는 통상 5~10년 사용 후 폐기가 되며, 초기 전기차는 2011년 형성되어 2020년 이후 폐배터리 증가 예상됨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029년까지 국내 기준 전기차 폐배터리는 78,981개가 배출될 것으로 추정
-
폐 배터리 재활용(Recycle)
(1) 정의
전기자동차에 사용 후 배터리 수명이 다하여 재사용 할 수 없거나, 불량한 배터리가 배출되는 경우 폐배터리를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재활용하여 제조원가 비중이 높은 양극재용 금속 등을 회수하는 기술
배터리 재활용은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배터리 핵심소재에 대한 자원안보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 핵심 사업임
(2) 필요성
전 세계가 사용하는 이차전지 생산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는 늘어나는 수요에 따른 전지 원료의 사용량도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
리튬이차전지 양극 활물질로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망간, 니켈 등은 전략 금속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 원료 확보가 필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이차전지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의 재활용 및 폐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재활용하여 다시 이차전지 전극 물질로 공급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음
따라서, 리튬이차전지 자원(소재) 확보를 위한 재활용 공정 개발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