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논문 1,016 건
Mohammadhassani, Mohammad(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laya), Nezamabadi-pour, Hossein(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Shahid Bahonar University of Kerman-Iran), Jumaat, Mohd Zami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laya), Jameel, Mohammed(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laya), Arumugam, Arul M.S.(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Malaya)
Computers & concrete
, v.11 no.3
, pp. 237
- 252
, 2013
, 1598-8198
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to predict deep beam deflection using experimental data from eight high-strength-self-compacting-concrete (HSSCC) deep beams. The optimized network architecture was ten input parameters, two hidden layers, and one output. The feed forward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of ten and four neurons in first and second hidden layers using TRAINLM training function predicted highly accurate and more precise load-deflection diagrams compared to classical linear regression (LR). The ANN's MSE values are 40 times smaller than the LR's. The test data R value from ANN is 0.9931; thus indicating a high confidence level.
전광일(한국산업기술대학교), 김제민(한국산업기술대학교), 권혁(한국산업기술대학교), 홍은지(한국산업기술대학교)
정보과학회지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v.28 no.10 = no.257
, pp. 40
- 48
, 2010
, 1229-6821
김동민(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공학부), 이칠우(전남대학교 전자컴퓨터정보통신 공학부)
정보과학회지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v.28 no.5 = no.252
, pp. 15
- 26
, 2010
, 1229-6821
백호기(아주대학교), 정승명(아주대학교), 임재성(아주대학교)
정보과학회지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v.28 no.7 = no.254
, pp. 59
- 69
, 2010
, 1229-6821
안민규(광주과학기술원), 전성찬(광주과학기술원)
정보과학회지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v.29 no.4 = no.263
, pp. 42
- 53
, 2011
, 1229-6821
김영록(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정미현(Faculty of General Studies(Computer Education), CHA University), 김재현(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 v.14 no.3
, pp. 47
- 55
, 2013
, 1598-0170
초록
최근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등장하고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대두되면서 이에 맞는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교육의 도구적 활용 측면에서 스마트기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개개인의 일반적인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활용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강원지역 초등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교사의 87.7%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교사라는 특성변인과 관계없이 일반사용자와 유사한 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이용하게 된 동기에는 혁신성, 유용성, 용이성 등이 작용하였고, 수업에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는 교과목별, 학습형태별, 교수-학습 전개별로 기기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기 사용에 대한 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수업에의 활용도가 함께 높지는 않았다. 이를 개선하여 교육현장에서 스마트기기를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사용자 연수와 함께 교사들이 수업방법을 변화시키기 위한 의지와 태도의 변화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교사 대상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미용(새일초등학교), 배영권(대구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 v.13 no.5
, pp. 77
- 92
, 2012
, 1598-0170
초록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인정받고 있는 스마트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그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스마트교육 관련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교육의 교육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교육 환경으로 구성된 각 영역에서 전문가들의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스마트교육 모형은 21세기를 살아갈 학습자들이 협업과 의사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성을 높이며 바른 인성을 함양하도록 전개되어야한다는 교육 목표 아래,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 교육 환경이 일관성 있게 유기적으로 연결된 체제적 교육 모형이다. 본 연구가 스마트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학교현장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김창걸(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송병섭(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v.18 no.1
, pp. 37
- 45
, 2013
, 1229-3741
초록
뇌졸중 환자들은 운동장애, 감각장애, 인지장애 등 다양한 후유증을 경험하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재활훈련을 받게 된다. 이러한 재활훈련은 병원에서만 이루어 질 때 보다 일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 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가정용 훈련프로그램이 보급되었지만 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적절한 피드백에 제공되어 지는 프로그램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3차원 깊이 측정이 가능한 키넥트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피드백을 제공 받을 수 있는 가정용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할 때만 수행지식(knowledge of performance; KP) 피드백과 결과지식(knowledge of result; KR)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이러한 사용자 주도적인 선택적 피드백은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극대화 시킬 것이다.
한현수(한양대학교 경영대학), 양희동(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김기호(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v.19 no.5
, pp. 117
- 128
, 2014
, 1229-374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부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이 플랫폼기반의 클라우드 방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정부의 지원 기대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비전 수립과 목표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및 효과적 실행 관리체계에 대한 정책적 필요사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중소기업 정보화 현황과 기존 중소기업 정보화지원 방식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하고, 클라우드 컴퓨팅 등 신기술동향을 바탕으로 정부가 중소기업의 정보화와 관련하여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 가에 대한 미션과 범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장기 비전을 도출하였으며 목표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상공인기업과 소기업 등 클라우드 서비스 무상 지원 영역등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기존의 기업중심 정보전략 연구를 정보화지원전략으로 확장하였다는 데 있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중기청에서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에 기본적 가이드라인으로, 그리고 정부의 다른 정보화지원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박기홍(군산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과학과), 노시영(군산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학과)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 v.17 no.1
, pp. 39
- 46
, 2012
, 1229-3741
초록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포렌식 측면의 수사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폰의 성장기에 집어들면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되었고 그중 클라우드 시스템은 개인 정보 및 정보 자산의 공유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사건 발생시 사건에 대한 증거 자료 수집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반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수사 방법은 미흡하여 수사 과정 중 혼동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포렌식 측면의 수사 절차를 제안하여 사건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수사 지원 및 은닉 자료에 대한 증거 수집을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