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I 논문 서비스・AI-Helper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에 대한 문장 분류를 기반으로 AI 요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AI-Helper를 통해 요약, 번역, 용어 설명을 제공합니다.

검색 필터

검색어 선택항목

검색범위

주제분야

  • 203,600
  • 154,489
  • 103,394
  • 49,791
  • 46,142
  • 44,668
  • 31,092
  • 23,780
  • 19,559
  • 17,989
AI-Helper 새창보기
The Effect of Novel Engineering-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on Convergence Attitude of the Gifted Students in Computing Convergence

Ji-Yun Kim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초등정보융합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융합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노벨 엔지니어링 및 영재 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별 인공지능 개념 및 원리를 학습할 수 있는 도서를 선정하여 15차시 분량의 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3회 15차시에 걸쳐서 정보융합영재 학생 10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적용 전-후 동일한 융합 태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융합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 학생의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위한 노벨 엔지니어링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연구주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노벨 엔지니어링 기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정보융합영재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교육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을 설계하였다

AI-Helper 새창보기
Understanding MyData-Based Platform Adoption for SW·AI Education & Training Programs

Hansung Kim (Dept. of Software Engineering, Cyber University of Korea) , Sae Bom Lee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Institute, Sahmyook University) , Yunjae Jang (Software Convergence Education Institute, Sahmyook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는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마이데이터 기반 SW·AI 교육 훈련 플랫폼의 체계적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주요 요소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치 기반 수용모델(Value-based Adoption Model, VAM)에 기반한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SW·AI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 및 PLS-구조모형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투명성과 자기결정권이 지각된 혜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기술적 노력과 보안성이 지각된 위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각된 혜택은 플랫폼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위협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SW·AI 교육 훈련 분야에서 마이데이터 기반 플랫폼의 체계적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주제

본 연구는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마이데이터 기반 SW·AI 교육 훈련 프로그램 운영 플랫폼의 체계적인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I-Helper 새창보기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hick Incubation System Based on IoT

Sejong Lee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Sol Lee (Dept. of Platform Research & Development, Smatii Co., Ltd.)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병아리 부화기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 가지 핵심 구성요소는 IoT 부화기, IoT 서버 시스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다. IoT 부화기는 아두이노 보드와 온·습도 센서, 온·습도 컨트롤러, 환풍기 컨트롤러, 전란기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한다. 온·습도 센서는 IoT 부화기 내부의 온·습도를 측정하여 아두이노 보드의 온·습도 컨트롤러에 전송한다. 또한 WiFi를 통해 온·습도 및 제어 이력 데이터를 IoT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일자별로 환풍기, 전란, 온·습도 자동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IoT 서버 시스템은 부화기에서 데이터를 수신받아 DB에 저장하고, 스마트폰의 요청에 따라 조회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서버를 통하여 이력 데이터를 조회하고, IoT 부화기의 온·습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설정한 온·습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IoT 부화기를 제어한다. 만약 온·습도 데이터가 설정한 범위를 벗어나면 알람 및 긴급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병아리 부화기 시스템은 제조원가를 낮춘 저가형이기 때문에 자립형 양계 농가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주제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의 센서 기능을 기반으로 병아리 부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AI-Helper 새창보기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for Energy Saving with Reinforcement Learning in Industrial IoT Network

Dongyeong Seo (ICT Testing Research Center,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Research Institute) , Kwansoo Jung (Dept. of Fintech, Daejeon University) , Sangdae Kim (Dept. of Medical Information Technology Engineering, Soonchunhyang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IWSN(Industrial Wireless Sensor Network)는 센서, 로봇, 기계 등의 산업 장비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공정 모니터링 및 제어를 통한 산업 자동화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 IoT의 핵심 기술로써 실시간, 신뢰성, 에너지 효율 등 현대 산업환경의 엄격한 요구사항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IWSN에서는 다중 라우팅 경로 설정, 고정적 중복자원 할당 및 비경쟁 기반 스케줄링 등 신뢰적 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활용되지 않는 무선 자원의 낭비는 한정된 무선 자원의 효율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저하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 스케줄링 시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사용되지 않는 할당된 무선 자원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자원 재할당을 통해 전체 산업 네트워크의 에너지 소모를 절약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한 성능평가 결과, 제안 방안은 높은 전송 신뢰성을 유지하면서도 기존 방법에 비해 약 30% 향상된 스케줄링 자원 효율을 보였다. 또한, 불필요한 통신을 줄임으로써 에너지 효율 및 전송지연이 각각 21%, 38% 이상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연구주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인 통신 스케줄링 시, 강화학습의 한 형태인 MAB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통신에 활용되지 않는 할당된 무선 자원들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자원 재할당 및 스케줄링 업데이트를 통해 불필요한 통신을 줄여 전체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도모하였다

AI-Helper 새창보기
The Effects of Squat and Corrective Exercises on Body Composition and Body Shape Balance in Older Adults

Jung-Yeon Cho (Dept. of Healthcare, Youngsan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는 스쿼트 운동과 교정 운동을 통해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노인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적용 및 개선하고자 총 32명의 개별 근관절검사를 실시 후 스쿼트 운동과 교정운동을 12주간 주 2회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운동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신체조성은 골격근량, 기초대사량에서 12주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적 자세 균형은 전면 어깨, 골반의 균형 및 편향성, 좌측 다리 내반슬과 측면의 경추와 흉추, 골반 기울기가 12주 후 유의한 자세 균형을 나타냈다. 동적 자세 균형은 복합 불균형 지수, 과도한 상체 숙여짐, 허리 전만 또는 후만, 한쪽 무릎의 기울어짐과 하향 모두 12주 후 매우 유의한 자세 균형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맞춤형 노인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다양성과 정밀한 분석을 통한 운동처방은 매우 중요하며, 현장에서 실제적 적용을 통해 노인 건강유지 및 증진 연구를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주제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 대상 신체조성 및 체형분석 이후, 대표적인 전신 근력운동인 스쿼트 운동과 교정 운동을 통해 그 자세에 따라 골격근의 분포를 확인하고, 근감소증 예방을 통한 체형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초고령화시대에서 노인의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적용 및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AI-Helper 새창보기
A Study on the VADAMA improvements of latency performance through control message collision avoid in MF-TDMA satellite network

Su-Hoon Lee (Dept. of Budget Planni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defense Technology planning and advancement)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논문은 MF-TDMA(Multi-Frequency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위성네트워크에서 가상할당기반 요구기반 다중접속 기법인 VADAMA(Virtual Allocation Demand Assigned Multiple Access) 기법에서 제어메시지 충돌로 인한 지연시간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위성 네트워크는 전통적으로 모든 네트워크 전송은 긴 지연시간이 제어메시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할당 개념으로 지연시간을 줄인 VADAMA 기법에서 단말의 제어메시지 충돌로 인한 지연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단말을 subnet으로 나눠 순서대로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VADAMA-PTR(VADAMA Periodic Transfer Request)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DAMA 기법들과 지연시간과 데이터 처리율을 Matlab으로 성능분석하여 성능 향상이 있음을 보였다.

연구주제

본 연구는 VADAMA 기법이 가지는 지연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해 NCC의 통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AI-Helper 새창보기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orker Motion 3D Visualization Module Based on Human Sensor

Sejong Lee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논문에서는 휴먼 센서 기반의 작업자 동작 3D 시각화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모듈을 구성하는 3가지 핵심 모듈은 Human Sensor Implementation, Data Set Creation, Visualization이다. Human Sensor Implementation은 휴먼 센서 위치 설정 및 설치와 휴먼 센서를 통한 작업자 동작 데이터 수집 기능을 제공한다. Data Set Creation은 동작 데이터 변환・저장 및 근접 실시간 작업자 동작 데이터 세트 생성과 측정 센서 데이터 및 동작 데이터 세트 처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Visualization은 작업자 3D 모델 시각화와 동작 평가 및 부하 계산 기능, 대용량 처리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작업자 3D 모델 시각화에서는 동작 데이터 세트(Skeleton & Position)를 작업자 3D 모델에 동기화 맵핑하고, 작업자 3D 모델 동작 애니메이션, 작업자 3D 모델과 분석 결과를 조합하여 시각화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휴먼 센서 기반의 작업자 동작 3D 시각화 모듈은 향후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기반 기술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연구주제

본 논문에서는 휴먼 센서 기반의 작업자 동작 시각화 모듈을 설계한다

AI-Helper 새창보기
Research on Computer-Based Convergence Performing Arts -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Performing Arts-

Jin-hee gong (Department of Arts, Chosun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기술이 융복합 공연예술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내 공연예술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연예술과 기술의 적절한 활용방안과 미래 융복합 공연예술 발전방안을 도출하고자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 시작단계로 처음 영상기술을 활용한 공연예술 단계에서 발전된 영상기술의 활용은 홀로그램, 미디어아트, 3D 기법 등으로 발전되었다. 두 번째 단계로 인공지능과 로봇을 활용하여 기술과 예술이 융복합되었다. 인공지능은 음악을 작곡하고 무용을 안무하였으며, 연극 대본을 작성하였다. 또한 로봇이 무대 위에서 인간과 함께 공연하고 또 연주하게 되었다. 세 번째, 가상공간을 공연예술에서도 활용하게 되었다. 기존에 공연장, 무대 공간이 아닌 가상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장소의 공간 연출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연예술은 더욱 다양해지고 전문적이며, 경계를 넘는 상상에서 가능한 일들이 현실로 개발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할 수 있는 창작의 영역, 그리고 표현하는 표현성, 예술성 등을 잃지 않고 지켜나가면서 디지털 및 컴퓨터의 다양한 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융복합을 제안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대비한 미래의 융복합 공연예술인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무대기술 전문인력, AI와 함께 예술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전문 배우, AI를 조작하여 예술을 창작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예술성과 기술성을 복합적으로 갖출 수 있어야 한다.

연구주제

본 연구는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기술이 융복합 공연예술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내 공연예술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였다

AI-Helper 새창보기
A Study on Experiences with the Data-Embeded Exhibition

So-Jeong Park (GSAIM, Chung-Ang University) , Bo-A Rhee (College of Art & Technology, Chung-Ang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는 데이터를 통해 현대 사회의 권력 구조, 사회적 불평등 양상을 탐구한 《히토 슈타이얼-데이터의 바다》의 관람 경험 및 전시 수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고찰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인지된 가치 중 심미적 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인지된 경험 품질 측면에서는 작가, 작품, 전시 주제에 대한 관심이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설문참여자들은 전시만족도(71.4%)와 전시몰입도(70.8%)를 각각 높게 평가했다. 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보면,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관심 수준, 전시 작품 혹은 전시 주제에 대한 관심이 전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시몰입도 또한 전시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나아가, 상술한 전시에 대한 이용 태도는 타인에 대한 전시 추천과 전시 재관람 의사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주제

본 연구는 《히토 슈타이얼─데이터의 바다》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며, 문헌 연구와 정량적 연구방법론을 통해 해당 전시에 대한 관람 경험을 측정하고, 연구 모형과 가설을 중심으로 데이터 기반 전시의 특성을 탐색하여, 관련 특성이 관람 경험, 전시 이용 태도 및 지속적 행동 의사에 미친 영향력에 대한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AI-Helper 새창보기
Improving BMI Classification Accuracy with Oversampling and 3-D Gait Analysis on Imbalanced Class Data

Beom Kwon (Div.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Cultural Intelligence (Data Science Major), Dongduk Women's University)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보행 데이터 기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추정 기술의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BMI 추정 기술에 관해 기존 연구에서는 BMI 분류 정확도가 약 60%에 불과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BMI 분류 정확도가 낮았던 원인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그 원인은 보행 데이터 세트의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언더샘플링(Undersampling) 기법을 사용한 것에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더샘플링 기법 대신 오버샘플링(Oversampling) 기법을 적용해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보행 데이터 기반 BMI 추정 기술에서 인체 측정학(Anthropometric) 특징과 시공간적(Spatiotemporal) 특징의 유용성을 재입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언더샘플링 기법이 적용된 상태에서 인체 측정학 특징과 시공간적 특징의 유용성이 평가됐고, 두 특징을 함께 사용하면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BMI 추정 성능이 낮아진다고 보고됐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 특징을 함께 사용하고 오버샘플링 기법을 적용했을 때 BMI 추정 문제에서 92.92%의 정확도로 SOTA(State-Of-The-Art)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보인다.

연구주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보행 데이터 기반 BMI 추정 기술의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