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ienceON TREND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토픽에 대한 ScienceON 연관 콘텐츠 및 내외부 지식인프라 콘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목록

전고체 전지 대표이미지

워드 클라우드워드 클라우드* ScienceON 논문 데이터에서 추출한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입니다.

관심도 변화관심도 변화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수치는 특정 지역 및 기간을 기준으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 대비 검색 관심도를 나타냅니다.
값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검색어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검색어의 경우 50, 해당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납니다.

대한민국 / 지난 12개월

요약정보요약정보* 웹에서 수집한 요약 정보입니다.

전고체 전해질의 개발 역사

유기 고체 전해질 (Organic solid-state electrolyte) 1973년 이온전도성이 있는 고분자인 PEO가 발견되면서 고체 전해질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PEO계 고분자 고체 전해질은 상온에서 이온전도도가 낮고 (10-6~10-8S/cm)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열악하여 현재는 PCL, PEC, PPC, PEEC 등의 다른 고분자 재료들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의 특성상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 향상이 용이하지 못하여 전해질 구조 내 리튬염의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저분자량 액체 가소제를 투입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온전도도 향상을 진행하고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낮은 기계적 강도와 안정성은 고분자 고체 전해질과 나노 크기 고전도성 무기 입자 충진재를 혼합한 Hybrid 고체 전해질 형태로 개선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Oxide) 무기 고체 전해질의 본격적인 전개는 1992년 LixPOyNz (lithium phosphorus oxynitride; LiPON)의 개발에서 비롯되었는데, LiPON은 리튬금속과의 안정적 접촉이 가능하고 넓은 전기화학적 창 (0-5.5V vs. Li/Li+)을 가질뿐만 아니라 무시할 정도로 낮은 전기전도도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LiPON은 박막형 전고체 리튬전지의 연구개발 시 기준 전해질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낮은 이온전도도 (25℃에서 ~10-6S/cm)로인해 박막 전해질의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었고 깨지기 쉬워서 실제 전지로의 응용이 제한되었다. 1993년에는 Perovskite형 LLTO (Li0.5La0.5TiO3)가 개발되어 2×10-5S/cm 이상의 이온전도도를 보였으며, 1997년에는 LAGP (Li1+xAlxGe2-x(PO4)3)와 LATP (Li1+xAlxTi2-x(PO4)3)를 포함한 NASICON형 무기 고체 전해질이 처음 개발되어 각각 10-4S/cm와 1.3×10-3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보였다. 2007년에는 garnet형 이온 전도체 LLZO (Li7La3Zr2O12)가 처음 보고되었는데, 상온에서 3×10-4S/cm의 탁월한 이온전도도와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보여 전고체 리튬전지에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Sulfide) 2011년에는 도쿄 공업대학의 Kanno 교수에 의해 "리튬 초이온전도체" (LISICON: Lithium Super Ion CONductor) LGPS (Li10GeP2S12)가 상온에서 전해액 수준의 높은 이온전도도 1.2×10-2S/cm를 보이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무기 고체 전해질 개발 역사상 획기적인 일로서, 전기자동차에 실제 적용을 위한 고출력, 고에너지밀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가능성을 열었다. 그 이후 2014년에 다른 황화물 고체 전해질인 LPS (Li7P3S11)가 1.7×10-2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16년에는 다시 Kanno 그룹에서 초이온전도체 Li9.54Si1.74P1.44S11.7Cl0.3을 보고하였는데 이는 현재까지 최고의 상온 이온전도도인 2.5×10-2S/cm를 기록하였다. 복합 고체 전해질 (Hybrid) 2000년대에 들어 무기와 유기 고체 전해질의 장점을 조합하고 단점은 제거하는 형태의 Hybrid 고체 전해질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Hybrid 즉 복합 고체 전해질은 이온전도도를 비롯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고분자 매트릭스에 무기 세라믹 고체 전해질을 충진재로 첨가하는데 이로부터 고분자 결정화도 (polymer crystallinity)가 감소되고, 전극-전해질 계면 친화성이 향상되며 양이온 수송수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출처 : https://battkcs.tistory.com/entry/%EC%A0%84%EA%B3%A0%EC%B2%B4-%EC%A0%84%ED%95%B4%EC%A7%88%EC%9D%98-%EC%A2%85%EB%A5%98-%EB%B0%8F-%EB%B6%84%EB%A5%98

연구자연구자* 관련 논문 수가 많은 발명자입니다.

  • 고명연 Ko, Myung-Yun 빅데이터 기반 금융·수산·제조 혁신 산업수학센터

    TMD, 골관절염, 측두하악장애, Apoptosis, 세포자멸사, Conservative treatment, SCL-90-R, 구강편평태선, 미각, 전기미각측정기

  • 이경민 Lee, Gyeong-Min 경북대학교

    Endophytic fungi, Halophyte, A<TEX>${\beta}$</TEX> plaque, Aplysia, Carex scabrifolia, Contextual fear memory, Fungal diversity, Suaeda japonica, cinnamic acid 4-hydroxylase activity, pyrosequencing

  • 최윤정 Choi, Yun Jung 서울대학교

    3D online shopping mall, Antecedents of brand equity, Brand equity performance, Competitiveness, Country image, Dimensions of brand equity, Technology readiness, 경쟁력, 북한, 상표자산의 선행변수

웹 뉴스웹 뉴스* 구글 뉴스에서 검색한 관련 뉴스입니다.

오피니언오피니언* 구글 뉴스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전문가들의 오피니언으로 적합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KETI 관계자
(GMT)2023-11-18 23:30:00

연구원은 차세대전지의 소재-전지-제조를 아우르는 초격차 전략 분야에서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9월 차세대전지연구센터가 전고체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황화물 고체전해질의 대기 안정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해 관련 내용이 국제 저명 학술지에 게재된 바 있다

출처 : 한-미, 차세대 배터리 선점 위해 '차세대 배터리' 협력 강화 - 인더스트리뉴스
2. KETI 신희동 원장
(GMT)2023-11-18 23:30:00

주요국을 중심으로 미래 공급망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 속에서 차세대 배터리는 글로벌 공급망을 주도할 수 있는 초격차 기술

KETI는 한미 양국 배터리 산업 전반의 R&D 협력 관계를 강화해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확보하는데 주력할 것

출처 : 한-미, 차세대 배터리 선점 위해 '차세대 배터리' 협력 강화 - 인더스트리뉴스
3. 전상은 교수
(GMT)2023-11-08 08:00:00

고체 전해질의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기 이온성 플라스틱 소재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미래전기차용 에너지원으로서 붙이 붙지 않는 전고체배터리를 구현할 수 있을 것

출처 : 경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전상은 교수팀, 불타지 않는 안전한 배터리 ... - 한국강사신문
4. 황경인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GMT)2023-11-20 08:00:00

전기차 시대의 가장 큰 허들은 안전성 문제

전기차 시대로 넘어가기 위해 안전성이 보장되는 전고체 배터리가 중요하기에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할 것

기술적 난제가 있을 수 있겠지만, 경쟁국에 준하는 혹은 그 이상의 투자가 국내에서 이뤄져야 한다

출처 : 삼성SDI, 현대차·전고체로 K-배터리 판도 뒤집는다 - 아시아타임즈
5. 박문정 교수
(GMT)2023-09-18 07:00:00

액체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리튬-황 배터리에 고체 전해질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번 연구가 미래의 리튬 배터리 연구에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출처 : 전고체 리튬-황 배터리 개발···'200회 이상 써도 용량 유지' - 大德网
6. 홍정진 포스코퓨처엠 기술전략실장
(GMT)2023-11-22 08:00:00

최근 전기차 보급 트렌드에 맞춰  저렴한 망간리치, LFP, 고전압 미드니켈 제품을 개발 중

출처 : 포스코퓨처엠, 음극재 '탈중국' 속도 - 매일경제
7.  홍 실장
(GMT)2023-11-22 08:00:00

전고체전지의 경우 전해질이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양극재의 표면 처리 기술이 굉장히 중요하다

고객사의 양산 시점에 맞춰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출처 : 포스코퓨처엠, 음극재 '탈중국' 속도 - 매일경제
8.  홍 실장
(GMT)2023-11-22 08:00:00

천연흑연은 중국 의존도가 높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탄자니아 흑연 광산을 개발하고 있는데, 흑연 가공과 관련해서도 역할을 확대할 것

출처 : 포스코퓨처엠, 음극재 '탈중국' 속도 - 매일경제
9. 차세대배터리연구센터장
(GMT)2023-08-31 07:00:00

이온전도도와 대기안정성을 모두 갖춘 이 고체전해질은 고품질의 전고체배터리를 만들기 위한 혁신 기술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

SK온은 압도적인 미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향후 차세대배터리 분야의 성장 기회를 선점해 나가겠다

출처 : SK온,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핵심소재 개발 - 디일렉
10. KETI 조우석 박사
(GMT)2023-09-07 07:00:00

기술 적용을 통해 운용 비용이 저렴한 일반 드라이룸 혹은 유사 환경에서의 전극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향후 공정 가격 저감에 기여하여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KETI, 황화물 고체전해질 대기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전고체전지 ... - 기계신문
11. 롯데케미칼 관계자
(GMT)2023-11-28 01:45:49

500사이클에서 90% 이상의 용량 보존율을 보여, 기존 코팅이 없는 분리막 대비 약 30% 이상의 내구성 향상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에 적용되는 제조설비에 기술을 활용하면, 차세대 반고체‧전고체 리튬메탈배터리 생산설비 구축 시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 롯데케미칼, 국내 최초 ‘분리막 코팅소재 제조 기술’ 개발 - 한스경제
12. 황민재 종합기술원장
(GMT)2023-11-28 01:45:49

롯데케미칼이 가진 미래소재기술을 통해 배터리 핵심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글로벌 배터리 소재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관련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

출처 : 롯데케미칼, 국내 최초 ‘분리막 코팅소재 제조 기술’ 개발 - 한스경제
13. 조성진 소일렉트 대표
(GMT)2023-11-28 01:45:49

이번 롯데케미칼과의 공동개발을 통해서 고용량 리튬 메탈 음극의 수명특성 향상을 위한 고분자형 전해질 및 이를 응용한 소재 및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앞으로 다양한 협력으로 고안정성 리튬메탈배터리 상용화에 속도를 내겠다

출처 : 롯데케미칼, 국내 최초 ‘분리막 코팅소재 제조 기술’ 개발 - 한스경제
14. 송준호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수석연구원
(GMT)2023-11-06 08:00:00

중국이 배터리에서 우리보다 기술 수준이 높은 것은 아닌데 가격 경쟁력이 크다

우리는 생산성이 높은 게 장점

K배터리는 고성능은 물론 지능형, 나아가 친환경을 실현해야 미래가 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에 비해 2차전지 인력이 부족하다

정부와 지자체, 지방대, 지원 기관이 힘을 모아 2차전지 인프라 확보, R&D, 인력 양성에 적극 나서야 한다

출처 : [관점] “中 65% 차지, 기로에 선 배터리…퍼스트무버 도약으로 돌파해야” - 서울경제 - 서울경제신문
15.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
(GMT)2023-11-15 08:00:00

대중적인 전기차에 알맞아 앞으로 LFP 배터리는 대세가 될 것

출처 :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높은 가격이 ‘골치’…시장서 통할까 - UPI뉴스
16.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
(GMT)2023-11-15 08:00:00

배터리 가격이 전기차 가격의 약 40%를 차지해 큰 영향을 끼친다

저가 LFP 배터리를 쓰는 건 하나의 흐름

LFP 배터리는 재활용이 안 된다는 게 큰 단점

출처 :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높은 가격이 ‘골치’…시장서 통할까 - UPI뉴스
17. 기계공학과 A 교수
(GMT)2023-11-15 08:00:00

소비자들이 가격에 민감한 건 당연하다

전고체 배터리에는 화재 위험성 감소, 주행거리 증가 등 확실한 장점이 있다

가격이 비싸도 장점이 그 이상으로 우수하면 시장에 호소력이 있을 것

출처 :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높은 가격이 ‘골치’…시장서 통할까 - UPI뉴스
18.  박 교수
(GMT)2023-11-15 08:00:00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일본이 단연코 앞서 있다

한국 등 다른 나라들은 고만고만한 수준

도요타는 전고체 배터리 분야에서 한국, 미국 등이 하지 않은 기술을 최초로 개발하고 있다

출처 :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높은 가격이 ‘골치’…시장서 통할까 - UPI뉴스
19. A 교수
(GMT)2023-11-15 08:00:00

일본이 한국보다 전고체 배터리 분야 기술이 앞서 있다고는 하나 아직 초보 단계

양산 모델이 아직 시장에 나오지도 않았다

일본이 우리보다 앞서 있는 건 사실이나 따라잡을 수 없는 격차는 아니다

출처 :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높은 가격이 ‘골치’…시장서 통할까 - UPI뉴스
20. 어우양밍가오(歐陽明高) 칭화대학 교수
(GMT)2023-11-27 08:00:00

중국에서는 2030년 전고체 배터리에 관한 기술이 성숙될 것

출처 : [NNA] 中 전동차 전고체 배터리, 빠르면 2027년 양산화 - 아주경제

논문논문*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논문입니다.
더보기

특허특허*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특허입니다.
더보기

[한국특허]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HYBRID SOLID ELECTROLYTE MEMBRANE FOR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TERY AND ALL SOLID STAT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출원번호 : 10-2019-0032993 ( 2019-03-22 ) | 공개번호 : 10-2019-0113605 (2019-10-08) | 등록번호 : 10-2424995-0000 (2022-07-20) | IPC : H01M-010/0565; H01M-010/0525; H01M-010/42 | 법적상태 : 등록

보고서보고서*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보고서입니다.
더보기

DataONDataON* KISTI DataON에서 제공하는 연구 데이터셋, API 입니다.
DataON

  • 데이터셋데이터셋
  • 2024
  • 해외
Operando micro-beam diffraction to monitor the phas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 cathode grains in all-solid-state batteries
  • 데이터 제공처 : OpenAIRE
  • 생성자 : Jonathan Wright; Martijn VAN HULZEN; Frans OOMS; Theodosios FAMPRIKIS; Marnix WAGEMAKER; Shengnan ZHANG; Swapna GANAPATHY; Qidi WANG
  • 라이센스 : CC-BY-4.0
  • doi : 10.15151/esrf-es-584034784
  • All-solid-state Li-ion batteries are touted to be the battery of the future, providing higher energy densities while being intrinsically safe. However, one of the major challenges is to harvest the full capacity of the electrodes and to maintain this over many charge/discharge cycles. Although it is clear that degradation of the solid-solid interface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poor performance, the underlying degradation mechanism of a large ensemble of electrode crystallites, present in an r
자세히 보기
  • 데이터셋데이터셋
  • 2022
  • 해외
Solid-state lithium battery cathodes operating at low pressures
  • 데이터 제공처 : OpenAIRE
  • 생성자 : Bruce, P
  • 라이센스 : CC-BY-4.0
  • doi : 10.5287/bodleian:avb5pwoed
  • Data were collected in the Bruce Group labs between 2019 and 2021
자세히 보기

공공데이터포털공공데이터포털*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셋, API 입니다.
공공데이터포털

  • 파일데이터파일데이터
  • CSV
  • JSON + XML
  • 교통물류
  • 공공기관
한국교통안전공단_자동차검사 전기자동차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 제공기관 : 한국교통안전공단
  • 수정일 : 2023-08-23
  • 조회수 : 223
  • 다운로드 : 118
  • 2022년 전기자동차(하이브리드 포함) 자동차검사에서 수집된 제작사, 제원관리번호, 차명, 차종, 연식, 제작일자, 최초등록일, 검사일자, 주행거리, 배터리 셀 전압 데이터 개방
자세히 보기

외부자료외부자료* 외부 보고서, 동향, 분석자료입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