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ienceON TREND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토픽에 대한 ScienceON 연관 콘텐츠 및 내외부 지식인프라 콘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목록

Earth observations (Surface monitoring), 북극빙하 대표이미지

Earth observations (Surface monitoring), 북극빙하

2022.10.21

키워드 정의키워드 정의* Wikipedia, Google에서 수집한 이슈 키워드 정의 정보입니다.

해양과 대륙의 지구관측, 특히 지구환경변화 관측 및 과거 지질기록 연구, 지구온난화에 따른 북극 해빙감소와 영향

워드 클라우드워드 클라우드* ScienceON에서 논문 데이터에서 추출한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입니다.

논문논문*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논문입니다.
더보기

[해외논문] Possible effect of boreal wildfire soot on Arctic sea ice and Alaska glaciers

Kim, Yongwon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Alaska, USA) , Hatsushika, Hiroaki (Environment Science Research Laboratory, Central Research Institute of Electric Power Industry, Japan) , Muskett, Reginald R. (International Arctic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Alaska, USA) , Yamazaki, Koj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Earth Science,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v.39 no.19 ,pp. 3513 - 3520 , 2005 , 1352-2310 , Elsevier

[국내논문] 고해상도 DEM을 활용한 로스해 Campbell 빙하의 지반접지선 추정 (Grounding Line of Campbell Glacier in Ross Sea Derived from High-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김승희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덕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현철 (극지연구소 북극 해빙예측 사업단)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3 ,pp. 545 - 552 , 2018 , 1225-6161 , 대한원격탐사학회

[국내논문] TerraSAR-X 위성레이더 오프셋 트래킹 기법을 활용한 스발바르 Uvêrsbreen 빙하의 2차원 속도 (Two-dimensional Velocity Measurements of Uvêrsbreen Glacier in Svalbard Using TerraSAR-X Offset Tracking Approach)

백원경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형섭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채성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원진 (기상청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3 ,pp. 495 - 506 , 2018 , 1225-6161 , 대한원격탐사학회

특허특허*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특허입니다.
더보기

[일본특허] SEA-BOTTOM OBSERVATION SYSTEM

일본(JA) | 공개 | 출원인 : FURUNO ELECTRIC CO LTD; | 출원번호 : JP-0330722 ( 1991-12-13 ) | 특허번호 : JP-0164574 (1993-06-29) | IPC : G01D-021/00; G04G-001/00

[국제특허] DEEP-SEA LOW-TEMPERATURE INVERSE-CONTROL-TYPE OCEAN OBSERVATION BATTERY COMPARTMENT AND DEEP-SEA OCEAN OBSERVATION BATTERY COMPARTMENT

국제(WO) | 공개 | 출원인 : FIRST INSTITUTE OF OCEANOGRAPHY, MNR;BIGBEAR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QINGDAO); | 출원번호 : CN2020/104522 ( 2020-07-24 ) | 공개번호 : 2021/018045 (2021-02-04) | IPC : H01M-002/10(2006.01); H01M-010/42(2006.01); H01M-010/44(2006.01); H01M-010/615(2014.01)

[한국특허]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시스템 및 지구환경 관측자료에 대한 자료제공방법 (system for providing observation data for global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출원번호 : 10-2011-0099403 ( 2011-09-29 ) | 공개번호 : 10-2013-0035128 (2013-04-08) | IPC : G06Q-050/26; G06F-017/40 | 법적상태 : 거절

보고서보고서*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보고서입니다
더보기

외부자료외부자료* 외부 보고서, 동향, 분석자료입니다.

  • 북극 해빙 사진 북극 해빙

    북극 해빙(北極解氷, 영어: arctic ice pack)은 북극해와 그 주변의 해빙이다. 북극 해빙은 가을에서 겨울철에 발달했다가 봄에서 여름철에는 수축하길 반복하며, 가장 크기가 작을 때는 9월 초 무렵으로 겨울철 가장 추울 때에 비해 50% 가까이 줄어든다. 일부는 여름철에도 녹지 않고 다음 해까지 계속 북극해에 떠있는 만년 해빙으로 북극 해분의 약 28%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북극 해빙의 두께는 얇은 쪽이 3 - 4 m, 두꺼운 쪽은 20 m 이상이다.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로 점차 더 많이 더 오래 녹고 있다. 중요성 에너지 균형 효과 해빙의 중요한 효과 가운데 하나는 극지의 열 균형에 미치는 영향이다. 해빙이 바다의 80% 가량을 덮고 있을 때 반사율은 약 60%로 태양광에 의한 열이 지구에 축적되지 않고 다시 빠져나가게 한다. 반면에 해양의 반사율은 10% 정도에 그친다. 해빙은 바닷물 위에 떠서 태양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반사 효과가 더 가중된다. 수문학적 효과 소금물이 얼 때 얼음에는 더 이상 소금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가을 겨울철 북극 해빙이 발달하기 시작하면 바닷물이 함유하고 있던 염분은 보다 깊은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해빙 밑에 있는 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더 짙어지게 되고 밀도가 높은 수괴가 되어 가라앉는다. 이렇게 가라앉은 수괴는 해양심층수의 주요 공급원 가운데 하나이다. 해양심층수의 순환은 기후 모델의 중요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오덴 그린란드해 지역에서 오덴(노르웨이어: odden, 곶)으로 불리는 팬케이크 아이스는 겨울철 그린란드 동부의 빙하 경계인 북위 72–74°에서 발달하기 시작한다. 매우 찬 북극 해류인 얀 마이엔 해류가 흘러들어 오기 때문이다. 겨울이 깊어지면 오덴은 새로운 해빙으로 발달하여 그린란드의 영구 동토와 이어지는 얼음층을 형성한다. 북극 해빙 발달 주기와 변화 북극 해빙에 대한 관측 기록은 20세기 초부터 이루어져 왔지만, 1950년 이전의 기록은 일부 지역에 대한 육안 측정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정확하지 않다. 1970년대 미국의 해양 관측 인공위성인 시샛(1978년)과 님버스 7 (1978–87년) 이후 위성 관측이 이루어져 보다 정확한 해빙 관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987년부터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한 센서를 장착한 위성이 활동하게 되었다. 1947년에서 1999년까지 52년 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북극 해빙은 해 마다 평균 약 3% 씩 감소하였다. 1979년에서 2002년까지 23년 간의 통계에서는 감소율이 −2.5% ± 0.9% 정도였다. 매년 가장 적은 양을 보이는 시기인 9월 초의 변화만 살피면 1979년에서 2011년 사이 32년 사이 북극 해빙의 감소율은 12% 정도이다. 이 기간 중 가장 심하게 줄어든 시기는 2007년으로 4,140,000 km2를 기록하였다. 2012년 북극 해빙은 3,500,000 km2를 기록하여 최소값을 갱신하였다. 대한민국의 면적은 100,410 km2로 2012년 최소기 북극 해빙은 대한민국 면적의 약 35배 정도인 셈이다. 해빙의 양은 면적 뿐만 아니라 두께에 의해서도 결정되는데 예전의 위성 자료로는 두께의 측정이 힘들었지만 최근 측정에서는 두께도 함께 측정되고 있다. 여름철 북극 해빙의 두께 역시 해가 바뀔수록 평균값이 작아지고 있어 "심각한 해빙 손실"을 겪고 있다. 같이 보기 지구 온난화 빙산각주 외부 링크 Global Sea Ice Extent and Concentration (NSIDC) Sea ice extent graphs since 1979 (NSIDC) Sea Ice Index (NSIDC) NOAA Arctic Program "Ice-free Arctic could be here in 23 years" (2007) The Arctic ice sheet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북극 해빙

  • 해수면 상승 사진 해수면 상승

    지구온난화로 대륙 위에 존재하는 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수온 상승에 따른 해양의 열팽창으로 인해 바닷물의 부피가 커져 해수면이 점차 상승하는 현상, 기온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대륙 빙하의 양과 해수의 열팽창 정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온이 높을수록 대륙 위에 얼음형태로 고정되어 있던 담수가 녹아 바다로 흘러가게 되고 해수 역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지구온난화는 바닷물의 양과 부피 모두에 영향을 주어 해수면을 상승시키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해수면상승 (기상학백과)

    출처 : https://www.ntis.go.kr/issuernd/main/issueDtl.do?searchTopicNo=202001170001

  • 미국의 지구관측위성 자료센터 운영 현황(Earth Observation Satellite Data Centers of USA) 사진 미국의 지구관측위성 자료센터 운영 현황(Earth Observation Satellite Data Centers of USA) 2017

    출처 : https://policy.nl.go.kr/search/searchDetail.do?rec_key=SH2_PLC20180217222

  •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관한 종합보고서 발표 사진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관한 종합보고서 발표 2018-03-16

    □ 환경성, 문부과학성, 농림수산성, 국토교통성, 기상청은 「기후변화 관측·예측·영향평가에 관한 통합보고서 2018」을 발표(‘18.2.) ○ 세계 평균 기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RCP* 2.6일 경우 최저 0.3~1.7℃, RCP 8.5일 경우 2.6~4.5℃ 상승 예측 *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RCP) : 온실가스 감축 정도에 따라 RCP 2.6은 지금부터 즉시 온실가스 감축을 수행한 경우, RCP 4.5는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상당히 실현된 경우, RCP 6.0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된 경우, RCP 8.5는 감축 없이 온실가스가 현재 수준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의미 - 북극해 해빙 면적은 RCP 8.5일 때 94%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21세기 중반에 북극해 빙하가 거의 사라질 전망 ○ 이와 같은 기후 변화에 따라 농림수산업, 자연생태계, 수자원, 건강, 산업·경제 활동 등이 영향을 크게 받을 전망 (1) 농림수산업 - 쌀 수확량 및 품종에 끼치는 영향은 RCP 4.5일 경우 쌀 수확량 증가 지역과 감소 지역 간 편차가 커질 가능성이 크며, 쌀 품종이 저하될 전망 - 여름철 고온과 강수량 부족으로 과일 손상 및 착색 불량 등이 나타남 (2) 자연 생태계 - 기후 상승으로 인해 동일본, 북일본의 방치된 대나무 숲으로 인한 지역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피해를 가져옴 - 해수면 상승으로 수산물 산란장 및 먹이, 회유 경로가 변화하고, 수심이 얕은 곳의 조장 및 간석지 분포 지역 감소 (3) 수자원, 자연재해 - 강수량 및 형태 변화 및 산지가 많은 일본의 하천 수량이 크게 변화될 전망 - 집중호우의 증가로 인한 산사태 증가 및 이에 따른 다량의 토사가 하류로 흘러 큰 범람을 조장 (4) 건강, 산업·경제 활동, 국민 생활·도시 생활 - 기록적 폭염으로 인한 일사병 사망자 수 증가, RCP 8.5의 경우 2031~2050년 일사병 응급환자가 동일본 북쪽에서 2배 이상 증가 할 전망 - 태풍의 강도 증가로 제조업, 상업, 건설업 등 산업 내 심각한 피해를 끼칠 우려 - 세계 각지의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이 일본 국내 산업에 미칠 전망 < 기후 변화가 미치는 영향 > ○ 일본 정부는 처음으로「기후변화 영향에 관한 적응계획」을 각료회의에서 채택하였고, 농업 지원 서비스 및 재해위험 예측· 평가 서비스 등 기후 변화를 고려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음 < 기후 변화를 고려한 관련 사업 >

    출처 :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33161&menuNo=200004

  • 「북극 연구계획(2017-2021)」 발표 사진 「북극 연구계획(2017-2021)」 발표 2017-01-13

    □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의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는 향후 5년간 북극연구지원을 위한 북극연구계획 (2017-2021)**을 발표 (‘16.12.) * IARPC(Interagency Arctic Research Policy Committee)는 14개 연방기관과 부서로 구성되어, 북극연구위원회, 알래스카 주지사, 북극 주민과 협의하여 계획 수립 ** The Arctic Research Plan 2017-2021 ○ 최근 알래스카 등 미국 북극 지역의 기후적·환경적·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생태계와 주민 거주지의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 개발역량이 필요 ○ 북극연구계획(2017-2021)은 알래스카, 북극, 지구에 대한 정부 정책 방안 개발을 위해 향후 5년간 수행될 연구의 목적 등을 제시 - (건강·삶의 질) 인간, 야생, 환경, 기후 간 관계 조사 - (대기) 수증기, 강우, 에어로졸, 가스 등 북극 대기 구성변화와 체계 이해 - (해빙) 해빙의 두께, 총량 부피 변화를 지역 및 시간대별로 측정 - (해양생태계) 생태서식지의 발전과 유지 요인 파악 < 북극 연구 계획(2017-2021) 목적 > 연구 목적 세부 내용 건강 및 삶의 질 북극 지역 거주민의 건강 결정 요인 및 삶의 질 향상 대기 북극 대기 구성의 변화 과정과 체계 이해 및 지표 에너지 수지 변화 평가 해빙 북극의 해빙 변화 및 예측 해양 생태계 북극 해양 생태계의 구조와 기후 시스템에 미치는 역할 빙하·빙모·그린란드 빙상 빙하, 빙모, 그린란드 빙상의 질량 변화가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 및 예측 영구동토* 영구동토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이 변화가 생태계, 사회기반시설, 기후에 미치는 영향 지표 및 담수 생태계 북극지역의 지표 및 담수 생태계 상향 해안 재해 방지 해안 거주지의 기후변화 대응력 강화 및 해안지역 자연 및 문화적 자원 관리 개선 환경 정보 정책 결정을 위한 환경 지식 습득 * 섭씨 0도 이하의 온도를 최소 2년간 유지한 토양 ○ 추진전략으로 범학제적 연구, 장기관측, 지역주민 참여촉진, 국제협력 등을 제시 - 범학제적 기초연구와 응용연구를 지원하고 보다 광범위한 차원 연구에 기반을 둔 모델링과 통합 촉진 - 효율적 데이터 제공을 위해 북극 및 생태계에 대한 장기적 관측과 연구 지속 - 지역 지식에 능통한 북방 거주자를 연구에 참여 - 북극 연구를 강화하고, 사회기반시설과 배송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국제협력 촉진 □ 북극연구정책위원회(IARPC)는 지식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을 위해 웹 플랫폼인 IARPC Collaboration을 구축하여 다양한 구성원의 참여를 독려 < IARPC Collaboration 웹페이지 >

    출처 : 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30641&menuNo=200004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