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ienceON TREND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토픽에 대한 ScienceON 연관 콘텐츠 및 내외부 지식인프라 콘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목록

저궤도위성통신 대표이미지

키워드 정의키워드 정의* Wikipedia, Google에서 수집한 이슈 키워드 정의 정보입니다.

통상의 정지위성궤도(3만 6000km)보다도 낮은 수십 개의 궤도 위치에서 수십 개의 저궤도 위성(LEO : low earth orbit satellite)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위성통신 저궤도위성통신은 지구상공 700~2000km 저궤도(LEO : low earth orbit)에서 다수의 위성을 배치, 지상에서 휴대단말기로 통신함으로써 세계 어디서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GMPCS(범세계 위성휴대통신서비스)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개인휴대통신 무선 데이터통신 등에 지원되는 주변통신시스템이다. 거리가 멀어 전파왕복에 따른 통화지연이 있다는 정지궤도위성의 단점을 보완해준다. 또한 저궤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영역이 거의 없고, 전파지연시간이 짧기 때문에 지연이 적은 자연스러운 전화(통신)가 가능하며, 전파 손실이https://www.kari.re.kr/mecsearch/search.do?kw=%EC%A0%80%EA%B6%A4%EB%8F%84 적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ㆍ경량화가 용이하다. 또한 전 세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해외로 들고 나가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저궤도 위성통신 프로젝트들은 고도, 사용 주파수 , 서비스 종류에 따라 시스템 구성이 조금씩 다르다. 저궤도 위성통신시스템에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서비스는 빅 LEO로 분류되는 위성이동통신시스템들이다. 빅 LEO는 음성, 데이터, 팩스, 호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어, 현재의 이동전화시스템의 서비스권을 지구 전체로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궤도 위성통신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구의 자전속도와 같은 정지궤도 위성과는 달리 하루에 지구 주위를 13~14회 돌기 때문에 여러 개의 인공위성 이 필요해, 지구 전체를 서비스권으로 하려면 적게는 수십 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의 위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위성의 수명도 정지궤도 위성에 비해 줄어들게 되어, 위성통신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위성을 발사해 수명이 다한 위성과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위성통신시스템을 구축하는 데는 막대한 비용이 요구된다. 3만 6000km 상공에 떠 있는 정지위성 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지상에서 발사된 전파가 위성의 중계기를 거쳐 다시 상대편 지구국에 도달하기까지 7만km를 여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약 0.5초정도의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그러나 저궤도 위성의 경우에는 정지위성보다 훨씬 낮은 500~1만km 고도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통화지연 현상이 훨씬 덜해 자연스러운 통화가 가능하다. 1990년대 말부터 전 세계를 단일통화권으로 연결하려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이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로럴과 퀼컴의 글로벌스타 , 모토로라의 이리듐 등이 있다. 그러나 저궤도 위성통신 프로젝트는 사업 초기와 달리 사업성 판단 실패로 서비스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글로벌스타는 한국의 데이콤을 포함해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중국 등지의 통신사업자들이 공동출자한 컨소시엄으로 세계 20여 개 지역에 위성 지구국을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 4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하였다. 한국의 SK텔레콤이 참여했던 이리듐은 1998년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경영난을 겪어오다가 99년 8월 미국 법원에 파산신청을 내면서 파산위기에 몰렸다. 그 뒤 우여곡절 끝에 이리듐 새틀라이트가 2000년 12월 이리듐의 자산 일체를 헐값에 인수하였다. 이리듐 새틀라이트는 2001년 3월 석유 시추선과 화물선 등 오지의 고객에 초점을 맞추고 통화료를 대폭 인하해 1년 만에 이리듐 위성 이동통신서비스를 재개하였다. SK텔레콤은 2001년 사업권을 반납하였다. 한편 한국통신(KT)이 참여한 1만 355km 높이의 중궤도 위성이동통신 시스템인 아이코(ICO)는 지난 2001년 6월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2768&cid=43667&categoryId=43667

워드 클라우드워드 클라우드* ScienceON 논문 데이터에서 추출한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입니다.

관심도 변화관심도 변화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수치는 특정 지역 및 기간을 기준으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 대비 검색 관심도를 나타냅니다.
값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검색어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검색어의 경우 50, 해당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납니다.

대한민국 / 지난 12개월

웹 뉴스웹 뉴스* 구글 뉴스에서 검색한 관련 뉴스입니다.

오피니언오피니언* 구글 뉴스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전문가들의 오피니언으로 적합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 담당
(GMT)2024-11-20 08:00:00

SKT의 기술력과 서비스 혁신을 통해 재난이나 응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고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앞으로도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노력을 지속할 것

출처 : SKT, 저궤도 위성 기반 재난 통신 기술로 전파방송기술대상 장관상 수상 - SK텔레콤 뉴스룸
2.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신원재 교수
(GMT)2025-01-10 08:00:00

유니캐스팅과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은 기존 위성 네트워크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성과 저궤도 위성 통신에서 계산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낮추며 통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함으로써 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구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출처 : 고려대, 세계 최초 6G 저궤도 위성 통신을 위한 유니-멀티캐스팅 동시 전송 기술 개발 - 한국대학신문
3.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이종식 전무
(GMT)2025-01-09 08:00:00

군 통신체계에서 이동통신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6G 기술을 지상 네트워크뿐 아니라 위성 통신까지 확장 적용하여 군 통신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것

출처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핵심기술 개발 업무협약 체결 - Korea IT Times
4. LIG넥스원 C4I연구소 김도경 소장
(GMT)2025-01-09 08:00:00

5G와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민군 협력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LIG넥스원의 군 통신 역량에 KT의 상용 이동통신 핵심 기술을 접목하여, 더 빠르고 안전한 국방망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

출처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통신위성 핵심기술 개발 업무협약 체결 - Korea IT Times
5. 성상엽 인텔리안테크 대표
(GMT)2024-11-20 08:00:00

이번 테스트를 통해 인텔리안테크의 전자식 평판 안테나가 자율운항선박의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어 기쁘다 민간 및 국방 등 다양한 시장에서 저궤도 네트워크를 활용한 혁신적인 평판 안테나 솔루션으로 시장을 선도하겠다

출처 : 인텔리안테크, '저궤도 위성 통신' 활용 자율운항선박 해양 실증 테스트 - 전자신문
6. HD현대중공업 관계자
(GMT)2024-11-20 08:00:00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를 활용한 이번 자율운항 시스템 실증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이를 통해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자율운항 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

출처 : 인텔리안테크, '저궤도 위성 통신' 활용 자율운항선박 해양 실증 테스트 - 전자신문
7.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
(GMT)2025-01-09 08:00:00

이미 군통신체계에서 이동통신 기술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KT는 이번 협력을 통해 지상 네트워크 뿐 아니라 위성 통신까지 6G 기술을 확장 적용해 군 통신체계의 진화 방향을 보여줄 것

출처 : KT-LIG넥스원, 민·군 겸용 저궤도 위성 기술 개발 맞손 - 뉴시스
8. 국립전파연구원 관계자
(GMT)2024-11-06 08:00:00

스타링크는 3종의 단말기 모델을 적합성 평가를 받아 시장에 출시하고자 한다 행정예고 기간이 끝나면 과기정통부의 자체 규제 심사,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사를 받게 될 것

출처 : 스타링크 "韓 저궤도 위성통신 가입자 5년간 7만명"…새 시장 열린다 - 네이트 뉴스
9. LG유플러스
(GMT)2024-11-06 08:00:00

스페이스X 외에도 원웹, 텔레샛, 아마존 등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2030년이 되면 저궤도에 수만개 이상의 통신 위성이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스타링크 "韓 저궤도 위성통신 가입자 5년간 7만명"…새 시장 열린다 - 네이트 뉴스
10. 김영섭 KT 대표
(GMT)2024-11-03 07:00:00

앞으로 6G 시대에는 지상 네트워크와 위성 네트워크의 공존이 강조될 것

KT는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을 대표하는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국내 6G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을 선도하겠다

출처 : KT, KAI와 손잡고 ‘6G 저궤도 위성 사업’ 나선다 - 경향신문

논문논문*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논문입니다.
더보기

[국내논문] 셀룰러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s in Cellular-Based Low Earth Orbit Satellite Communications)

신재승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 황유선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 배형득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 신재욱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 오성민 (공간무선네트워킹연구실)
전자통신동향분석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38 no.2 ,pp. 1 - 11 , 2023 , 1225-645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특허특허*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특허입니다.
더보기

[미국특허] Optimization of communications in a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network

미국(US) | 등록 | 출원인 : Cisco Technology, Inc.; | 출원번호 : 17390445 ( 2021-07-30 ) | 특허번호 : 11800422 (2023-10-24) | 등록번호 : 11800422 (2023-10-24) | IPC : H04B-007/185(2006.01); H04W-036/30(2009.01); H04L-045/50(2022.01)

[한국특허] 군집 저궤도위성 네트워크의 통신경로 설정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communication path of low earth orbit satellite constellation networks)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국방과학연구소; | 출원번호 : 10-2023-0047202 ( 2023-04-11 ) | 공개번호 : 10-2024-0151338 (2024-10-18) | IPC : H04L-045/00; H04L-045/036; H04W-084/06 | 법적상태 : 공개

[한국특허] 저궤도 위성 및 무인 비행체에 기반하는 해상 통신 시스템 (MARIN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OW ORBIT SATELLIT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한국(KO) | 등록 | 출원인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출원번호 : 10-2020-0109438 ( 2020-08-28 ) | 공개번호 : 10-2021-0064032 (2021-06-02) | 등록번호 : 10-2419238-0000 (2022-07-06) | IPC : B60L-053/12; B60L-053/30; B64C-039/02; H04B-007/185 | 법적상태 : 등록

보고서보고서*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보고서입니다.
더보기

COMPAS 핵심 경쟁자 탐색핵심 경쟁자 탐색* KISTI COMPAS에서 제공하는 핵심 경쟁자 분석 정보입니다.

특허 분석 정보에서 검색식 (ipc:(H04B*)) AND pd:[2020-03-19 TO 2025-03-19] 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COMPAS 분석결과 보기

외부자료외부자료* 외부 보고서, 동향, 분석자료입니다.

동영상동영상* 관련 Youtube 영상 자료입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