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cienceON TREND 최신 과학기술 트렌드와 토픽에 대한 ScienceON 연관 콘텐츠 및 내외부 지식인프라 콘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목록

핵융합에너지 대표이미지

키워드 정의키워드 정의* Wikipedia, Google에서 수집한 이슈 키워드 정의 정보입니다.

핵융합 발전은 핵융합 반응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입니다. 핵융합 과정에서는 두 개의 가벼운 원자핵이 결합하여 더 무거운 핵을 형성하면서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이 에너지를 활용하도록 설계된 장치를 핵융합로라고 합니다. 핵융합로에 대한 연구는 194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2025년 현재 긍정적인 반응에 도달한 장치는 없지만 아직까지 순수 전력에 도달한 장치는 없습니다. 핵융합 공정에는 플라즈마 상태의 연료와 충분한 온도, 압력, 밀폐 시간을 갖춘 밀폐된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로슨 기준이라고 합니다. 항성핵에서 가장 일반적인 연료는 가장 가벼운 동위원소인 수소(프로튬)이며, 중력은 핵융합 에너지 생산에 필요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제안된 핵융합로는 로손 기준을 가장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중수소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사용하여 DT 핵융합을 수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헬륨 핵과 에너지가 있는 중성자가 생성됩니다. 대부분의 설계는 연료를 약 1억 켈빈까지 가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필요한 압력과 감금 시간의 조합은 생산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원자로는 순 플라즈마 전력과 순 전기 생산량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의 손익분기점을 달성해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핵융합 연료는 석탄보다 에너지 밀도가 천만 배나 높지만 삼중수소는 반감기가 12.3년밖에 되지 않아 지구상에서 극히 희귀합니다. 따라서 구상 중인 핵융합로를 가동하는 동안 리튬 번식 블랑켓에 중성자 플럭스를 가하여 연료 주기를 완료하기 위해 삼중수소를 생성해야 합니다. 동력원으로서 핵융합은 핵분열에 비해 여러 가지 잠재적 이점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고준위 폐기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점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문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 챔버, 특히 첫 번째 벽을 저하시키는 중성자 방사선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핵융합 연구는 자기 감금과 관성 감금 접근법이 주를 이룹니다. MCF 시스템은 1940년대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처음에는 Z-핀치, 스텔라레이터, 자기 미러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토카막은 1960년대 후반 소련의 실험이 검증된 이후 MCF 설계를 지배해 왔습니다. ICF는 1970년대부터 핵융합 폭발의 레이저 구동에 초점을 맞춰 개발되었습니다. 두 설계 모두 프랑스의 ITER 토카막과 미국의 국립이그니션시설(NIF) 레이저를 중심으로 대규모로 연구 중입니다. 연구자들과 민간 기업들은 더 저렴한 접근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설계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안 중 자화 표적 핵융합과 새로운 변형 스텔라레이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D%95%B5%EC%9C%B5%ED%95%A9_%EB%B0%9C%EC%A0%84

워드 클라우드워드 클라우드* ScienceON 논문 데이터에서 추출한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입니다.

관심도 변화관심도 변화

시간 흐름에 따른 관심도 변화

수치는 특정 지역 및 기간을 기준으로 차트에서 가장 높은 지점 대비 검색 관심도를 나타냅니다.
값은 검색 빈도가 가장 높은 검색어의 경우 100, 검색 빈도가 그 절반 정도인 검색어의 경우 50, 해당 검색어에 대한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0으로 나타납니다.

대한민국 / 지난 12개월

연구자연구자* 관련 논문 수가 많은 발명자입니다.

  • 박찬 Bak, Chan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물리탐사, Fusion, Thermal energy, Underground storage, 단열재, 에너지저장, 열에너지, 융합, 지하저장, 태양열/폐열

  • 임창헌 Lim, Chang Heon 부경대학교

    cognitive radio, OFDM, cooperative spectrum sensing, energy detection, spectrum sensing, Cognitive Radio, Energy Detection, fusion rule, ITU-R P.526, power spectrum

  • 구대서 Koo, Daeseo 한국원자력연구원

    Hydrogen isotope, 조사후시험, 수소동위원소, 핵융합, Hydriding, Nuclear fusion, Metal hydride, 수중시험, 지르코늄 코발트, 핵연료봉

웹 뉴스웹 뉴스* 구글 뉴스에서 검색한 관련 뉴스입니다.

오피니언오피니언* 구글 뉴스에서 자동으로 추출한 전문가들의 오피니언으로 적합하지 않은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이장우 대전시장
(GMT)2025-02-14 08:00:00

인공지능(AI)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전력 수급 문제가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핵융합에너지는 AI 시대 전력 수급의 핵심 에너지원이 될 것

출처 : "美 핵융합 실험장비 문 활짝"···대전-제너럴아토믹스, 지자체 최초 '맞손' - 헬로디디
2. 이창윤 과기정통부 차관
(GMT)2024-11-22 08:00:00

ITER 사업 참여를 통해 확보한 핵융합로 핵심 기술과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다가올 핵융합 실증로 건설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것. 지난 7월 22일 수립한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을 차질없이 수행해 핵융합에너지 실현이 꿈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산업육성 등 정책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

출처 : 한국, 핵융합에너지 세계 주도권 선점했다…핵심 부품 제작·조달 완료 - 전자신문
3. 태재미래전략원 관계자
(GMT)2024-11-29 08:00:00

우주 태양광과 핵융합 경쟁에서 미국이 중국에 밀리면 동맹국의 에너지 공급망을 보호하기 힘들어지고, 이는 자연스럽게 미국의 영향력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우주 태양광과 핵융합은 앞으로 위성항법장치(GPS)를 뛰어넘는 엄청난 파급력을 가질 것. 지금은 명실상부한 기술경제(techno-economy) 시대로 퀀텀 점프식 기술 도약이 경제 생태계를 순식간에 바꿔 놓을 수 있다. 정치와 정부, 연구자는 이런 기술의 궁극적 사명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

출처 : 美·中 기술패권 '최후의 전장'은 우주 태양광과 핵융합 - 한국경제
4. 최원호 카이스트 교수
(GMT)2025-04-01 09:00:00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는 우리나라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조건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10년 정도 될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공학적으로 굉장히 어려움이 많이 있다. 그 10년 동안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결정된다. 공공과 민간의 협력이 성공의 지름길이고,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물꼬를 터 주면 성공의 열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 도입해야"…민·관, 핵융합에너지 놓고 '한목소리' - 네이트 뉴스
5.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부원장
(GMT)2025-04-01 09:00:00

지금 생각하기에 굉장히 도전적인 부분들이 있지만, 최대한 노력을 해서 핵융합로 설계를 5년 내에 완료하고 연소 플라즈마 운전을 5년 내에 실증하고 그 이후에는 빠르게 전력 형성에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들을 시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기존에 공공 주도로 하고 있던 것에 민간과 새로운 기술 등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다.

출처 : "한국형 혁신 핵융합로 도입해야"…민·관, 핵융합에너지 놓고 '한목소리' - 네이트 뉴스
6. 울산과학기술원(UNIST) 원자력공학과 윤의성 교수
(GMT)2025-04-17 05:21:13

실제 이 알고리즘으로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중성입자빔 시뮬레이터를 3차원으로 확장했고, 광학 진단 장비의 3차원 광선 경로 분포 시각화, 3차원 자기장 섭동 물리 분석 등에도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알고리즘은 중성입자빔 추적뿐만 아니라 V-KSTAR 전체의 3차원 확장을 위한 핵심 기술

출처 : UNIST "게임기술 접목해 핵융합 시뮬레이션 속도 15배 향상" - 연합뉴스
7.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강인제 팀장
(GMT)2025-02-26 08:00:00

이 실험로에서 수소 함량이 높은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로 1.5kW정도의 전력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플라스틱이나 나무, 오일슬러지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다만, 경제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다. 기후변화나 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무배출이 필수인데, 여기에 딱 맞는 기술이 플라즈마, 플라즈마는 기존대비 10배 정도의 효율을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핵융합연, 3천도 짜리 플라즈마로 플라스틱 태워 수소 생산 성공…전력화도 가능 - 지디넷코리아

논문논문*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논문입니다.
더보기

[국내논문] 한국핵융합에너지 연구원 플라즈마 물성 데이터 연구 현황

송미영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플라즈마기술연구소 플라즈마물성데이터센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23 no.1 ,pp. 14 - 19 , 2022 , 1975-3667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국내논문] 핵융합 공정주기에서의 생산 계획 최적화 (Mathematical Modeling of Scheduling Problems for the Fusion Fuel Cycle)

이서영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하진국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 이인범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의수 (동국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8 no.4 ,pp. 596 - 603 , 2020 , 0304-128x , 한국화학공학회

특허특허*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특허입니다.
더보기

[한국특허] 유기체와 무기체의 합성가스와 플라즈마와 핵융합을 복합하여 고효율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시스템 (omitted)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이 석 규; | 출원번호 : 10-2021-0015310 ( 2021-02-01 ) | 공개번호 : 10-2021-0022011 (2021-03-02) | IPC : G21B-001/05; F01D-015/10; H05H-001/46 | 법적상태 : 거절

[한국특허] 테슬라코일을 방전시켜 플라즈마를 생성시키고 핵융합하는 시스템 (omitted)

한국(KO) | 공개 | 출원인 : 이 석 규; | 출원번호 : 10-2021-0017496 ( 2021-02-05 ) | 공개번호 : 10-2021-0021497 (2021-02-26) | IPC : G21B-001/05; H01F-007/06; H05H-001/46 | 법적상태 : 거절

보고서보고서*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보고서입니다.
더보기

동향동향* ScienceON에서 제공하는 관련 동향입니다.
더보기

COMPAS 핵심 경쟁자 탐색핵심 경쟁자 탐색* KISTI COMPAS에서 제공하는 핵심 경쟁자 분석 정보입니다.

특허 분석 정보에서 검색식 (ipc:(G21C*)) AND pd:[2020-04-21 TO 2025-04-21] 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COMPAS 분석결과 보기

DataONDataON* KISTI DataON에서 제공하는 연구 데이터셋, API 입니다.
DataON

  • 데이터셋데이터셋
  • 2022
  • 국내
ICP 13.56 MHz 아르곤 플라즈마 분광 물성
  • 데이터 제공처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생성자 : 송미영; 김용현; 김종식; 김대철; 한선민
  • 라이센스 : CC BY-NC-SA
  • doi : 10.20925/KSRD.67177492.v2
  • 참조표준 설명 : Ar002000100: Ar ICP 13.56MHz, 20mtorr, 10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2000150: Ar ICP 13.56MHz, 20mtorr, 15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2000200: Ar ICP 13.56MHz, 20mtorr, 20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2000250: Ar ICP 13.56MHz, 20mtorr, 25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2000300: Ar ICP 13.56MHz, 20mtorr, 30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3000100: Ar ICP 13.56MHz, 30mtorr, 10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3000150: Ar ICP 13.56MHz, 30mtorr, 150W 플라즈마 발생 조건에서 측정한 분광신호 Ar003000200: Ar ICP 13.56MH
자세히 보기

외부자료외부자료* 외부 보고서, 동향, 분석자료입니다.

동영상동영상* 관련 Youtube 영상 자료입니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