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동남광산에서 발견된 신종광물 Zn­란시아이트(치무석)
Chimooite, a New Mineral from Dongnam Mine,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16 no.4 = no.38, 2003년, pp.333 - 339  

최헌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자원연구부) ,  김수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도 정선군의 동남광산에서 란시아이트(rancieite)의 Zn­단종인 신종광물이 발견되어 이 광물에 대하여 '치무석'(Chimooite)으로 명명하고 그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치무석은 캄브리아기의 풍촌석회암층을 남북 내지는 북동 방향으로 관입한 능망간석과 황화광물로 형성된 열수광맥의 표층산화대의 산화망간 광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미립의 판상 또는 침상 결정의 집합체로 산출되며, 큰 것은 약 0.2 mm까지 달하나 대부분 0.05 mm이하의 미세 결정체로 산출된다. 한 입자 내에서 중심부의 치무석에서 외각부의 란시아이트로 화학조성이 점이적으로 변한다. 치무석은 푸른빛을 띠는 흑색의 구상 또는 괴상의 집합체로 무광이며 흑갈색의 조흔색을 보인다. 한 방향의 뚜렷한 벽개를 가지며, 경도는 2.5∼4이다. 반사현미경 하에서 치무석은 이방성이며 복굴절을 보여 적갈색의 내부반사색을 보인다. 치무석의 전자현미분석 시 분석위치에 따라 다양한 CaO와 ZnO의 분석값을 보이는데 이로 미루어 치무석과 란시아이트는 양이온 치환에 의한 완전고용체임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의 실험식은 7 $\AA$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일반식인 $R_2_{x}$ $_Mn^{4+}$ $_{9­x}$ $O_{18}$ $.$n$H_2O$(x=0.81∼1.28, 평균 1.0)에 따라 계산하면(Z $n_{0.78}$$Na_{0.15}$C $a_{0.08}$M $g_{0.01}$ $K_{0.01}$)($Mn^{4+}$ $_{3.98}$F $e^{3+}$ $_{0.02}$)$_{4.00}$ $O_{9}$ $.$3.85$H_2O$가 되며, 이상적으로는(Zn,Ca)$Mn^{4+}$ $_4$ $O_{9}$ $.$3.85$H_2O$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스토이키오메트리 조성식인 $_Mn_4^{4+}$ $O_{9}$ $.$4$H_2O$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은 육방정계이고 단위포는 a=2.840 $\AA$, c=7.486 $\AA$이며 a:c = 1:2.636이다. 시차열분석에 의하면 65, 180, 690 and 102$0^{\circ}C$에서 흡열반응을 보인다. 적외선 흡수분광분석에 의하면 445, 500, 1630 and 3400 $cm^{1}$의 파장에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mineral, Zn analogue of rancieite (Chimooite), has been discovered at the Dongnam mine, Korea. It occurs as compact subparallel fine­grained flaky or acicular aggregates in the massive manganese oxide ores which were formed by supergene oxidation of rhodochrosite­sulfide ores in the hydrother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전자현미분석에 의한 분석으로는 Mn4+와 Mn2+의 구분이 불가능하므로, 총 Mm의 양으로부터 7 Å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일반식인 R2xMn4+9-xO18·nH2O을 이용한 계산으로 구분하였다. H2O의 함량은 총합이 100%가 되도록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산상의 란시아이트(rancieite), 버네사이트(bumessite) 및 타카넬라이트(takanelite)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중에서 부채상의 침상결정체의 집합체로 산출되는 비교적 결정도가 좋은 시료에 대한 X-선 회절분석, 화학분석, 열분석 및 적외선분광분석 결과 이 광물이 ZnO 함량이 13%에 달하는 란시아이트의 Zn-단종임을 알 수 있었다.
  • 치무석의 X-선 회절상은 Mn 필터를 사용한 FeKa선으로 57.3 mm Debye-Scherrer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이론/모형

  • 화학조성

    화학분석은 서울대학교의 JEOL Superprobe 733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가속전압 20 kV, 전류 10 nA 및 조사빔 직경 1 ㎛이의 조건으로 분석하고 Link automation system의 ZAF 보정법에 의해 보정되었다.

  • 적외선 흡수분광분석은 KBr 펠렛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300 메쉬 이하의 시료 2mg을 KBr 600 mg과 섞어 진공하에서 12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펠렛을 만들어 적외선을 통과시켜 흡수곡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rdossy, G. and Brindley, G.H. ( 1978) Rancieite associated with a karstic bauzite deposit. Amer.Miner., 63, 76 1-767. 

  2. Barrese, E., Giampalo, C., Grugssi, O., and Mottana, A (1986) Rancieite from Mazzano Romano (Latium, Italy). Mineral. Mag., 50, 111-118. 

  3. Burns, R.G. and Burnes, V.M. (1979) Manganese oxides. In: R.G. Burns (ed.) Marine Minerals. Review in Mineralogy vol. 6, 1-46. 

  4. Chang, S. (1982) Mineralogy of rancieite and associated minerals in the Dongnam mine,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5. Choi, H. (1994) Mineralogical study on the interlayer water in 10A phyllomanganates. P.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Chukhrov, F.V., Gorshkov, A I., Rudnitskaya, E.S., and Sivtosov, AV. (1978) The characteritics of birnessite. Izvest. Akad. Nuk. SSSR, Ser. Geol.,67-76. 

  7. Chukhrov, F.V., Gorshkov, A.I., Sivtsov, A.V.,Berezovskaya, V.V., and Rudnitskaya, E.S. (1979) The nature of rancieite. Izvest. Akad. Nuk.SSSR., Ser. Geol., 71-81. 

  8. Fleischer, M. and Richond, W.E. (1943) The manganese oxide minerals. A preliminary report. Econ. Geol., 38, 269-286. 

  9. Giovanoli, R., Stahli , E., and Feitknecht, W. (1970a)Uber Oxihydroxide des vierwertigen Mangans mit Schicktengitter. I. Natrium-Mangan( II , III)-Manganat (N). Helv. Chim. Acta, 53, 209-220. 

  10. Giovanoli, R., Stahli , E., and Feitknecht, W. (1970b) Uber Oxihydroxide des vierwertigen Mangans mit Schicktengitter. 2. Mangan(III )-Manganat(N). Helv. Chim. Acta, 53, 453-464. 

  11. Kim, SJ. (1991) New characterization of takanelite.Amer. Miner., 76, 1426-1430. 

  12. Kim, S.J. (1993) Chemical and structural variations in rancieite-takanelite solid solution series. N. Jb. Miner. Mh. Jg. 1993, H.5, 233-240. 

  13. Perseil, E.A. (1967) Nouvelles donnees sur la rancie ite du Rancie. Compo Ren. Acad. Sci. Paris, Ser. D 264, 1241-1242. 

  14. Richmond, W.E., Fleischer, M., and Mrose, M.E.( 1969) Studies on manganese oxide minerals. IX.Rancieite. Bull. Soc. Fr. Mineral. Cristallogr., 92,191-19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