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영화 특수 분장사와 캐릭터 특수 분장 연구
A Study of Make-up Artists and Character's Special Make-up Effects in the Twentieth Century's Film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5 no.6 = no.96, 2005년, pp.141 - 158  

장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양숙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motivated not only by the important role of the special make-up effects in films, but also by the prominent contributions created by make-up artists. The first objective was to study of Jack Pierce, Dick Smith, Tom Savini, Rick flake., and Stan Winston's impact in the most challenging...

주제어

참고문헌 (35)

  1. 이학재 (1994). 분장의 길. 서울: 자유문화사, pp. 28-29 

  2. T. Morawetz (2001). Making faces playing god. Austin: Univ. of Texas Press, p. 6 

  3.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53 

  4.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6 

  5. J. Belton, 이형식 역 (2003). 미국영화 미국문화, 서울: 경문사, pp. 134-138 

  6.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3-4 

  7. T. G. Smith. 민병록 역 (1993). 특수 효과 기술. 서울: 영화진흥공사, pp. 52-53 

  8. 권경숙 (1998). 영상 이미지 제작에 있어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Morphing 기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20 

  9. 한동수 (1995). 영화와 컴퓨터 그래픽스. 서울: 에프원, p. 259 

  10.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2 

  11. 아카데미 어워드. http://www.oscar.com/legacy/statuette.html 

  12.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3 

  13. M. Salisbury & A. Hedgcock (1994). Behind the mask. London: Titan Books. pp. 21-22 

  14. P. Louie. 윤현옥 역 (1999). 고어영화: 피의 미학, 서울: 정주. pp. 8-11 

  15.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61-64 

  16.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63 

  17.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49-51 

  18. P. Cook (1985). The cinema book, N.Y.: Pantheon Books. pp. 100-101 

  19. 이경덕 (1999). (신화로 보는) 악과 악마. 서울: 동연출판사, p. 233 

  20. T. Morawetz (2001). Making faces playing god. Austin: Univ. of Texas Press, p. 52 

  21. 이경덕, (1999). (신화로 보는) 악과 악마. 서울: 동연출판사, p. 60-61 

  22. 이경덕 (1999). (신화로 보는) 악과 악마. 서울: 동연출판사, p. 229 

  23. M. Salisbury & A. Hedgcock (1994). Behind the mask. London: Titan Books. pp. 46-48 

  24. 이경덕 (1999). (신화로 보는) 악과 악마. 서울: 동연출판사, p. 234-235 

  25. 곽현자, op. cit., p. 18 

  26. 곽현자 op. cit., p. 26-27 

  27. A. Timpone (1996). Men. makeup and monsters. New York: St. Martin's Griffin. p. 114-117 

  28. 백지숙 (1999). 사이보그(들), 전통과 현대 9. pp. 267-268 

  29. R. Scholes & E. S. Rabkin, 김정수. 박오복 역 (1993). SF의 이해. 서울: 평민사. p. 237 

  30. H. Joffe. 박종연 외 1인 역 (2002). 위험사회와 타자의 논리. 서울: 한울아카데미. pp. 5-7 

  31. 장미숙, 양숙희 (2003). 공포영화에 나타난 악마의 유형과 특수분장 기법에 대한 연구. 복식, 53(8), p.23 

  32. R. Westrum (1975). A note on monster. communication in popular culture. Ohio: Bowling Green, p. 865 

  33. 신현숙 (1992). 초현실주의-예술 각 분야에 나타난 모험 정신과 그 한국적 수용. 서울: 동아출판사, p. 19 

  34. J. B. Russell, 최은석 역 (1999). 악마의 문화사. 서울: 황금가지, pp. 26-27 

  35. 이상진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미래주의적 경향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