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 각국은 이미 우주 개발을 위한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였으며, 우리나라도 2020년에 달 탐사선 발사 및 2025년에 달 착륙선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우리나라 달 탐사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심우주 통신 기술 및 지상국 설치등과 같은 심우주 관련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심우주 관련 선진국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축적된 경험 및 기술을 바탕으로 한국형 달 탐사 임무에 적합한 심우주 통신 방식을 개발하고 독자적인 지상국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DSN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국외 DSN과 심우주 통신 기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 마진을 비롯한 여러 가지 기술적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우리나라의 달 탐사 계획을 위해 필요한 최적의 지상국 확보 전략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countries of the world have been launched the competition of space development and Korea also has a plan for the launch of Lunar orbiter in 2020 and Lunar lander in 2025 for Lunar explorations. For the success of the planned Lunar exploration, we need to enhance the required deep space commun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외 달 탐사 시스템 사례를 조사하고, 심우주 통신용 지상국을 위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특히 달 탐사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기초로 분석해 보면 기존 우리나라에서 보유하고 있는 S 및 X 대역의 위성 통신용 지상국들을 심우주 통신용으로 제한적으로나마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가 계획한 달 탐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외 우주 선진국들의 달 탐사 사례, 지상국 현황 및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심우주 통신을 위한 링크 성능과 기타 기술적 요소 분석을 수행한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달 탐사 계획을 위한 심우주 통신 시스템 및 심우주 지상국에 관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가 계획한 달 탐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국외 우주 선진국들의 달 탐사 사례, 지상국 현황 및 통신 규격을 기반으로 심우주 통신을 위한 링크 성능과 기타 기술적 요소 분석을 수행한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달 탐사 계획을 위한 심우주 통신 시스템 및 심우주 지상국에 관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도출한다. 또한, 우리나라 심우주 연구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국내 위성용으로 사용되는 지상국 및 천체 관측을 위한 전파 망원경과 같은 여러 가지 우주 관련 가용 자원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심우주 지상국 확보 전략들을 제안한다.
  • 먼 거리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탐사선의 경우에는 탐사선의 탑재체를 감안하면 안테나 크기, 송신 전력 등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약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지상국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하향 링크의 경우, 10Mbps의 전송속도 지원을 기준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본 장에서는 국외 지상국 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보고, 달 탐사선과의 원활한 통신을 하는데 필요한 지상국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연구한다.

가설 설정

  • S, X, Ka 송신 주파수 대역을 2295, 8420, 32000MHz로 설정하여 국제 우주 통신 권고 규격인 CCSDS(Consultative Committee for Space Data Systems)의 주파수 설정기준에 준하였다[15]. 달 탐사선의 안테나 직경은 1.2m, 송신 전력은 20W, 송신안테나 효율은 0.7, 달 전속 밀도 손실은 3.96~5.4dB, 달 탐사선의 안테나 잡음 온도는 500K로 가정한다[16][17]. 또한 주파수 대역별 강우 감쇠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에서 권고하는 수치를 기준으로 한 통계적인 강우 감쇠량을 가정하였다[18]
  • 4dB, 달 탐사선의 안테나 잡음 온도는 500K로 가정한다[16][17]. 또한 주파수 대역별 강우 감쇠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communication)에서 권고하는 수치를 기준으로 한 통계적인 강우 감쇠량을 가정하였다[18]
  • 본 논문에서 고려하는 지상국 안테나 직경은 현재 국내에서 위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7.3m, 13.2m의 S / X대역 안테나 및 국외 지상국에서 운용하고 있는 26m, 34m의 S / X / Ka 대역 안테나를 기준으로 하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10Mbps로 가정한다. 이러한 지상국의 안테나 직경 및 대역에 따른 달 탐사선과 지상국 간의 하향링크 성능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대역 안테나의 직경이 X대역보다 큰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동일한 링크 성능을 만족하는 안테나 직경은 달라지게 된다. 동일한 성능을 가지는 S대역 안테나 직경은 X대역에서 사용하는 안테나 직경보다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요구되는 안테나의 직경이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대역에서 안테나 직경이 커짐에 따라 수신 안테나 이득이 향상되기 때문에 링크 성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신뢰성 있는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상국 - 달 탐사선 간의 링크구성에 필요한 거리는 몇으로 정의하는가? 신뢰성 있는 통신 링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지상국 - 달 탐사선 간의 링크구성에 필요한 거리는 384,403km로 정의한다[12]. 또한 달 탐사선 안테나 타입, 송신 안테나 회로 손실, 송신 지향 손실 등의 기준모델의 세부 사항을 표 2에 나타내었다[13][14].
지상국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첫 번째, 달 탐사선에서 지상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경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채널코딩, 변복조 방식 등 신호처리 방법을 이용한 수신 성능 향상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지상국에서 사용하는 안테나의 이득을 높이는 방법이다. 통신 기술을 이용한 수신 성능 향상 방법은 이동통신 등에서 많은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탐사선은 설계 기술과 설비로 인한 기술의 경직성이 크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원활한 수신을 위한 지상국에 초점을 맞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상률, “우리나라 달 탐사의 기술 개발 방향”, KSAS 매거진 3권 1호, 한국항공우주학회, pp. 51-57, 2009년 

  2. 심은섭, “달 탐사위성 개발 현황”,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5권 1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p. 39-55, 2007년 

  3. W. S. Tai, "Deep Space Network ServicesCatalog”, Document no. 820-100, Rev. E, JetPropulsion Laboratory, NASA, Jul. 2007 

  4. B. H. Foing et al., “SMART-1 missionoverview from launch, Lunar orbit to impact”,ESTEC Lunar and Planetary Science XXXVIII,Noordwijk, Europe, 2007 

  5. 교육과학기술부, "Space Vision 2016, 제 1 차 우주개발 진흥기본계획", 2008년 

  6. ESA Spacecraft Operations, ESTRACK tracking stations, Jan. 2008 http://www.esa.int/SPECIALS/Operations/SEM8YCSMTWE_0.html 

  7. V. Ivashkin, “International LunarObservatory”, International Lunar ObservatoryAdvisory Committee Workshop, Moscow,Russia, Nov. 2005. 

  8. H. Hirosawa et al., "The Satellite TrackingStation with a 34m Diameter Antenna at theKagoshima Space Center”, Institute of Spaceand Astronautical Science, vol. 123, Jan. 2003. 

  9. J. Li, “The Chinese VLBI Network and itsContribution to Chang’E-1”, 5th IVS GM, St.Petersburg, Russia, Mar. 3-6, 2008. 

  10. Hayashi et al., "Japanese Deep SpaceStation with 64-m-Diameter Antenna Fedthrough Beam Waveguides and its MissionApplications”, ISAS, vol. 123, pp. 1-33, Mar.2003. 

  11. ISRO - Indian Deep Space Network(IDSN),Nov. 2008 http://isro.org/chandrayaan/htmls/ground_segment_spacenetwork.htm 

  12. Williams, Dr. David R., "Moon FactSheet”, NASA, Feb. 2006. 

  13. Slobin, S. 810-005, 104, JPL, Sep. 2008. 

  14. W. S. Tai, "Deep Space Network ServicesCatalog”, Document no. 820-100, Rev. E, JetPropulsion Laboratory, NASA, Jul. 2007. 

  15. "Radio Frequency and ModulationSystems-Part 1: Earth Stations and Spacecraft.Recommendation for Space Data SystemStandards”, Blue Book CCSDS 401.0-B, Dec.2007. 

  16. D. PARK, "Analysis on receivingperformance degradatioin of ground station inlunar mission", IAC-09, Aug. 2009. 

  17. Sniffin, R. W. 810-005, 205, JPL, Dec. 2002. 

  18.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Methods Required for the Design ofearth-Space telecommunication Systems”, ITU-R Recommendation P. 618-8, 2003. 

  19. D. Roddy, “Satellite Communications”,Mc-Graw Hill, pp. 351-367, Jul. 2006. 

  20. Proakis, "Digital Communications (NewYork: McGraw-Hill)", pp. 194, 2008. 

  21. 이정배, 백현철, 김은규, “세계 지상국 동향 분석”,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3권 1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p. 99-107, 2005년 

  22. 김광영, “차세대 위성통신공학”, 진한도서, pp. 211-215, 2003년 

  23. H. G. Kim et al., "Construction of theKorean VLBI Network(KVN)”, APRASC, 2004,pp. 409-411. 

  24. 한국전파진흥협회, “대한민국 주파수 분배표”, 2005년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