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카르스트 우발라에 발달한 수리시설에 관한 연구: 강원도 정선군 남면 광덕리를 사례로
The Drainage and Irrigation System Developed on the Karstic Uvala: The Case of Kwangduk-ri, Nam-myeon, Jungseon-gun, Kangwon-do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9 no.5, 2014년, pp.639 - 655  

탁한명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손일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발라는 규모, 형성원인, 발달과정, 기하학적 구조, 수문학적 특징, 돌리네와의 관계에서 다른 카르스트 와지와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광덕리 카르스트 와지의 지질, 고도, 곡중분수계, 하천쟁탈의 증거를 분석한 결과는 우발라의 성인적, 과정적, 구조적, 수문학적 특성에 잘 부합한다. 우발라의 지형, 수문적 특성은 와지내부의 가뭄이나 용수부족 문제를 일으키는데, 우발라 내부의 주민들은 지형적 환경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한 적극적 대응방식을 보였다.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와 산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지형을 이용한 배수시설을 설치하고, 우발라 내 외곽에 존재하는 지하수와 용천수에는 우물, 펌프, 관정, 간이상수도와 같은 시설을 설치하여 용수를 취득함으로써 경관을 변화시켰다. 우발라와 같은 카르스트 와지에서의 입지와 토지이용은 지형과 수문특성이라는 환경적 조건과 관련된 것으로 단순히 공간적 규모에 의해 입지가 결정된다는 기존의 관점에 수정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vala is one of the geographic features which have been discussed very actively in the field of Karst geomorphology, but most researches in Korea have been staying at the level which uvala wer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Karst cycle. In this study,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w...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르스트 지역에서 지형적 특성에서 유발된 다양한 수문학적 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카르스트 지역에서는 지형적 특성에서 유발된 다양한 수문학적 특성이 나타난다. 와지, 건천, 용천 등은 주거 및 농경지의 입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으로 작용하고, 이에 대해 주민들이 지형적 제약을 극복하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경관을 설명할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석회암 분포지역의 면적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석회암 분포지역의 면적은 약 16,347㎢ 로 한반도의 약 7.3%에 해당되며, 이들 지역의 석회 함은 시멘트 산업의 원료로 이용될 뿐 아니라, 카르스트 지형은 관광산업의 자원으로 높은 가치를 갖는다.
우리나라에서 카르스트 지형 연구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 카르스트 지형의 연구는 다른 주제의 지형연구와 마찬가지로 1960년대에 시작되었다.그러나 연구방법의 한계와 연구활동 수행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카르스트 일반, 석회동굴, 토양생성작용, 돌리네, 지표 피복 등 연구주제가 제한되어 있으며 연구성과 또한 많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