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 硏究는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과 消費者 特性, 衣服의 選擇基準, 流行情報源의 活用, 購買處 選擇動機 및 購買處 選擇과의 關係를 알아보고, 이 때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에 관련되는 변인이 어떠한 因果 關係로 究明되어지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여기서 消費者 特性은 年齡, 敎育水準 그리고 所得으로 제한 하였고, 選擇基準은 個性, 同調性, 寶用性과 經濟性으로, 또한 流行情報源은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 消費者 支配的 情報源과 中立的 情報源으로 분류하였다.
調査方法은 光州에 거주하는 成人 女性 554名을 對象으로 質問紙法을 使用하여 Spearman ...
本 硏究는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과 消費者 特性, 衣服의 選擇基準, 流行情報源의 活用, 購買處 選擇動機 및 購買處 選擇과의 關係를 알아보고, 이 때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에 관련되는 변인이 어떠한 因果 關係로 究明되어지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여기서 消費者 特性은 年齡, 敎育水準 그리고 所得으로 제한 하였고, 選擇基準은 個性, 同調性, 寶用性과 經濟性으로, 또한 流行情報源은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 消費者 支配的 情報源과 中立的 情報源으로 분류하였다.
調査方法은 光州에 거주하는 成人 女性 554名을 對象으로 質問紙法을 使用하여 Spearman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분산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消費者의 年齡, 敎育水準과 所得에 따라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2.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衣服의 選擇基準 중 個性과 實用性 사이에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이 때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할수록 個性위주의 購買가 높고, 實用性위주의 購買는 낮게 나타났다.
3.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流行情報源 중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간에 有意한 차이가 있었고,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할수록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購買處 選擇動機와는 有意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購買處 選擇과는 有意한 차이를 보였다.
5.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 受容에 영향을 미치는 變因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社會活動을 하지 않은 家族單位의 集團에서는 주로 消費者의 年齡, 敎育水準과 所得이 最新 流行스타일 受容에 영향을 주었고 반면에 社會活動을 하는 集團에서는 選擇基準인 個性과 實用性이 영향을 주었다.
이상과 같은 結果에서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消費者 特性과 消費者의 購買特性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하는 消費者일수록 年齡이 낮고, 敎育水準과 所得이 높으며, 衣服을 購入할 때는 個性위주의 購買를 하여 實用性은 부차적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또한,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하는 消費者일수록 패션잡지나 상점의 진열과 같은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높고, 가격이 높더라도 衣服의 品質이 우수하고 流行性이 높은 購買處에서 衣服을 購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과 消費者의 다양한 特性과 관련을 나타내는 바, 마아케터들은 消費者의 다양한 欲求와 必要에 민감하게 대처해 나가기 위해 衣服에 있어서도 人口統計的인 細分化와 心理形態別 細分化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라고 본다.
本 硏究는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과 消費者 特性, 衣服의 選擇基準, 流行情報源의 活用, 購買處 選擇動機 및 購買處 選擇과의 關係를 알아보고, 이 때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에 관련되는 변인이 어떠한 因果 關係로 究明되어지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여기서 消費者 特性은 年齡, 敎育水準 그리고 所得으로 제한 하였고, 選擇基準은 個性, 同調性, 寶用性과 經濟性으로, 또한 流行情報源은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 消費者 支配的 情報源과 中立的 情報源으로 분류하였다.
調査方法은 光州에 거주하는 成人 女性 554名을 對象으로 質問紙法을 使用하여 Spearman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분산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1.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消費者의 年齡, 敎育水準과 所得에 따라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2.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衣服의 選擇基準 중 個性과 實用性 사이에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이 때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할수록 個性위주의 購買가 높고, 實用性위주의 購買는 낮게 나타났다.
3.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流行情報源 중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간에 有意한 차이가 있었고,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할수록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購買處 選擇動機와는 有意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購買處 選擇과는 有意한 차이를 보였다.
5.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 受容에 영향을 미치는 變因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社會活動을 하지 않은 家族單位의 集團에서는 주로 消費者의 年齡, 敎育水準과 所得이 最新 流行스타일 受容에 영향을 주었고 반면에 社會活動을 하는 集團에서는 選擇基準인 個性과 實用性이 영향을 주었다.
이상과 같은 結果에서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은 消費者 特性과 消費者의 購買特性과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하는 消費者일수록 年齡이 낮고, 敎育水準과 所得이 높으며, 衣服을 購入할 때는 個性위주의 購買를 하여 實用性은 부차적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또한, 衣服의 最新 流行스타일을 受容하는 消費者일수록 패션잡지나 상점의 진열과 같은 마아케터 支配的 情報源의 活用이 높고, 가격이 높더라도 衣服의 品質이 우수하고 流行性이 높은 購買處에서 衣服을 購入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衣服의 流行스타일 受容과 消費者의 다양한 特性과 관련을 나타내는 바, 마아케터들은 消費者의 다양한 欲求와 必要에 민감하게 대처해 나가기 위해 衣服에 있어서도 人口統計的인 細分化와 心理形態別 細分化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style adoption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selection factor, u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lection factor about buing place and buying place in clothing, respectively. It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have an ef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style adoption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selection factor, u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lection factor about buing place and buying place in clothing, respectively. It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Age, education income in consumer's characteristics are taken as variabls. The selection factor in clothing is divided into individuality, conformity, practicality and economy.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s divided into marketer dominated, consumer dominated and neutral information sources.
For this study, the total of 554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female. The dad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ized by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spearman correlation, ANOVA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 education and income of consumers.
2)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in selection factor. In the case of the high fashion style adoption, buying with individualty is increased, while buying with practice is decreased.
3)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 of marketer dominated information sources in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n the case of the high fashion style, the use of marketer dominated information sources shows to be high degree.
4)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lection factor about buying place, but i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buying place.
5) The marketer dominated in fashion information sources have an effect on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Especially, the age, and income of consumers in the family group come to be important variables, while th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which are selection fators in the social group come to be important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style adoption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selection factor, use of fashion information source, selection factor about buing place and buying place in clothing, respectively. It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Age, education income in consumer's characteristics are taken as variabls. The selection factor in clothing is divided into individuality, conformity, practicality and economy. The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s divided into marketer dominated, consumer dominated and neutral information sources.
For this study, the total of 554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female. The dad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were analized by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spearman correlation, ANOVA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ge, education and income of consumers.
2)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in selection factor. In the case of the high fashion style adoption, buying with individualty is increased, while buying with practice is decreased.
3)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use of marketer dominated information sources in fashion information sources. In the case of the high fashion style, the use of marketer dominated information sources shows to be high degree.
4) The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election factor about buying place, but it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buying place.
5) The marketer dominated in fashion information sources have an effect on fashion style adoption in clothing.
Especially, the age, and income of consumers in the family group come to be important variables, while the individuality and practicality which are selection fators in the social group come to be important variab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