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화참여자들이 상대방을 부르고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호칭이 실제 대화과정에서 담당하는 다양한 기능을 살피는 가운데 대화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속에 드러나는 의도를 파악하고 표출해주는 유의미한 언어적 표지로써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 글의 논의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대상 언어공동체의 특성을 살핀 다음, 자료의 수집 방법과 그 분석 방법에 대해 언급한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논의를 한다. 먼저 호칭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호출에 대한...
본 연구는 대화참여자들이 상대방을 부르고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호칭이 실제 대화과정에서 담당하는 다양한 기능을 살피는 가운데 대화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속에 드러나는 의도를 파악하고 표출해주는 유의미한 언어적 표지로써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 글의 논의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대상 언어공동체의 특성을 살핀 다음, 자료의 수집 방법과 그 분석 방법에 대해 언급한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논의를 한다. 먼저 호칭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호출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통해 호칭이 호출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관련성을 짚어 본다. 이 논의가 필요한 것은 특히, 상행위는 무수한 호출과 응답의 연쇄로 이주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대화참여자들은 대화과정에서 서로의 체면을 협력적으로 보듬어주는 한편, 자신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힘과 유대를 전략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언어적 표지로써 호칭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호칭에 대한 논의에는 대우법과의 관련성이 수반되어야 하는 이유와 언어의 전략적 사용을 언어능력이 아닌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한 연구방법과 2장에서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수집된 대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호칭의 다양한 기능과 전략적 사용방식을 논하였다.
우선 3.1에서는 Brown & Levinson이 체면이론에 근거하여 제시하는 적극적 공손법과 소극적 공손법의 전략들 중에서 호칭과 적절하게 접맥되는 부분들을 뽑아내어 실제 대화 자료에 직접 적용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체면은 상호간의 협력적 노력 속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의 사회적 가치임을 알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호칭이 체면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언어적 장치로써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한편 3.2에서는 언어연쇄의 교환에서 행위자의 목적실현을 위해 힘과 유대감의 의미체계가 의도적으로 조절되고 변환되는 과정에서 호칭이 그러한 조절과 변환의 언어적 기호로써 유의미하게 기능하는 모습을 실제 대화사례를 통해 논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호칭의 사용유형을 형식적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마다 호칭이 대화상에서 어떤 화용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구체적 분석자료와 이론적 근거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호칭은 대화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화자와 청자 각자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을 명확히 드러내주는 관계기호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사용하는가를 명확히 드러내 주는 언어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호칭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행한 기존의 논의 자체가 많지 않을 뿐더러 그나마 대다수가 양적인 측면에만 국한하여 호칭의 빈도나 분포를 살피는데 주력한 나머지 실제 대화현장에서 호칭이 쓰이는 다양한 맥락과 그 사용과정에서의 기능들을 심도있게 관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의의는 호칭이 청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대화 참여를 유도하는 호출의 신호로써 뿐만 아니라 자신과 타인의 체면을 협력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대화 상황에 따라 참여자간의 유대감과 힘을 전략적으로 변환시키는 관계설정의 역동적 기호로써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실제 대화자료를 통한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데 있다.
본 연구는 대화참여자들이 상대방을 부르고 가리키는데 사용하는 호칭이 실제 대화과정에서 담당하는 다양한 기능을 살피는 가운데 대화 참여자간의 상호작용속에 드러나는 의도를 파악하고 표출해주는 유의미한 언어적 표지로써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 글의 논의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대상 언어공동체의 특성을 살핀 다음, 자료의 수집 방법과 그 분석 방법에 대해 언급한다. 2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논의를 한다. 먼저 호칭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호출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통해 호칭이 호출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관련성을 짚어 본다. 이 논의가 필요한 것은 특히, 상행위는 무수한 호출과 응답의 연쇄로 이주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대화참여자들은 대화과정에서 서로의 체면을 협력적으로 보듬어주는 한편, 자신의 의도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힘과 유대를 전략적으로 조절하는 중요한 언어적 표지로써 호칭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호칭에 대한 논의에는 대우법과의 관련성이 수반되어야 하는 이유와 언어의 전략적 사용을 언어능력이 아닌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에서 바라보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한 연구방법과 2장에서의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수집된 대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호칭의 다양한 기능과 전략적 사용방식을 논하였다.
우선 3.1에서는 Brown & Levinson이 체면이론에 근거하여 제시하는 적극적 공손법과 소극적 공손법의 전략들 중에서 호칭과 적절하게 접맥되는 부분들을 뽑아내어 실제 대화 자료에 직접 적용하여 보았다. 이 과정에서 체면은 상호간의 협력적 노력 속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개인의 사회적 가치임을 알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호칭이 체면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언어적 장치로써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한편 3.2에서는 언어연쇄의 교환에서 행위자의 목적실현을 위해 힘과 유대감의 의미체계가 의도적으로 조절되고 변환되는 과정에서 호칭이 그러한 조절과 변환의 언어적 기호로써 유의미하게 기능하는 모습을 실제 대화사례를 통해 논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호칭의 사용유형을 형식적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마다 호칭이 대화상에서 어떤 화용적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구체적 분석자료와 이론적 근거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호칭은 대화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화자와 청자 각자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을 명확히 드러내주는 관계기호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이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사용하는가를 명확히 드러내 주는 언어적 표지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호칭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행한 기존의 논의 자체가 많지 않을 뿐더러 그나마 대다수가 양적인 측면에만 국한하여 호칭의 빈도나 분포를 살피는데 주력한 나머지 실제 대화현장에서 호칭이 쓰이는 다양한 맥락과 그 사용과정에서의 기능들을 심도있게 관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의의는 호칭이 청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대화 참여를 유도하는 호출의 신호로써 뿐만 아니라 자신과 타인의 체면을 협력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대화 상황에 따라 참여자간의 유대감과 힘을 전략적으로 변환시키는 관계설정의 역동적 기호로써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실제 대화자료를 통한 질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핀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looking into versatile functions which address terms used by participants to call the other party show during the course of actual conversation, to grasp interactions being appeared behind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and to investigate how such address terms are 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looking into versatile functions which address terms used by participants to call the other party show during the course of actual conversation, to grasp interactions being appeared behind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and to investigate how such address terms are used as senseful verbal markers which make such intentions clear. A brief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peech community to be researched is first investigated and then methods of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hem are mentioned.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discussed. The conception of address terms being specified first, the phase and the relevancy which address terms hold in summons are conjectured through examining summons in detail.
The reason why discussion on this point is needed is that commercial transactions are proceeded by countless summons and answers chain-reacted. The fact that participants use address terms as key verbal markers which control strategically power and solidarity when conveying their intentions to the other party while trying cooperatively not to hurt one another face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is also discussed.
The reason why discussion on address terms should include its relevancy to an honorific and that the strategic use of language should be considered not as linguistic competence but a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erms of its conception are pointed out.
In Chapter 3 and 4, versatile functions of address terms and its strategic usage cla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data on conversation collected based on the method of the research presented in Chapter 1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esented in Chapter 2 are discussed
First in 3.1 the cases which appropriately connect with address terms having been and picked out among the strategy of positive politeness and negative politeness Brown and Levinson presents based on the theory of face, such cases are applied to actual data on conversation. This proceeding makes it clear that face is individual social value which should be maintained by mutual cooperative efforts and that address terms can be made very good use of as verbal devices which maintain and control face.
On the other hand in 3.2 during the course that conceptual framework of power and solidarity are intentionally controlled and changed in order for participants each purpose to be accomplished when words which trigger chain-reaction are being exchanged, how meaningfully address terms function as verbal markers based on instances of actual conversation.
In Chapter 4, patterns of usage of address terms are classified by word form and what pragmatic functions address terms of each pattern have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is examined based on concrete analysis data and theoretical ground.
As stated so far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address terms function as relevancy markers which clarify how well speaker(s) and hearer(s) understand one anoth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conversation is in progress and also that address terms are verbal markers which clarify how they should be used strategically in order for participants purpose to be accomplished.
Besides researches done so far focusing on address terms not being discussed so much, as a result that most of such discussion was limited only to a quantitative aspect and their efforts were concentrated on investigating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address terms, versatile context where address terms are used in actual conversation and functions address terms have in the course of conversation have not been deeply observed. Therefore,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respects address terms are concretely investigated in regard to how they function researching a qualitative aspect using actual data on conversation not only as a signal of summons which draws hearers' attention and make them participate in conversation but also as dynamic markers which fix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s by strategically change their power and solidarity according to conversation in progress while maintaining cooperatively face of themselves and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looking into versatile functions which address terms used by participants to call the other party show during the course of actual conversation, to grasp interactions being appeared behind interaction among participants and to investigate how such address terms are used as senseful verbal markers which make such intentions clear. A brief summary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peech community to be researched is first investigated and then methods of collecting data and analyzing them are mentioned.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discussed. The conception of address terms being specified first, the phase and the relevancy which address terms hold in summons are conjectured through examining summons in detail.
The reason why discussion on this point is needed is that commercial transactions are proceeded by countless summons and answers chain-reacted. The fact that participants use address terms as key verbal markers which control strategically power and solidarity when conveying their intentions to the other party while trying cooperatively not to hurt one another face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is also discussed.
The reason why discussion on address terms should include its relevancy to an honorific and that the strategic use of language should be considered not as linguistic competence but a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erms of its conception are pointed out.
In Chapter 3 and 4, versatile functions of address terms and its strategic usage clarified through an analysis of data on conversation collected based on the method of the research presented in Chapter 1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presented in Chapter 2 are discussed
First in 3.1 the cases which appropriately connect with address terms having been and picked out among the strategy of positive politeness and negative politeness Brown and Levinson presents based on the theory of face, such cases are applied to actual data on conversation. This proceeding makes it clear that face is individual social value which should be maintained by mutual cooperative efforts and that address terms can be made very good use of as verbal devices which maintain and control face.
On the other hand in 3.2 during the course that conceptual framework of power and solidarity are intentionally controlled and changed in order for participants each purpose to be accomplished when words which trigger chain-reaction are being exchanged, how meaningfully address terms function as verbal markers based on instances of actual conversation.
In Chapter 4, patterns of usage of address terms are classified by word form and what pragmatic functions address terms of each pattern have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is examined based on concrete analysis data and theoretical ground.
As stated so far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address terms function as relevancy markers which clarify how well speaker(s) and hearer(s) understand one another, which chan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conversation is in progress and also that address terms are verbal markers which clarify how they should be used strategically in order for participants purpose to be accomplished.
Besides researches done so far focusing on address terms not being discussed so much, as a result that most of such discussion was limited only to a quantitative aspect and their efforts were concentrated on investigating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address terms, versatile context where address terms are used in actual conversation and functions address terms have in the course of conversation have not been deeply observed. Therefore,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respects address terms are concretely investigated in regard to how they function researching a qualitative aspect using actual data on conversation not only as a signal of summons which draws hearers' attention and make them participate in conversation but also as dynamic markers which fix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nts by strategically change their power and solidarity according to conversation in progress while maintaining cooperatively face of themselves and others.
Keyword
#호칭
#호출
#상행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