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이 발전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제활동이 자원중심에서 지식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양식도 작업자들이 단순히 노동력을 제공하여 과업을 실행하는 것에서 생산설비에 전문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이것은 생산 활동의 변화로 인하여 작업자들의 학습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조직학습이 생산시스템의 기반요소로서 역할을 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조작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서클, 직무순환, 교육과 훈련, 현장개선을 위한 제안활동 등 다양한 조직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JIT (Just-in-Time, 滴時) 생산방식을 117 생산방식의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의 결합으로 가정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IT 실행요소의 생산성과에 대한 관련성과 조직학습과 JIT 실행요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JIT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이 결합하여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학습과 생산성과와의 관련성 그리고 JIT 생산방식의 생산성과가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JIT 생산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과 ...
기술이 발전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제활동이 자원중심에서 지식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양식도 작업자들이 단순히 노동력을 제공하여 과업을 실행하는 것에서 생산설비에 전문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이것은 생산 활동의 변화로 인하여 작업자들의 학습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조직학습이 생산시스템의 기반요소로서 역할을 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조작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서클, 직무순환, 교육과 훈련, 현장개선을 위한 제안활동 등 다양한 조직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JIT (Just-in-Time, 滴時) 생산방식을 117 생산방식의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의 결합으로 가정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IT 실행요소의 생산성과에 대한 관련성과 조직학습과 JIT 실행요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JIT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이 결합하여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학습과 생산성과와의 관련성 그리고 JIT 생산방식의 생산성과가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JIT 생산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과 전자산업에 속하는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생산사업단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수단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내적 일관성 분석과 요인분석으로 확인하였고,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은 정준 상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 만으로도 생산성파에 영향을 미치며, 간관의 활용과 설비보전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학습과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 간에 관련성이 매우 크며, 조직학습의 모든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산성과에 대하여 JIT 실행요소만의 영향보다 조직학습과 JIT 실행요소의 결합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간판의 활용, 설비보전, 체계적인 문제해결, 지식의 획득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학습만으로도 생산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체계적인 문제해결활동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JIT 생산방식의 생산성과가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치나, 경쟁우위에 유의적인 생산성과변수는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JIT 생산방식을 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은 JIT 실행요소를 도입하여 생산성과를 증대시키고 생산 활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학습활동이 생산시스템의 성과향상에 기여함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를 실천함에 있어서 조직학습이 결합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는데, 조직학습이 생산시스템의 기반요소로서 JIT 실행요소에 기여한 것이며 JIT 생산 활동에 있어서 조직학습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술이 발전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경제활동이 자원중심에서 지식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양식도 작업자들이 단순히 노동력을 제공하여 과업을 실행하는 것에서 생산설비에 전문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이것은 생산 활동의 변화로 인하여 작업자들의 학습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조직학습이 생산시스템의 기반요소로서 역할을 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조작학습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품질서클, 직무순환, 교육과 훈련, 현장개선을 위한 제안활동 등 다양한 조직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JIT (Just-in-Time, 滴時) 생산방식을 117 생산방식의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의 결합으로 가정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JIT 실행요소의 생산성과에 대한 관련성과 조직학습과 JIT 실행요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JIT 실행요소와 조직학습이 결합하여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직학습과 생산성과와의 관련성 그리고 JIT 생산방식의 생산성과가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JIT 생산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자동차 산업과 전자산업에 속하는 우리나라 제조기업의 생산사업단위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수단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내적 일관성 분석과 요인분석으로 확인하였고,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은 정준 상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 만으로도 생산성파에 영향을 미치며, 간관의 활용과 설비보전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학습과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 간에 관련성이 매우 크며, 조직학습의 모든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산성과에 대하여 JIT 실행요소만의 영향보다 조직학습과 JIT 실행요소의 결합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간판의 활용, 설비보전, 체계적인 문제해결, 지식의 획득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학습만으로도 생산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체계적인 문제해결활동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JIT 생산방식의 생산성과가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치나, 경쟁우위에 유의적인 생산성과변수는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JIT 생산방식을 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 제조기업들은 JIT 실행요소를 도입하여 생산성과를 증대시키고 생산 활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학습활동이 생산시스템의 성과향상에 기여함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JIT 생산방식의 실행요소를 실천함에 있어서 조직학습이 결합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었는데, 조직학습이 생산시스템의 기반요소로서 JIT 실행요소에 기여한 것이며 JIT 생산 활동에 있어서 조직학습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Economy has been changed from resource-based to knowledge-based with advances in technology. Work in manufacturing operation also has been changed from simply performing specified procedures to applying expertise and creating new knowledge. It means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by worke...
Economy has been changed from resource-based to knowledge-based with advances in technology. Work in manufacturing operation also has been changed from simply performing specified procedures to applying expertise and creating new knowledge. It means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by workers become important in production system and it's infrastructure. Various organizational learnings(quality circle, job ro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suggestion system for improvement, etc) take place in JIT(Just-in-Time) manufacturing.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theoretically and statistically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uccess of JIT manufacturing. So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JIT manufacturing with the assumption that JIT manufacturing is composed of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both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we developed fives hypotheses to test statistical correlations. Before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organizational learnings were categorized as systematic problem solving,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creating,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utilization.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interview or mail survey from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e samples were selected mainly in the auto and electronic industries which JIT practices were common. Cronbach's alpha all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variables' validities and reliabilitie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fiv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JIT practices, alone,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kanban and mainten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2) there wa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ll organizational teaming van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JIT practices, (3) the combination of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ve strong relations than the use of JIT practices only, and kanban, maintenance, systematic problem solv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4) organizational learning itself was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systematic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5) manufacturing performance was related to competitive advantage,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manufacturing performance variable related to competitive advantage. Thes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notion that JIT practices accompanying organizational learning are useful for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o increase their's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o enhance their's manufacturing proces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enhances the performance of production system. In conclusion, as economy becomes knowledge-base, organizational learning becomes more important in JIT manufacturing as an infrastructure of production system.
Economy has been changed from resource-based to knowledge-based with advances in technology. Work in manufacturing operation also has been changed from simply performing specified procedures to applying expertise and creating new knowledge. It means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by workers become important in production system and it's infrastructure. Various organizational learnings(quality circle, job rot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suggestion system for improvement, etc) take place in JIT(Just-in-Time) manufacturing. However it has not been studied theoretically and statistically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success of JIT manufacturing. So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in JIT manufacturing with the assumption that JIT manufacturing is composed of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both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we developed fives hypotheses to test statistical correlations. Before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organizational learnings were categorized as systematic problem solving, knowledge acquisition, knowledge creating,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utilization. Empirical data were collected by direct interview or mail survey from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he samples were selected mainly in the auto and electronic industries which JIT practices were common. Cronbach's alpha all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variables' validities and reliabilitie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fiv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JIT practices, alone,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kanban and mainten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2) there was a very strong relationship between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nd all organizational teaming van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JIT practices, (3) the combination of JIT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ve strong relations than the use of JIT practices only, and kanban, maintenance, systematic problem solv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4) organizational learning itself was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systematic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5) manufacturing performance was related to competitive advantage,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manufacturing performance variable related to competitive advantage. Thes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the notion that JIT practices accompanying organizational learning are useful for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to increase their's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o enhance their's manufacturing proces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enhances the performance of production system. In conclusion, as economy becomes knowledge-base, organizational learning becomes more important in JIT manufacturing as an infrastructure of production syst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