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하박국 3장 본문의 의미와 그 배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가 비교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약 성서 내 다른 본문들도 비교의 대상이 될 것이다. 하박국 3장은 이해하기 어려운 구약성서 본문 중 하나다. 현재 본문의 일부분이 심하게 훼손되어 보이고 친숙하지 않은 표현들이 존재한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본문의 재구성을 시도했다. 하지만 양식비평과 같은 역사비평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하박국 3장은 여러 가지 고대의 모티브들과 문학적 기교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박국 3장은 우가릿 신화나 서사시에 나타나고 있는 표현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비록 신의 자격으로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가릿 문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신(예들들어 레세프)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를 비교함으로써 하박국 3장의 난해한 본문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의 비교는 언어적인 측면과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서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은 공통된 문화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짝으로 등장하는 단어들이 우가릿 문서에서도 나란히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문학적으로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에 나타나고 있는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들이 하박국 3장에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신화적인 색채가 약화된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우가릿에서 신으로 나오는 레세프는 하나님의 권위를 보조하는 역병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레세프와 같이 역병으로 등장하는 다베르는 우가릿에서는 신으로 등장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의 주된 활동 영역에 속하는 천둥과 번개는 하박국 3장에서 하나님의 등장에 반응하는 자연현상으로 전락한다. 이처럼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공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표현이 있다고 해서 우가릿 문서가 직접적으로 하박국에 영향을 주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하박국에 나타난 모티브들을 우가릿에 국한해서 설명하기 보다는 가나안 문화권이라는 더 넓은 범위 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들을 묘사할 때 사용된 고대의 모티브는 하박국 내에서 창조적인 수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름을 타는 바알과 달리 하나님은 말을 타신다. 우가릿 신화에서는 전쟁의 목적이 풍요와 관련이 있지만 하박국 3장에서는 백성들의 구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박국 3장의 창조성은 전체적인 구조에서도 밝혀진다. 하박국 3장은 단순히 탄원이나 찬양 요소가 삽입된 것이 아니다. 탄원의 정황에서 찬양 모티브를 사용하고 있는 기도로서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하박국 3장의 이러한 찬양 모티브는 많은 면에서 출애굽 전승과 연결되고 있다. 출애굽 전승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로는 바다에 대한 승리와 자연의 ...
본 논문의 목적은 하박국 3장 본문의 의미와 그 배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가 비교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약 성서 내 다른 본문들도 비교의 대상이 될 것이다. 하박국 3장은 이해하기 어려운 구약성서 본문 중 하나다. 현재 본문의 일부분이 심하게 훼손되어 보이고 친숙하지 않은 표현들이 존재한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본문의 재구성을 시도했다. 하지만 양식비평과 같은 역사비평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하박국 3장은 여러 가지 고대의 모티브들과 문학적 기교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박국 3장은 우가릿 신화나 서사시에 나타나고 있는 표현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비록 신의 자격으로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가릿 문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신(예들들어 레세프)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를 비교함으로써 하박국 3장의 난해한 본문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의 비교는 언어적인 측면과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서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은 공통된 문화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짝으로 등장하는 단어들이 우가릿 문서에서도 나란히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문학적으로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에 나타나고 있는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들이 하박국 3장에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신화적인 색채가 약화된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우가릿에서 신으로 나오는 레세프는 하나님의 권위를 보조하는 역병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레세프와 같이 역병으로 등장하는 다베르는 우가릿에서는 신으로 등장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의 주된 활동 영역에 속하는 천둥과 번개는 하박국 3장에서 하나님의 등장에 반응하는 자연현상으로 전락한다. 이처럼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공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표현이 있다고 해서 우가릿 문서가 직접적으로 하박국에 영향을 주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하박국에 나타난 모티브들을 우가릿에 국한해서 설명하기 보다는 가나안 문화권이라는 더 넓은 범위 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들을 묘사할 때 사용된 고대의 모티브는 하박국 내에서 창조적인 수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름을 타는 바알과 달리 하나님은 말을 타신다. 우가릿 신화에서는 전쟁의 목적이 풍요와 관련이 있지만 하박국 3장에서는 백성들의 구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박국 3장의 창조성은 전체적인 구조에서도 밝혀진다. 하박국 3장은 단순히 탄원이나 찬양 요소가 삽입된 것이 아니다. 탄원의 정황에서 찬양 모티브를 사용하고 있는 기도로서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하박국 3장의 이러한 찬양 모티브는 많은 면에서 출애굽 전승과 연결되고 있다. 출애굽 전승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로는 바다에 대한 승리와 자연의 떨림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하박국 3장에서는 바다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 그리고 자연과 이방민족의 두려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승(신앙) 안에서 하박국은 17-19절에서와 같은 무조건적인 찬양이 가능했다. 결국, 하박국 3장은 우가릿 신화에도 등장하는 고대 근동의 모티브들이 출애굽 신앙 안에 녹아있다고 말할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박국 3장 본문의 의미와 그 배경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가 비교될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구약 성서 내 다른 본문들도 비교의 대상이 될 것이다. 하박국 3장은 이해하기 어려운 구약성서 본문 중 하나다. 현재 본문의 일부분이 심하게 훼손되어 보이고 친숙하지 않은 표현들이 존재한다. 학자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본문의 재구성을 시도했다. 하지만 양식비평과 같은 역사비평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하박국 3장은 여러 가지 고대의 모티브들과 문학적 기교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하박국 3장은 우가릿 신화나 서사시에 나타나고 있는 표현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비록 신의 자격으로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가릿 문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신(예들들어 레세프)의 이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를 비교함으로써 하박국 3장의 난해한 본문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의 비교는 언어적인 측면과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 서로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들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은 공통된 문화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짝으로 등장하는 단어들이 우가릿 문서에서도 나란히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문학적으로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우가릿 문서에 나타나고 있는 신현현과 전쟁에 대한 묘사들이 하박국 3장에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신화적인 색채가 약화된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우가릿에서 신으로 나오는 레세프는 하나님의 권위를 보조하는 역병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하박국 3장에서 레세프와 같이 역병으로 등장하는 다베르는 우가릿에서는 신으로 등장하지 않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의 주된 활동 영역에 속하는 천둥과 번개는 하박국 3장에서 하나님의 등장에 반응하는 자연현상으로 전락한다. 이처럼 하박국 3장과 우가릿 문서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공존한다. 그렇기 때문에 비슷한 표현이 있다고 해서 우가릿 문서가 직접적으로 하박국에 영향을 주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하박국에 나타난 모티브들을 우가릿에 국한해서 설명하기 보다는 가나안 문화권이라는 더 넓은 범위 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들을 묘사할 때 사용된 고대의 모티브는 하박국 내에서 창조적인 수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구름을 타는 바알과 달리 하나님은 말을 타신다. 우가릿 신화에서는 전쟁의 목적이 풍요와 관련이 있지만 하박국 3장에서는 백성들의 구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하박국 3장의 창조성은 전체적인 구조에서도 밝혀진다. 하박국 3장은 단순히 탄원이나 찬양 요소가 삽입된 것이 아니다. 탄원의 정황에서 찬양 모티브를 사용하고 있는 기도로서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하박국 3장의 이러한 찬양 모티브는 많은 면에서 출애굽 전승과 연결되고 있다. 출애굽 전승에서 핵심이 되는 요소로는 바다에 대한 승리와 자연의 떨림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하박국 3장에서는 바다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 그리고 자연과 이방민족의 두려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전승(신앙) 안에서 하박국은 17-19절에서와 같은 무조건적인 찬양이 가능했다. 결국, 하박국 3장은 우가릿 신화에도 등장하는 고대 근동의 모티브들이 출애굽 신앙 안에 녹아있다고 말할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Habakkuk 3 and to examine its background. Due to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Hab. 3 with Ugaritic literature. As occasion demands, other texts in Old Testament provide valuable sources for this study. The psalm in Hab. 3 is on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Habakkuk 3 and to examine its background. Due to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Hab. 3 with Ugaritic literature. As occasion demands, other texts in Old Testament provide valuable sources for this study. The psalm in Hab. 3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exts in the Old Testament. It seems that Hab. 3 is corrupt in the present form and has unfamiliar expressions. Scholars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text. However, Historical Criticism (e.g., Form Criticism) is of limited value, since Hab. 3 contains various ancient motives. Specifically,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have various expressions that are used in common. The deity which frequently appears in Ugaritic literature occurs in Hab. 3 too. He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icult text in Hab 3 by comparing it with Ugaritic literature. In detail, the comparison between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can be done in the both linguistic and theological aspects. Though the descriptions of theophany and war are seen in Hab. 3 as often as in Ugaritic literature, the mythological feature are scarcely seen. Thus, Reshep, who appears as a god in Ugaritic literature, is described in Hab. 3 only as the plague which marches before God to exalt His majesty. Daber, who appears in Hab. 3 as a plague, isn't described in Ugaritic literature as a god. Likewise, lightening and thunder belonging to the divine spear are transferred to the forces of nature which respond to the appearance of God. There are just a few of the differences between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despite their affinity to each other. The ancient motives used to describe deities go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ve reception in Hab. 3. God rides on horses unlike Baal who rides on clouds. Ugaritic myth relates the purpose of war with fertility, but Hab. 3 focuses on the salvation of God's people. The creativity of Hab. 3 is verified through the whole structure. The elements of lament and hymn are not simply inserted in the psalm. Hab. 3 is wholly well.composed as a prayer that uses, in a petitionary situation, the hymn motives. Most of all, the hymn motives in Hab. 3 have connection with the Exodus tradition in various aspects. The nucleus of the Exodus tradition is the victory over the Sea and the trembling of nature. In Hab. 3, this is expressed as the God's victory over the Sea and the fear of both nature and foreign nations. This demonstrates that the ancient motives found also in Ugaritic literature is melted in the faith of the Exodus tradition in Hab. 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Habakkuk 3 and to examine its background. Due to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mpare Hab. 3 with Ugaritic literature. As occasion demands, other texts in Old Testament provide valuable sources for this study. The psalm in Hab. 3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texts in the Old Testament. It seems that Hab. 3 is corrupt in the present form and has unfamiliar expressions. Scholars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text. However, Historical Criticism (e.g., Form Criticism) is of limited value, since Hab. 3 contains various ancient motives. Specifically,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have various expressions that are used in common. The deity which frequently appears in Ugaritic literature occurs in Hab. 3 too. He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icult text in Hab 3 by comparing it with Ugaritic literature. In detail, the comparison between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can be done in the both linguistic and theological aspects. Though the descriptions of theophany and war are seen in Hab. 3 as often as in Ugaritic literature, the mythological feature are scarcely seen. Thus, Reshep, who appears as a god in Ugaritic literature, is described in Hab. 3 only as the plague which marches before God to exalt His majesty. Daber, who appears in Hab. 3 as a plague, isn't described in Ugaritic literature as a god. Likewise, lightening and thunder belonging to the divine spear are transferred to the forces of nature which respond to the appearance of God. There are just a few of the differences between Hab. 3 and Ugaritic Literature, despite their affinity to each other. The ancient motives used to describe deities go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ve reception in Hab. 3. God rides on horses unlike Baal who rides on clouds. Ugaritic myth relates the purpose of war with fertility, but Hab. 3 focuses on the salvation of God's people. The creativity of Hab. 3 is verified through the whole structure. The elements of lament and hymn are not simply inserted in the psalm. Hab. 3 is wholly well.composed as a prayer that uses, in a petitionary situation, the hymn motives. Most of all, the hymn motives in Hab. 3 have connection with the Exodus tradition in various aspects. The nucleus of the Exodus tradition is the victory over the Sea and the trembling of nature. In Hab. 3, this is expressed as the God's victory over the Sea and the fear of both nature and foreign nations. This demonstrates that the ancient motives found also in Ugaritic literature is melted in the faith of the Exodus tradition in Hab. 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