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 機械工業 종사자의 작업복 실태조사연구 : 소규모작업장을 중심으로
(The) actual state of working clothes for the mechanical industry employees 원문보기


김혜령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家庭敎育 專攻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계공업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착용하고 있는 작업복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복의 착용도, 만족도, 관리도 등을 조사하여 연령, 성별, 근무업종, 근무경력, 결혼여부, 학력, 월소득, 작업장 규모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능률적인 작업복 개발에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직접면담법과 관리도 등을 조사하여 연령, 성별, 근무업종, 근무경력, 결혼여부, 학력, 월소득, 작업장 규모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능률적인 작업복 개발에 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직접면담법과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 기계공업 종사자264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현재 착용되고 있는 작업복의 착용 현황으로 상․하의 부착형태 , 상․하의 분리형태로 나눌 수 있었으며, 상․하의부착형태는 주로 overall형태나 coverall형태였다. 상․하의 분리형태 작업복인 경우 상의는 대부분 스포츠 칼라와 스텐칼라가 달린 점퍼형태로 되어 있었으며, 소매형태는 커프스와 매직 테이프 처리하였고 상의의 여밈 방법은 지퍼처리와 단추로 되어져있었다.
색상으로는 짙은 감색(inkblue)과 dark navy, kahaky, dark beige 등이 많았다.
2. 작업복 착용도를 보면 작업복 착용의 필요성에 있어서 응답자들이 작업복에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작업복의 착용목적은 작업의 안전 및 능률 향상을 위해서와 작업장의 오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로 나타났다.
현재 보유하고있는 작업복 수량은 2벌 이상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90%이상이었으며, 착용하고 있는 작업복 형태로는 상․하의 분리형태가 75%, 상․하의 부착형태 23.5%였고, 대부분의 작업자들이 작업시 작업복을 항시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작업복 착용도는 근무업종과 작업복의 필요성과의 관계에서는 자동차 정비작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작업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용접과, 선반 및 기계조립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업종에 따라 작업복의 필요성을 인지하는 정도의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 근무 경력과 작업복 필요성에 대해서는 5년~10년 미만근무 경력을 가진 작업자들이 작업복의 필요성을 가장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1일 근무시간과 작업복의 필요성을 보면 1일 평균 8시간~11시간미만의 근무자들이 작업복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작업장 규모별로는 5명 미만이 소규모 작업장과 50명~100명 미만의 작업장에서 작업복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작업복의 착용목적은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40세 이하의 경우, 안전 및 능률향상을 위함이었으며, 40세 이상은 작업장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근무업종에 따라서는 자동차 정비와 용접작업자들은 안전 및 능률 향상을 위해서, 기계 및 전기 설계 작업자들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작업복을 착용하였다. 작업장 규모에 따라서는 5명 미만의 작업장에서 안전 및 능률 향상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업복을 착용함을 알 수 있었다.
4. 작업복의 전체 만족도는 현재 착용 하고있는 작업복에 대해 만족도가 2.97로 보통정도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불만족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는 색상과 소재에 대한 불만족이었다.
작업복의 색상 만족도는 평균이 2.76으로 3점에 못미치는 낮은 점수를 나타내어 작업복의 색상에 대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의 주요 이유로는 작업복의 색상이 너무 어둡기 때문이며 그 외 색상이 단순하고 지루하다와 유행에 뒤떨어지는 색상이기 때문에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복의 소재 만족도는 평균 2.73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는 소재의 흡수성과 통기성이 좋지 않고 오염이 잘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복의 형태 만족도는 상․하의 부착형 작업복이 상․하의분리형태 작업복보다 착․탈의의 편의성을 제외하고는 기능 만족도, 치수, 품질․관리 만족도에서 그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하의 부착형 작업복이 하체동작이나, 입고 벗음에 문제로 인해 기능 만족도 및 치수 만족도에서 상․하의 분리형태 작업복 보다 만족도가 낮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히려 더 만족한 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하의 부착형태 작업복의 품질이 더 우수한데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5.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작업복의 만족도를 보면 작업복 전체만족도는 연령, 성별, 근무업종, 근무경력, 월 소득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과 작업복 전체 만족도는 30세미만이 30세 이상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젊은층이 작업복에 대해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여자의 만족도가 평균3.18로 남자의 만족도 2.89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업종에 따라서도 자동차 정비가 만족도 3.14로 3점이 넘는 제일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그 다음으로 용접, 선반 및 기계조립, 기계 및 전기 설계순서로 나타냈는데 기계 및 전기설계 업종의 작업복 만족도는 2.39로 매우 낮게 나타나 작업복에 대해 매우 불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근무경력이 적은 작업자들의 작업복 만족도가 근무경력이 많은 작업자들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월 소득별로 보면 월 소득 100만원 미만의 작업자들의 만족도가 100만원 이상의 작업자들보다 작업복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작업복 색상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들이 만족도가 3.19로 남자의 2.72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업종별로는 기계 및 전기설계 작업자들의 평균 만족도가 2.21로 자동차 정비, 용접, 선반 및 기계조립 등의 작업자들보다 특히 작업복 색상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작업복 소재에 대한 만족도는 연령에서는 30세 미만이 30세 이상보다 소재에 대한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가, 또한 미혼이 기혼보다 소재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형태별 기능 만족도에 있어서는 상․하의 부착형 작업복에서 연령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30세 이상의 만족도가 2.79로 30세 미만의 2.36보다 높게 나타나서 오히려 나이가 많은 작업자들이 상․하의 부착형 작업복에 대해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하의 부착형태 작업복의 치수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의 분리형태 치수 만족도는 작업복의 상의에서만 근무업종과, 작업장 규모 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근무업종 별로 보면 용접, 선반 및 기계조립, 기계 및 전기설계 업종의 종사자들의 상의 치수 만족도가 자동차 정비 업종 종사자들의 상의 치수 만족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 작업장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치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상․하의 분리형태 작업복의 품질․관리 만족도는 상, 하의 모두 성별, 1일 근무시간, 작업장규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상․하의 분리형태 작업복의 경우 품질․관리 만족도는 상의와 하의 모두 여자의 만족도가 남자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1일 근무시간 별로 보면 상, 하의 모두 11시간 미만의 근무작업자들의 품질․관리 만족도가 11시간이상 작업자의 경우보다 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11시간 이상근무 작업자는 상, 하의 모두 품질․관리 만족도의 평균이 1.97에 그쳐 매우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근무시간이 긴 작업자들의 작업복 품질․관리 만족도에 대해 매우 불만족하고 있음을 나타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작업장 규모별로 보면 10인 미만 작업장에서 상의, 하의 모두 품질․관리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서 작업복 형태별 품질․관리 만족도는 상․하의 분리형 작업복의 경우 상의, 하의 모두 만족도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1일 근무시간이 11시간 이상으로 길고, 작업장 규모가 10인 미만의 소규모 작업장에서 상의, 하의 작업복 모두 품질․관리 만족도에 대해 매우 불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6. 작업복의 관리성에 있어서는, 작업복의 오염부위로는 상의는 앞단과 소매끝, 하의는 무릎과 엉덩이 부위의 오염이 제일 많았다.
손상부위로는 상의는 소매와 소매끝, 하의는 무릎과 지퍼부위 손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복의 세탁 방법은 물빨래가 대부분이었으며, 세탁횟수는 평균 일주일에 한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in working uniform in both scientific and efficient ways.
Thus, to make this procedure right, we brought the focus of the study into the present condition of working uniform in various machinery plants. Therefore inquiries about ...

주제어

#의류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혜령
학위수여기관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家庭敎育 專攻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viii, 85 p.
키워드 의류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12400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