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Calorific machine을 이용한 치아 이동실험시 실험 계측오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measurement error about the tooth movement with the Calorific machine (the typodont simulation system)원문보기
교정 치료시 치아의 이동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교정의로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구강 내에서는 이동의 양상을 정확히 알 수 없고 교정 장치의 작용의 기전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가장 보편적인 평가 방법은 치료 전,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3차원의 두경부 구조물을 2차원 상태에서 해석하기 때문에 각 구조물의 왜곡현상과 좌우 구조물의 겹침 현상으로 인해 정밀한 중첩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치아이동은 3차원 공간상에서 입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원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으로만 해석한다면 치아이동의 정확한 기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아이동 상태를 동적인 상태에서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계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해 왔다4,6,11.
...
교정 치료시 치아의 이동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교정의로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구강 내에서는 이동의 양상을 정확히 알 수 없고 교정 장치의 작용의 기전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가장 보편적인 평가 방법은 치료 전,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3차원의 두경부 구조물을 2차원 상태에서 해석하기 때문에 각 구조물의 왜곡현상과 좌우 구조물의 겹침 현상으로 인해 정밀한 중첩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치아이동은 3차원 공간상에서 입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원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으로만 해석한다면 치아이동의 정확한 기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아이동 상태를 동적인 상태에서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계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해 왔다4,6,11.
시뮬레이션 장비를 이용하면 구강 내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의 교정 장치의 작용기전을 분석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장비는 실험 장치이므로 이 자체가 지니는 실험적인 오차범위와 계측시 일어나는 계측오차의 범위를 파악하고 있어야만 이 실험에 대하여 확률적인 신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실험기계를 이용한 실험 자료의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교정영역에서 가장 공간적인 치아이동을 요구하는 소구치 발치후 공간폐쇄시 치아이동 상태를 3차원적으로 계측, 평가하여 앞으로 이 기계를 이용한 실험결과의 신뢰성 여부를 확인해 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Calorific machine을 통해 발치공간폐쇄실험을 시행하고 실험전후 각 치아의 이동량을 2명의 계측자에게 2번을 계측하게 하여 계측결과에 대한 측정자간의 계측오차를 측정하였다. 이후, 제1, 2 소구치 발치여부에 따른 중절치와 제1 대구치 의 이동 양상을 실험전후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기준지표점을 중심으로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제1 소구치 및 제2 소구치를 발치하여 공간폐쇄를 한 각각의 실험에서 2명의 계측자간의 계측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계측오차의 안정성을 보였다(p<0.05).
제1 소구치를 발치한 경우와 제2 소구치를 발치한 경우의 공간 폐쇄기전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 교합면상, X축에서는 상악중절치는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는 +0.75mm 이동하였고,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는 -0.11mm이동하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1.38mm로 제1 소구치 발치에서 보다 내측으로 + 0.56mm 더 많이 이동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교합면상, Z축에서 상악중절치는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이동량이 8.4mm로 제2 소구치발치실험에서의 이동량인 4.88mm 보다 +3.52mm 많이 움직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전방으로 1.19mm 더 이동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시상면상, Z축에서 상악중절치는 두 실험에서 교합면과 동일하게 상악 제1 소구치 발치에서는 후방 이동량이 8.2mm로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에서의 이동량인 4.31m보다 +3.89mm 많았다(p=0.00). 상악제1 대구치의 전방이동량은 상악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보다 2.31mm 더 많았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Y축에서 상악중절치는 두 실험 모두에서 정출하였는데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2.07mm로 제2 소구치발치의 -0.26mm 보다 1.81mm 더 많이 이동하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두 실험 모두에서 압하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연구결과, 계측자간의 각 계측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실험의 계측오차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Calorific machine으로 계속 진행될 실험 시에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치료의 준거범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교정 치료시 치아의 이동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교정의로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구강 내에서는 이동의 양상을 정확히 알 수 없고 교정 장치의 작용의 기전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가장 보편적인 평가 방법은 치료 전, 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3차원의 두경부 구조물을 2차원 상태에서 해석하기 때문에 각 구조물의 왜곡현상과 좌우 구조물의 겹침 현상으로 인해 정밀한 중첩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치아이동은 3차원 공간상에서 입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차원 평면상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으로만 해석한다면 치아이동의 정확한 기전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치아이동 상태를 동적인 상태에서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계인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해 왔다4,6,11.
시뮬레이션 장비를 이용하면 구강 내에서 할 수 없는 여러 가지의 교정 장치의 작용기전을 분석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시뮬레이션장비는 실험 장치이므로 이 자체가 지니는 실험적인 오차범위와 계측시 일어나는 계측오차의 범위를 파악하고 있어야만 이 실험에 대하여 확률적인 신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실험기계를 이용한 실험 자료의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어 교정영역에서 가장 공간적인 치아이동을 요구하는 소구치 발치후 공간폐쇄시 치아이동 상태를 3차원적으로 계측, 평가하여 앞으로 이 기계를 이용한 실험결과의 신뢰성 여부를 확인해 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Calorific machine을 통해 발치공간폐쇄실험을 시행하고 실험전후 각 치아의 이동량을 2명의 계측자에게 2번을 계측하게 하여 계측결과에 대한 측정자간의 계측오차를 측정하였다. 이후, 제1, 2 소구치 발치여부에 따른 중절치와 제1 대구치 의 이동 양상을 실험전후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여 기준지표점을 중심으로 중첩하여 3차원적으로 측정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제1 소구치 및 제2 소구치를 발치하여 공간폐쇄를 한 각각의 실험에서 2명의 계측자간의 계측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계측오차의 안정성을 보였다(p<0.05).
제1 소구치를 발치한 경우와 제2 소구치를 발치한 경우의 공간 폐쇄기전을 실험적으로 연구한 결과, 교합면상, X축에서는 상악중절치는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는 +0.75mm 이동하였고,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는 -0.11mm이동하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1.38mm로 제1 소구치 발치에서 보다 내측으로 + 0.56mm 더 많이 이동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교합면상, Z축에서 상악중절치는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이동량이 8.4mm로 제2 소구치발치실험에서의 이동량인 4.88mm 보다 +3.52mm 많이 움직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전방으로 1.19mm 더 이동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시상면상, Z축에서 상악중절치는 두 실험에서 교합면과 동일하게 상악 제1 소구치 발치에서는 후방 이동량이 8.2mm로 상악 제2 소구치 발치에서의 이동량인 4.31m보다 +3.89mm 많았다(p=0.00). 상악제1 대구치의 전방이동량은 상악제2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보다 2.31mm 더 많았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Y축에서 상악중절치는 두 실험 모두에서 정출하였는데 제1 소구치 발치실험에서 -2.07mm로 제2 소구치발치의 -0.26mm 보다 1.81mm 더 많이 이동하였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 상악 제1 대구치는 두 실험 모두에서 압하되였는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연구결과, 계측자간의 각 계측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실험의 계측오차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인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Calorific machine으로 계속 진행될 실험 시에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치료의 준거범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in the Calorific machin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of tooth movement in the different upper premolar extraction case. Experiments was done 5 times in the each extraction case. Two-experienced dentist m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in the Calorific machin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of tooth movement in the different upper premolar extraction case. Experiments was done 5 times in the each extraction case. Two-experienced dentist measured twice.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ooth movement and the difference of intrameasurement, 2-tailed t-test was us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he measurement between two-examiner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1st premolar extraction group and the 2nd premolar extraction group.
(p value<0.05 )
The difference in the mesiodistal position, buccolingual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result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Calorific machine.
In future, if Calorific machine experiment be done, this data is given to statistically reliability about the measurement. And if upgrade experiment with Calorific machine is gone, the 3-dimensional tooth movement data will be set up for the orthodont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of the measurement in the Calorific machin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of tooth movement in the different upper premolar extraction case. Experiments was done 5 times in the each extraction case. Two-experienced dentist measured twice.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ooth movement and the difference of intrameasurement, 2-tailed t-test was us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the measurement between two-examiner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comparisons between the 1st premolar extraction group and the 2nd premolar extraction group.
(p value<0.05 )
The difference in the mesiodistal position, buccolingual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result improved the reliability of the Calorific machine.
In future, if Calorific machine experiment be done, this data is given to statistically reliability about the measurement. And if upgrade experiment with Calorific machine is gone, the 3-dimensional tooth movement data will be set up for the orthodontis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