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5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메탄올(MeOH)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균, 제초,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식물체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먼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활성이 있는 식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 중 밤 내피(RC_50=5.8 ㎍/㎖)와 느릅나무(RC_50=12.2 ㎍/㎖)껍질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 (RC_50=12 ㎍/㎖)과 BHA(RC_50=14 ㎍/㎖)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 외 13종에서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에 대하여 in vivo 방법으로 ...
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5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메탄올(MeOH)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균, 제초,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식물체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먼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활성이 있는 식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 중 밤 내피(RC_50=5.8 ㎍/㎖)와 느릅나무(RC_50=12.2 ㎍/㎖)껍질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 (RC_50=12 ㎍/㎖)과 BHA(RC_50=14 ㎍/㎖)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 외 13종에서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에 대하여 in vivo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굴피나무, 비목나무, 산국, 소리쟁이, 가막사리, 아왜나무에서 90% 이상의 식물병원균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다. 제초활성은 좀개구리밥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여 식물시료를 320 ㎍/㎖과 100 ㎍/㎖으로 두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좀개구리밥의 생육억제결과를 검정한 결과 비목나무, 산국, 초피나무 뿌리, 사방오리 및 고비 등 5가지 식물체 시료가 320 ㎍/㎖에서 좀개구리밥의 생장을 9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탱자나무와 쑥부쟁이는 320 ㎍/㎖에서 좀개구리밥의 생육을 60~80%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구리밥 검정을 통하여 효과가 인정되는 7가지 시료에 한하여 2주간 자란 10가지 식물체에 약제 살포 후 2주 후에 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좀개구리밥에 효과가 있었던 시료들이 모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살충활성 검정 결과에서는 식물시료 처리 후 24시간 후 1차 스크리닝 결과로 아왜나무에서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률이 5000 ㎍/㎖ 수준에서 100% 살충률을 나타내었기에 이에 대하여 식물시료 처리 후 48시간 후 2차 스크리닝을 한 결과 5000 ㎍/㎖에서만이 100% 살충률을 나타내었으며 농도를 감소시키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천연물유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채취한 85종의 다양한 식물체로부터 얻은 메탄올(MeOH)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항균, 제초, 살충활성을 나타내는 식물체를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먼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활성이 있는 식물이 많이 발견되었다. 이 중 밤 내피(RC_50=5.8 ㎍/㎖)와 느릅나무(RC_50=12.2 ㎍/㎖)껍질에서 대조구인 α-tocopherol (RC_50=12 ㎍/㎖)과 BHA(RC_50=14 ㎍/㎖)에 비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 외 13종에서도 비교적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대표적인 식물병원균 중 6종의 균주에 대하여 in vivo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굴피나무, 비목나무, 산국, 소리쟁이, 가막사리, 아왜나무에서 90% 이상의 식물병원균의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다. 제초활성은 좀개구리밥에 대한 검정을 실시하여 식물시료를 320 ㎍/㎖과 100 ㎍/㎖으로 두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좀개구리밥의 생육억제결과를 검정한 결과 비목나무, 산국, 초피나무 뿌리, 사방오리 및 고비 등 5가지 식물체 시료가 320 ㎍/㎖에서 좀개구리밥의 생장을 9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탱자나무와 쑥부쟁이는 320 ㎍/㎖에서 좀개구리밥의 생육을 60~80%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구리밥 검정을 통하여 효과가 인정되는 7가지 시료에 한하여 2주간 자란 10가지 식물체에 약제 살포 후 2주 후에 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좀개구리밥에 효과가 있었던 시료들이 모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살충활성 검정 결과에서는 식물시료 처리 후 24시간 후 1차 스크리닝 결과로 아왜나무에서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률이 5000 ㎍/㎖ 수준에서 100% 살충률을 나타내었기에 이에 대하여 식물시료 처리 후 48시간 후 2차 스크리닝을 한 결과 5000 ㎍/㎖에서만이 100% 살충률을 나타내었으며 농도를 감소시키면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s, Antifungies, herbicides and insecticides using the MeOH extracts from domestic plants. Among 85 plant extracts, 15 including Castanea crenata(RC_50=5.8 ㎍/㎖), Ulmus davidiana Planchon var. japonica(RC_50=12.2 ㎍/㎖) exhib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s, Antifungies, herbicides and insecticides using the MeOH extracts from domestic plants. Among 85 plant extracts, 15 including Castanea crenata(RC_50=5.8 ㎍/㎖), Ulmus davidiana Planchon var. japonica(RC_50=12.2 ㎍/㎖) exhibited strong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α-tocopherol(RC_50=12 ㎍/㎖) and BHA(RC_50=14 ㎍/㎖). In addition 6 plants extracts such as Platycarya strobilacea, Lindera erythrocarpa, Chrysanthemum boreale, Rumex crispus, Bidens tripartita, Viburnum awabuki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at least one of 6 plant diseases tested over 90%. About herbicidal activity, high effectiveness in 9 kinds of extract including Lindera erythrocarpa and Chrysanthemum boreale was confirmed by lemna assay in Duckweed. Zanthoxylum piperitum roots, Alnus firma(each 41 kg/ha, 40 kg/ha) showed the highest record about growth control effect which was confirmed by the experiment with 10 kinds of plants using those 9 kinds of extracts. we checked the insecticidal activity about 4 main insects in vivo. After 24 hours in vitro the rate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utella xylostella was 100% when using the extract with 5000 ㎍/㎖ coming from Viburnum awabuki. After 48 hou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the rate was same in 5000 ㎍/㎖, but the rate was below when under 5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s, Antifungies, herbicides and insecticides using the MeOH extracts from domestic plants. Among 85 plant extracts, 15 including Castanea crenata(RC_50=5.8 ㎍/㎖), Ulmus davidiana Planchon var. japonica(RC_50=12.2 ㎍/㎖) exhibited strong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α-tocopherol(RC_50=12 ㎍/㎖) and BHA(RC_50=14 ㎍/㎖). In addition 6 plants extracts such as Platycarya strobilacea, Lindera erythrocarpa, Chrysanthemum boreale, Rumex crispus, Bidens tripartita, Viburnum awabuki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at least one of 6 plant diseases tested over 90%. About herbicidal activity, high effectiveness in 9 kinds of extract including Lindera erythrocarpa and Chrysanthemum boreale was confirmed by lemna assay in Duckweed. Zanthoxylum piperitum roots, Alnus firma(each 41 kg/ha, 40 kg/ha) showed the highest record about growth control effect which was confirmed by the experiment with 10 kinds of plants using those 9 kinds of extracts. we checked the insecticidal activity about 4 main insects in vivo. After 24 hours in vitro the rate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lutella xylostella was 100% when using the extract with 5000 ㎍/㎖ coming from Viburnum awabuki. After 48 hour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the rate was same in 5000 ㎍/㎖, but the rate was below when under 5000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