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대규모 도시 근린공원의 이용후 평가 : 광주광역시 상무시민공원을 대상으로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Neighborhood Park:A Case Study of Sang Moo Park in Gwang-Ju Metropolitan City원문보기
1980년대 이후 수도권의 인구분산과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도권에 신도시가 들어서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신도시 규모보다 작지만 주거지역 개선을 위한 소규모의 신도심 개발이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신도심 개발은 도심부의 상업, 업무지역을 확대하고 효율적인 토지이용과 교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제적인 요구와 도시발전의 그늘 아래서 과밀화, 노출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의 양면에서 시행되고 있는 개발이다. 이와 같은 신도심 개발 지역인 광주광역시 상무지구는 주거환경의 개선과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해 계획되고 조성됨으로써 공원, 녹지의 확보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계획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고도화만 강조한 결과 공원 이용자의 행태, 요구 및 도시의 발전 가능성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조성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
1980년대 이후 수도권의 인구분산과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도권에 신도시가 들어서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신도시 규모보다 작지만 주거지역 개선을 위한 소규모의 신도심 개발이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신도심 개발은 도심부의 상업, 업무지역을 확대하고 효율적인 토지이용과 교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제적인 요구와 도시발전의 그늘 아래서 과밀화, 노출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의 양면에서 시행되고 있는 개발이다. 이와 같은 신도심 개발 지역인 광주광역시 상무지구는 주거환경의 개선과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해 계획되고 조성됨으로써 공원, 녹지의 확보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계획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고도화만 강조한 결과 공원 이용자의 행태, 요구 및 도시의 발전 가능성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조성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 중 인근주민들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근린공원인 상무지구 시민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후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 행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민공원 이용자의 일반적 속성은 여성의 이용 비율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공원 이용권은 2㎞ 이상으로 이용객은 상무지역 주민과 서구 주민이 그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용객 대부분은 차량을 이용해서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이용시기는 사계절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여 비교적 도심지 내 타공간에 비해 계절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휴식이나 산책 등으로 나타나 일상 생활과 함께 하는 근린공간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한 상태로 향후 근린공원 조성시 이러한 점을 고려한 공원조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부족한 놀이시설, 그늘진 휴식공간 확충, 녹지공간 확보 등으로 공원이용 목적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나타나 공원환경과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고려한 측면에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사항을 종합해 보면 전체적인 만족도에 있어서는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한 사람은 38%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라고 응답한 이용자는 61%를 차지해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요 변수간 공원이용에 대한 만족도 관계성을 종합해 보면 광장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반면 운동장, 휴식공간, 산책길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 근린공원은 종합적인 기대를 충족하고 있었으나 향후 근린공원 조성시 다양한 시설 및 활동 프로그램의 도입과 편의시설의 도입, 공원환경과 이용자를 고려한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 곳의 근린공원을 사례로 들어 수행하였으며, 계절별 이용자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것이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으로 들 수 있다. 이에 향후 근린공원 이용후평가에 대한 연구를 할 때에는 계획가적 측면과 공원 관리자와의 인터뷰 및 계절별 이용자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1980년대 이후 수도권의 인구분산과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도권에 신도시가 들어서기 시작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신도시 규모보다 작지만 주거지역 개선을 위한 소규모의 신도심 개발이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신도심 개발은 도심부의 상업, 업무지역을 확대하고 효율적인 토지이용과 교통의 편의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제적인 요구와 도시발전의 그늘 아래서 과밀화, 노출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적 요구의 양면에서 시행되고 있는 개발이다. 이와 같은 신도심 개발 지역인 광주광역시 상무지구는 주거환경의 개선과 도시기능 활성화를 위해 계획되고 조성됨으로써 공원, 녹지의 확보도 높은 편이다. 그러나 계획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토지의 고도화만 강조한 결과 공원 이용자의 행태, 요구 및 도시의 발전 가능성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하고 조성함으로써 많은 문제점을 낳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 중 인근주민들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근린공원인 상무지구 시민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후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 행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민공원 이용자의 일반적 속성은 여성의 이용 비율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공원 이용권은 2㎞ 이상으로 이용객은 상무지역 주민과 서구 주민이 그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용객 대부분은 차량을 이용해서 공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이용시기는 사계절이 전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여 비교적 도심지 내 타공간에 비해 계절의 영향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주 이용목적은 휴식이나 산책 등으로 나타나 일상 생활과 함께 하는 근린공간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지역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은 거의 전무한 상태로 향후 근린공원 조성시 이러한 점을 고려한 공원조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부족한 놀이시설, 그늘진 휴식공간 확충, 녹지공간 확보 등으로 공원이용 목적과 관련된 내용이 주로 나타나 공원환경과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고려한 측면에서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사항을 종합해 보면 전체적인 만족도에 있어서는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한 사람은 38%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라고 응답한 이용자는 61%를 차지해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요 변수간 공원이용에 대한 만족도 관계성을 종합해 보면 광장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반면 운동장, 휴식공간, 산책길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 근린공원은 종합적인 기대를 충족하고 있었으나 향후 근린공원 조성시 다양한 시설 및 활동 프로그램의 도입과 편의시설의 도입, 공원환경과 이용자를 고려한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 곳의 근린공원을 사례로 들어 수행하였으며, 계절별 이용자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것이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으로 들 수 있다. 이에 향후 근린공원 이용후평가에 대한 연구를 할 때에는 계획가적 측면과 공원 관리자와의 인터뷰 및 계절별 이용자 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Since 1980, new cities have begun to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o promote distributing population and the balanced developments of the national land, and at the same time, in an attempt to redevelop the heart of the Metropolis, small-sized developments to improve residential circ...
Since 1980, new cities have begun to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o promote distributing population and the balanced developments of the national land, and at the same time, in an attempt to redevelop the heart of the Metropolis, small-sized developments to improve residential circumstances became a new method to activate city functions. Generally, newly developing city centers are due to both economical needs to expand commercial or business sectors, and to secure efficient land usages and convenient traffics, and social needs to improve current overcrowding and exposed living environments under the shade of developing a city. Commercial and business zones, newly developed city centers at Sang-mu distric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planned and created areas to improve residential circumstance and to activate city function, and therefore, are equipped with many parks and forest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in spite of plans beforehand because there had been no precise estimations on the activities of park users, their reques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a city, due to excessive emphases on highly efficient land usages. In this research, the neighborhood park in a commercial and business area, which is tightly related to the livings of adjacent residents,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evaluating users satisfaction who have visited the park. Surveys on docume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obtain raw materials about neighborhood parks. The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were theoretical thoughts, and the analysis of park users` behavior based on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 The general features of neighborhood park users were that women users were more than men users, and that the most park users were residents living in Sang-mu district and Seo-gu. Zones using a park are more wider than diameter 2 kilometer, and most of the park users use automobiles when visiting the park. Seasonal usages were equally distributed among the four seasons, less influenced by seasonal features than other parks in cities. The main purpose of using the park was to rest or to take a walk, showing it being a neighborhood space in daily lives. However, there was no special program for residents, suggesting that this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nother neighborhood park. Items to be improved were deficient play facilities, short of shaded resting areas, poor park events, and insufficient forest areas, and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purpose of using the park.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improve park circumstances and to consider users needs. From the aspect of satisfactions in using the park, 3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well satisfied in using the park, and 61% answered that the park status was normal.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rather good evaluations about using the park. When synthesizing those satisfactions among main factors, the satisfaction of public square users was the lowest, while those of the users of a playground, resting areas, and walks were rather high. Therefore, it seems that introducing various facilities is important. Based on those research results, neighborhood parks have satisfied general expectations, but it seem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when designing future neighborhood parks, and to improve park circumstances, considering users needs. In this research, only one neighborhood park was analyzed, but this research was limited in its scope because seasonal analyses were not performed. Therefore, future researches need to consider planner aspects, interviews with park managers and seasonal researches.
Since 1980, new cities have begun to be establish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o promote distributing population and the balanced developments of the national land, and at the same time, in an attempt to redevelop the heart of the Metropolis, small-sized developments to improve residential circumstances became a new method to activate city functions. Generally, newly developing city centers are due to both economical needs to expand commercial or business sectors, and to secure efficient land usages and convenient traffics, and social needs to improve current overcrowding and exposed living environments under the shade of developing a city. Commercial and business zones, newly developed city centers at Sang-mu district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planned and created areas to improve residential circumstance and to activate city function, and therefore, are equipped with many parks and forests.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problems in spite of plans beforehand because there had been no precise estimations on the activities of park users, their requests, and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a city, due to excessive emphases on highly efficient land usages. In this research, the neighborhood park in a commercial and business area, which is tightly related to the livings of adjacent residents,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evaluating users satisfaction who have visited the park. Surveys on document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obtain raw materials about neighborhood parks. The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were theoretical thoughts, and the analysis of park users` behavior based on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 The general features of neighborhood park users were that women users were more than men users, and that the most park users were residents living in Sang-mu district and Seo-gu. Zones using a park are more wider than diameter 2 kilometer, and most of the park users use automobiles when visiting the park. Seasonal usages were equally distributed among the four seasons, less influenced by seasonal features than other parks in cities. The main purpose of using the park was to rest or to take a walk, showing it being a neighborhood space in daily lives. However, there was no special program for residents, suggesting that this aspec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nother neighborhood park. Items to be improved were deficient play facilities, short of shaded resting areas, poor park events, and insufficient forest areas, and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purpose of using the park. Therefore, it seems urgent to improve park circumstances and to consider users needs. From the aspect of satisfactions in using the park, 38%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well satisfied in using the park, and 61% answered that the park status was normal.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rather good evaluations about using the park. When synthesizing those satisfactions among main factors, the satisfaction of public square users was the lowest, while those of the users of a playground, resting areas, and walks were rather high. Therefore, it seems that introducing various facilities is important. Based on those research results, neighborhood parks have satisfied general expectations, but it seem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when designing future neighborhood parks, and to improve park circumstances, considering users needs. In this research, only one neighborhood park was analyzed, but this research was limited in its scope because seasonal analyses were not performed. Therefore, future researches need to consider planner aspects, interviews with park managers and seasonal research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