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무가 <바리공주>는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사무가로 무속의 세계관을 대표하며,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무속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는 <바리공주>형 서사무가 51편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전승 자료를 비교하는 것으로 접근을 시도했다. 먼저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채록된 자료들을 인접지역을 기준으로 크게 중서부, 전라도, 경상도·동해안, 북한지역으로 네 구획화 하여 권역별 전승자료를 대비, 검토해 보았다. 채록자료들은 전승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이며 독특한 형태로 변이,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전 작품을 망라하는 공통단락 추출에 난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각 지역별 채록자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검토를 통해 작품의 유기적 구조를 이루는 공통화소를 추출해 볼 수 있었다. 공통화소를 중심으로 추출된 단락은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사무가로 무속의 세계관을 대표하며,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무속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는 <바리공주>형 서사무가 51편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전승 자료를 비교하는 것으로 접근을 시도했다. 먼저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채록된 자료들을 인접지역을 기준으로 크게 중서부, 전라도, 경상도·동해안, 북한지역으로 네 구획화 하여 권역별 전승자료를 대비, 검토해 보았다. 채록자료들은 전승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이며 독특한 형태로 변이,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전 작품을 망라하는 공통단락 추출에 난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각 지역별 채록자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검토를 통해 작품의 유기적 구조를 이루는 공통화소를 추출해 볼 수 있었다. 공통화소를 중심으로 추출된 단락은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구조분석과 아울러 작품의 내면의식에 대한 연구의 기본자료로 활용되었다. 본고의 준된 관점은 먼저 <바리공주>를 순환구조와 대립구조로 분석해 보고,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바리공주>가 지닌 내면적 의미를 찾는 것이었다. 순환구조의 분석결과, 한 단락이 '문제의 제기 - 해결시도 - 해결'이라는 세 단락 요소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반복 구조속에서 신화적 요소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는 <신화>라는 문학적 요소에서 인간은 신과의 관계를 통해 언제까지나 존귀한 인격체로서 가치를 고양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한편, 대립구조의 분석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아버지에 의하여 주도되는 세계'와 '딸이 주도하는 세계'가 이원적 대립 구도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 두 인물이 주도하는 세계는 두 인물의 성격만큼이나 대조되는 세계임을 보였다. 이와 같은 대립의 세계에서 바리공주의 주된 모티프 가운데 하나인 '기아'는 단지 여자라는 이유 하나로 세상에 버려지게 된 것인 바, 이는 견고한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이라는 전형성을 띤다. 이는 남아선호사상이 아직도 뿌리깊게 남아있는 현실상황이요, 실존상황이고 보면 바리공주의 시련극복을 통한 무신 좌정의 신직 권능은 단순한 무조신화로서의 신격화에 그치지 않고 '여성 자아 인식의 획득'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바리공주> 무가를 권역별로 나누어 봄으로써 무가권 구획의 기반을 살펴볼 수 있었고, <바리공주>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의 전개 양상을 통해 <바리공주>에 내포되어 있는 문학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바리공주>가 굿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라고 보면 다른 서사무가와 관련성, 특히 판소리와의 관련성은 밀접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단순한 사설만의 비교가 아니라 음악에 대한 비교까지 함께 살펴본다면 좀 더 심화된 고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서사무가 <바리공주>는 하나의 완결된 이야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사무가로 무속의 세계관을 대표하며, 다양한 연구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무속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있는 <바리공주>형 서사무가 51편을 대상으로 하여, 지역별 전승 자료를 비교하는 것으로 접근을 시도했다. 먼저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채록된 자료들을 인접지역을 기준으로 크게 중서부, 전라도, 경상도·동해안, 북한지역으로 네 구획화 하여 권역별 전승자료를 대비, 검토해 보았다. 채록자료들은 전승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이며 독특한 형태로 변이, 발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전 작품을 망라하는 공통단락 추출에 난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각 지역별 채록자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비교·검토를 통해 작품의 유기적 구조를 이루는 공통화소를 추출해 볼 수 있었다. 공통화소를 중심으로 추출된 단락은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구조분석과 아울러 작품의 내면의식에 대한 연구의 기본자료로 활용되었다. 본고의 준된 관점은 먼저 <바리공주>를 순환구조와 대립구조로 분석해 보고, 여기서 얻어진 자료를 통하여 <바리공주>가 지닌 내면적 의미를 찾는 것이었다. 순환구조의 분석결과, 한 단락이 '문제의 제기 - 해결시도 - 해결'이라는 세 단락 요소로 이루어졌으며, 이들 반복 구조속에서 신화적 요소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는 <신화>라는 문학적 요소에서 인간은 신과의 관계를 통해 언제까지나 존귀한 인격체로서 가치를 고양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한편, 대립구조의 분석을 통하여 <바리공주>는 '아버지에 의하여 주도되는 세계'와 '딸이 주도하는 세계'가 이원적 대립 구도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 두 인물이 주도하는 세계는 두 인물의 성격만큼이나 대조되는 세계임을 보였다. 이와 같은 대립의 세계에서 바리공주의 주된 모티프 가운데 하나인 '기아'는 단지 여자라는 이유 하나로 세상에 버려지게 된 것인 바, 이는 견고한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이라는 전형성을 띤다. 이는 남아선호사상이 아직도 뿌리깊게 남아있는 현실상황이요, 실존상황이고 보면 바리공주의 시련극복을 통한 무신 좌정의 신직 권능은 단순한 무조신화로서의 신격화에 그치지 않고 '여성 자아 인식의 획득'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해 <바리공주> 무가를 권역별로 나누어 봄으로써 무가권 구획의 기반을 살펴볼 수 있었고, <바리공주>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되고 전개되었는지의 전개 양상을 통해 <바리공주>에 내포되어 있는 문학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바리공주>가 굿에서 연행되는 서사무가라고 보면 다른 서사무가와 관련성, 특히 판소리와의 관련성은 밀접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단순한 사설만의 비교가 아니라 음악에 대한 비교까지 함께 살펴본다면 좀 더 심화된 고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eosa Mooga is a Mooga in which many pieces of complete stories are organized. It represents the world of Shamanism and has a possibility of more studies. This study aims at a comparison of folk materials like 51 shaman narratives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The materials collected to prepare a b...
Seosa Mooga is a Mooga in which many pieces of complete stories are organized. It represents the world of Shamanism and has a possibility of more studies. This study aims at a comparison of folk materials like 51 shaman narratives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The materials collected to prepare a base of comparison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districts as follows : the central-west, the Jeolla, the Kyongsang-east coast and the North. A variation was found among the materials collected according to the district. A collection of common point and difference of the materials was badly affected by the variation. However, common elements with organized structure were abstracted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 The result from the abstracted common elements was used as a basic material to study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work and an analysis of structure of Seosa Mooga This study focused on an analysis of rotational and confronting structures of Seosa Mooga and using the result, an implied meaning of the Mooga was studied. As an analysis result of rotational structure, it is known that one chapter is composed of three paragraphs : a presentation of a question, an attempt of settlement and settlement. Through a repetitive structure of the work, a mythological element was found. It is implied that in the mythological element, people have a mind to encourage a fine character through a relation with gods. Through an analysis of oppositional structure, it is known that Seosa Mooga has a dual-oppositional structure : a world dominated by father and one by daughter. In an oppositional world, starvation is one of the motifs in this work. The daughter is abandoned because she is a girl. She lives in a society controlled by men. It is a typical picture of the society with a patriarchal system. The princess overcomes a hardship and establishes her identity. In this context, this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women acquire their identities. In all procedure mentioned above, the Mooga was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o review a base of Mooga. And through a developmental procedure of this narrative, the nature of the work was analysed. However, as is a narrative performed in Shamanism, it is thought that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ansori. More extended studies are necessary in a comparison with music as well as narrative.
Seosa Mooga is a Mooga in which many pieces of complete stories are organized. It represents the world of Shamanism and has a possibility of more studies. This study aims at a comparison of folk materials like 51 shaman narratives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The materials collected to prepare a base of comparison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districts as follows : the central-west, the Jeolla, the Kyongsang-east coast and the North. A variation was found among the materials collected according to the district. A collection of common point and difference of the materials was badly affected by the variation. However, common elements with organized structure were abstracted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 The result from the abstracted common elements was used as a basic material to study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work and an analysis of structure of Seosa Mooga This study focused on an analysis of rotational and confronting structures of Seosa Mooga and using the result, an implied meaning of the Mooga was studied. As an analysis result of rotational structure, it is known that one chapter is composed of three paragraphs : a presentation of a question, an attempt of settlement and settlement. Through a repetitive structure of the work, a mythological element was found. It is implied that in the mythological element, people have a mind to encourage a fine character through a relation with gods. Through an analysis of oppositional structure, it is known that Seosa Mooga has a dual-oppositional structure : a world dominated by father and one by daughter. In an oppositional world, starvation is one of the motifs in this work. The daughter is abandoned because she is a girl. She lives in a society controlled by men. It is a typical picture of the society with a patriarchal system. The princess overcomes a hardship and establishes her identity. In this context, this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women acquire their identities. In all procedure mentioned above, the Mooga was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to review a base of Mooga. And through a developmental procedure of this narrative, the nature of the work was analysed. However, as is a narrative performed in Shamanism, it is thought that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ansori. More extended studies are necessary in a comparison with music as well as narrati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