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원고용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장애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 focused on mentally retarded employees원문보기
본 연구는 지원고용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규명하여, 기업주의 고용만족도를 실제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정신지체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고용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주된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장애인복지관 98개중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원고용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전국 46개 장애인복지관에서 지원고용으로 취업한 기업체 460곳 중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만족도의 수준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6일∼11월 8일까지 5주에 걸쳐 총 26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이중 255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관련요인 정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결과, 직장생활에서는 출근시간준수가, 직무수행능력에서는 직무를 배운 대로 수행하는 것이, 작업태도에서는 감독자의 지시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환경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고용유지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기업주의 복수응답에 따른 개인적인 의견과 관련된 ...
본 연구는 지원고용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규명하여, 기업주의 고용만족도를 실제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정신지체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고용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주된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장애인복지관 98개중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원고용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전국 46개 장애인복지관에서 지원고용으로 취업한 기업체 460곳 중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만족도의 수준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6일∼11월 8일까지 5주에 걸쳐 총 26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이중 255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관련요인 정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결과, 직장생활에서는 출근시간준수가, 직무수행능력에서는 직무를 배운 대로 수행하는 것이, 작업태도에서는 감독자의 지시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환경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고용유지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기업주의 복수응답에 따른 개인적인 의견과 관련된 빈도분석 결과, 지원제도에서는 장애인고용장려금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장애인고용 형태로는 비장애인과 같이 근무하는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인고용시 선호하는 장애유형으로는 지체장애인을 기업주는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고용시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는 국가정책이라고 응답했으며, 장애인 채용 및 고용유지 애로사항으로 장애인의 직업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전환을 긍정적인 효과로 보고 있으며, 기업주지원제도에 대한 불만족 사항으로는 지원절차의 까다로움이 가장 높으며, 장애인고용에 필요한 정부지원은 장애인고용 기업체에 대한 세금할인 혜택 및 지원혜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직장생활, 직무수행능력, 작업태도, 전문가지원, 직장동료지원, 가족지원이 정적 상관관계(P<0.01)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공선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넷째, 직무관련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좋을수록 기업주의 고용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사회환경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직장동료의 지원과 가족지원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동료가 기업주의 장애인고용을 이해하고 지원해 줄 때와 부모의 관심과 협조가 좋을수록 기업주 고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지원제도관련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현재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기업과 지원받지 않고 있는 기업의 차이검증을 위한 t-test 및 회귀분석 결과, 기업주 고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 Full Model 과 Reduced Model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직무수행능력(P<0.001), 작업태도(P<0.001), 직장동료지원(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업주 고용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주 고용만족도는 지원고용대상자의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정신지체장애인이 일정량의 생산성을 올릴 수 있도록 직무배치 이전에 직장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준비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주 고용만족도는 직장동료의 지원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현장실습 단계에서부터 정신지체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는 직장동료를 현장에서 찾아 지원하여야 하며, 장애인의 편견을 없애기 위한 지원고용 기업체 홍보와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요인에서 정신지체장애인의 고용유지기대가 높게 나타나 정부지원제도가 유인책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지원제도상의 불만족요인을 분석하여 지원정책이 장애인고용 기업주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원고용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규명하여, 기업주의 고용만족도를 실제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정신지체장애인의 고용안정 및 고용활성화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주된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장애인복지관 98개중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지원고용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전국 46개 장애인복지관에서 지원고용으로 취업한 기업체 460곳 중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용만족도의 수준을 측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10월 6일∼11월 8일까지 5주에 걸쳐 총 26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이중 255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관련요인 정도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결과, 직장생활에서는 출근시간준수가, 직무수행능력에서는 직무를 배운 대로 수행하는 것이, 작업태도에서는 감독자의 지시수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회환경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요인 정도에 대해서는, 고용유지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기업주의 복수응답에 따른 개인적인 의견과 관련된 빈도분석 결과, 지원제도에서는 장애인고용장려금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장애인고용 형태로는 비장애인과 같이 근무하는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애인고용시 선호하는 장애유형으로는 지체장애인을 기업주는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고용시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는 국가정책이라고 응답했으며, 장애인 채용 및 고용유지 애로사항으로 장애인의 직업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는 장애인에 대한 인식전환을 긍정적인 효과로 보고 있으며, 기업주지원제도에 대한 불만족 사항으로는 지원절차의 까다로움이 가장 높으며, 장애인고용에 필요한 정부지원은 장애인고용 기업체에 대한 세금할인 혜택 및 지원혜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직장생활, 직무수행능력, 작업태도, 전문가지원, 직장동료지원, 가족지원이 정적 상관관계(P<0.01)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중공선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넷째, 직무관련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좋을수록 기업주의 고용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사회환경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직장동료의 지원과 가족지원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장동료가 기업주의 장애인고용을 이해하고 지원해 줄 때와 부모의 관심과 협조가 좋을수록 기업주 고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지원제도관련요인이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현재 정부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기업과 지원받지 않고 있는 기업의 차이검증을 위한 t-test 및 회귀분석 결과, 기업주 고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 Full Model 과 Reduced Model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직무수행능력(P<0.001), 작업태도(P<0.001), 직장동료지원(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업주 고용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주 고용만족도는 지원고용대상자의 직무수행능력과 작업태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정신지체장애인이 일정량의 생산성을 올릴 수 있도록 직무배치 이전에 직장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다양한 직업준비훈련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주 고용만족도는 직장동료의 지원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현장실습 단계에서부터 정신지체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는 직장동료를 현장에서 찾아 지원하여야 하며, 장애인의 편견을 없애기 위한 지원고용 기업체 홍보와 인식개선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주의 고용만족도요인에서 정신지체장애인의 고용유지기대가 높게 나타나 정부지원제도가 유인책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지원제도상의 불만족요인을 분석하여 지원정책이 장애인고용 기업주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시급한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employees, while exploring the multi-faceted ways to stabilize and activate employment of the mentally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employees, while exploring the multi-faceted ways to stabilize and activate employ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For this purpose, 460 companies who had employed the handicapped people recommended by 46 handicapped peoples' welfare centers out of 98 ones throughout the nation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designed to measur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andicapped employe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 weeks from October 6 to November 8, 2003. A total of 260 companies returned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mong them, 255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atistically analyzing the job-related factors, it was found that handicapped employees tended to come to their workplaces on time, practicing what they had learned and following their supervisors' i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they wished most for professionals' counselling services among socio-environmental factors, while wishing for continued employment. Second, as a result of frequency-analyzing employers' personal opinions, it was found that they used the handicapped people's employment subsidy system most, and that they preferred the desegregated workplaces as well as physically disabled people most among the handicapped people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 government policies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their employment of handicapped people, while being concerned most about handicapped people's job performance for continued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m perceived that employment of the handicapped people would serve to reawaken ordinary people of their life. Most of the employers surveyed were dissatisfied with red-tapes for supported Employment, while wishing most for tax and financial incentives in return for their employment of handicapped people.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entire factors, there were found som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job life, job performance, working attitude, professionals' support, colleagues' support and family members' support. (P<0.01). However, there was found no multicolinearity among them.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job-related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had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handicapped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were, their employ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m. Fif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olleagues' and family members' supports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handicapped employees. Namely, the more the colleagues understood handicapped people and the more the family members were concerned about them, employ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mployment supporting system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and as a result of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for differences between those companies subsidized and those not subsidized, it was found that such factors or subsidies had not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employers' satisfaction by using Full Model and Reduced Model, it was found that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job performance (P<0.001), working attitude (P<0.001) and colleagues' support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or improving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were suggested; First, since handicapped people's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m, it is deemed necessary to train mentally retarded people on diverse skills required for their job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before they are placed at jobs. Second, since colleagues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it is essential to find the normal employees who can support mentally retarded employees even at the stage of field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operate P.R. and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help ordinary people not to be affected by their bias against handicapped people. Third, since it may be interpre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employers' satisfaction is much affected by mentally retarded employees' expectation of continued employment supported by government incentive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negatively affecting employers, and thereby, reform them urgently to be helpful to employ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orted Employment system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employees, while exploring the multi-faceted ways to stabilize and activate employ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people. For this purpose, 460 companies who had employed the handicapped people recommended by 46 handicapped peoples' welfare centers out of 98 ones throughout the nation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a questionnaire survey designed to measur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handicapped employe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 weeks from October 6 to November 8, 2003. A total of 260 companies returned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mong them, 255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tatistically analyzing the job-related factors, it was found that handicapped employees tended to come to their workplaces on time, practicing what they had learned and following their supervisors' i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they wished most for professionals' counselling services among socio-environmental factors, while wishing for continued employment. Second, as a result of frequency-analyzing employers' personal opinions, it was found that they used the handicapped people's employment subsidy system most, and that they preferred the desegregated workplaces as well as physically disabled people most among the handicapped peoples. Most of them answered that the government policies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their employment of handicapped people, while being concerned most about handicapped people's job performance for continued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m perceived that employment of the handicapped people would serve to reawaken ordinary people of their life. Most of the employers surveyed were dissatisfied with red-tapes for supported Employment, while wishing most for tax and financial incentives in return for their employment of handicapped people. Thir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entire factors, there were found som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job life, job performance, working attitude, professionals' support, colleagues' support and family members' support. (P<0.01). However, there was found no multicolinearity among them. Four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job-related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employees, it was found that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had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handicapped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were, their employ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m. Fif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colleagues' and family members' supports had som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handicapped employees. Namely, the more the colleagues understood handicapped people and the more the family members were concerned about them, employ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mployment supporting system factors on employers' satisfaction and as a result of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for differences between those companies subsidized and those not subsidized, it was found that such factors or subsidies had not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each factor on employers' satisfaction by using Full Model and Reduced Model, it was found that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job performance (P<0.001), working attitude (P<0.001) and colleagues' support (P<0.01)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form measures for improving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ir handicapped employees were suggested; First, since handicapped people's job performance and working attitud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with them, it is deemed necessary to train mentally retarded people on diverse skills required for their job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before they are placed at jobs. Second, since colleagues support has significant effects on employers' satisfaction, it is essential to find the normal employees who can support mentally retarded employees even at the stage of field practice.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operate P.R. and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help ordinary people not to be affected by their bias against handicapped people. Third, since it may be interpret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employers' satisfaction is much affected by mentally retarded employees' expectation of continued employment supported by government incentives, it is also necessary to analyze the factors of the Employment support system negatively affecting employers, and thereby, reform them urgently to be helpful to employers.
Keyword
#지원고용 기업주 고용만족도 정신지체장애인 Supported employment Employer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Mentally retarded people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형완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사회복지전공
지도교수
최수찬
발행연도
2003
총페이지
viii, 99p.
키워드
지원고용 기업주 고용만족도 정신지체장애인 Supported employment Employer Satisfaction with employment Mentally retarded peop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