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건축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고층 복합화된 건물들의 수직단절이다. 렘쿨하스 같은 건축가들은 수직단절의 문제점을 단순한 계단 기능에 있다고 보고 계단 공간을 목적공간화 시킴으로서 건축물의 수직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한다. 하지만 계단의 목적공간화는 고층건물에서 계단이 차지하는 면적을 필요이상으로 높여, 효율성을 떨어뜨릴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고층복합 건물들에서는 적정한 장소에 목적 공간화 된 계단을 두고 있다. 그 결과 고층건물 내에는 의미를 가진 계단을 건축가가 가장 중요다고 생각하는 장소에 위치시키고, 나머지는 단순한 기능을 가진 계단들을 위치함으로써 수직통합과 고층건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를 한다. 본 논문은 계단의 유형과 공간구조에 따른 수직 동선을 해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을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하였고,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개방형, 반개방형, 폐쇄형으로,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내부형, 벽부형, 코너형으로,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곡선계단, 직선계단, 꺾인계단으로 나누었다. 둘째, 계단을 유형과 다르게 공간 연결적인 관점에서 나누었다. 수직연결 기능을 극대화 하기위해 계단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기능적 효율성을 추구한 '코어형 계단', 층과 층사이 위상 차이를 인정하고 층간을 연결하는 '통로 공간형 계단', 계단 자체를 목적공간의 의미로 해석하여 층간의 위상을 극복하여 수직통합을 위한 '목적 공간형 계단'으로 나누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분류한 계단들은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보면, '목적 공간형 계단', '통로 공간형 계단', '코어형 계단' 순으로 공간구조에서 중요한 곳에 위치한다. 넷째, 앞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과 공간연결적인 관점과의 관계를 밝혀내어 각 계단의 유형들에 객관적으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기존의 연구에서 유형적 분류에 그쳤던 계단의 분류를 공간적 의미와 관련지어 '목적공간형 계단'은 '1 ...
현대 건축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고층 복합화된 건물들의 수직단절이다. 렘쿨하스 같은 건축가들은 수직단절의 문제점을 단순한 계단 기능에 있다고 보고 계단 공간을 목적공간화 시킴으로서 건축물의 수직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한다. 하지만 계단의 목적공간화는 고층건물에서 계단이 차지하는 면적을 필요이상으로 높여, 효율성을 떨어뜨릴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고층복합 건물들에서는 적정한 장소에 목적 공간화 된 계단을 두고 있다. 그 결과 고층건물 내에는 의미를 가진 계단을 건축가가 가장 중요다고 생각하는 장소에 위치시키고, 나머지는 단순한 기능을 가진 계단들을 위치함으로써 수직통합과 고층건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를 한다. 본 논문은 계단의 유형과 공간구조에 따른 수직 동선을 해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을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하였고,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개방형, 반개방형, 폐쇄형으로,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내부형, 벽부형, 코너형으로,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곡선계단, 직선계단, 꺾인계단으로 나누었다. 둘째, 계단을 유형과 다르게 공간 연결적인 관점에서 나누었다. 수직연결 기능을 극대화 하기위해 계단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기능적 효율성을 추구한 '코어형 계단', 층과 층사이 위상 차이를 인정하고 층간을 연결하는 '통로 공간형 계단', 계단 자체를 목적공간의 의미로 해석하여 층간의 위상을 극복하여 수직통합을 위한 '목적 공간형 계단'으로 나누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분류한 계단들은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보면, '목적 공간형 계단', '통로 공간형 계단', '코어형 계단' 순으로 공간구조에서 중요한 곳에 위치한다. 넷째, 앞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과 공간연결적인 관점과의 관계를 밝혀내어 각 계단의 유형들에 객관적으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기존의 연구에서 유형적 분류에 그쳤던 계단의 분류를 공간적 의미와 관련지어 '목적공간형 계단'은 '1 depth', '통로공간형 계단'은 '2 depth', '코어형 계단'은 'depth 없음'을 주었고, 이와 관련하여 27개 계단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른 공간의 가중치가 부여 될 수 있었다. 여섯째, 사례대상지 분석은 기존 공간구문론 수직동선의 획일적 방식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직동선 가중치 부여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롯데월드(R=0.531 → 0.590) 센트럴시티(R=0.404 → 0.638), 두 곳 모두 가중치 부여방식이 보행량의 상관관계가 높아짐으로서 계단은 유형에 따라 공간적 의미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계단들은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위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분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특히 'depth'의 개념으로 계단의 공간적 의미를 보았다. 계단이 '1depth', '2depth', 'depth 없음'이라는 말은 공간적 관점에서 보면 계단은 수직통합을 할 수도, 또는 수직을 단순히 연결 할 수도, 또는 수직을 단절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보행량과 가중치를 부여한 계단의 상관관계가 높아지는 것에따라 증명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계단의 위계는 공간구문론 분석시 기존의 획일적인 계단연결방식에서 벗어나 계단의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고, 유형에 따른 공간적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의미가 중요시되는 계단 수직 동선부에 객관적인 유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연구의 성과이다.
현대 건축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고층 복합화된 건물들의 수직단절이다. 렘쿨하스 같은 건축가들은 수직단절의 문제점을 단순한 계단 기능에 있다고 보고 계단 공간을 목적공간화 시킴으로서 건축물의 수직 단절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를 한다. 하지만 계단의 목적공간화는 고층건물에서 계단이 차지하는 면적을 필요이상으로 높여, 효율성을 떨어뜨릴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고층복합 건물들에서는 적정한 장소에 목적 공간화 된 계단을 두고 있다. 그 결과 고층건물 내에는 의미를 가진 계단을 건축가가 가장 중요다고 생각하는 장소에 위치시키고, 나머지는 단순한 기능을 가진 계단들을 위치함으로써 수직통합과 고층건물의 효율성을 높이는 시도를 한다. 본 논문은 계단의 유형과 공간구조에 따른 수직 동선을 해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하였다. 첫째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을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를 하였고, 벽의 막힘정도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개방형, 반개방형, 폐쇄형으로, 벽의 위치에 따른 계단의 분류는 내부형, 벽부형, 코너형으로, 계단의 형태에 따른 분류는 곡선계단, 직선계단, 꺾인계단으로 나누었다. 둘째, 계단을 유형과 다르게 공간 연결적인 관점에서 나누었다. 수직연결 기능을 극대화 하기위해 계단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기능적 효율성을 추구한 '코어형 계단', 층과 층사이 위상 차이를 인정하고 층간을 연결하는 '통로 공간형 계단', 계단 자체를 목적공간의 의미로 해석하여 층간의 위상을 극복하여 수직통합을 위한 '목적 공간형 계단'으로 나누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분류한 계단들은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보면, '목적 공간형 계단', '통로 공간형 계단', '코어형 계단' 순으로 공간구조에서 중요한 곳에 위치한다. 넷째, 앞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계단의 유형과 공간연결적인 관점과의 관계를 밝혀내어 각 계단의 유형들에 객관적으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분석할 수 있었다. 다섯째, 기존의 연구에서 유형적 분류에 그쳤던 계단의 분류를 공간적 의미와 관련지어 '목적공간형 계단'은 '1 depth', '통로공간형 계단'은 '2 depth', '코어형 계단'은 'depth 없음'을 주었고, 이와 관련하여 27개 계단의 유형에 따라 각각 다른 공간의 가중치가 부여 될 수 있었다. 여섯째, 사례대상지 분석은 기존 공간구문론 수직동선의 획일적 방식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직동선 가중치 부여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롯데월드(R=0.531 → 0.590) 센트럴시티(R=0.404 → 0.638), 두 곳 모두 가중치 부여방식이 보행량의 상관관계가 높아짐으로서 계단은 유형에 따라 공간적 의미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계단들은 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공간구조적 관점에서 위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의 분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특히 'depth'의 개념으로 계단의 공간적 의미를 보았다. 계단이 '1depth', '2depth', 'depth 없음'이라는 말은 공간적 관점에서 보면 계단은 수직통합을 할 수도, 또는 수직을 단순히 연결 할 수도, 또는 수직을 단절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은 보행량과 가중치를 부여한 계단의 상관관계가 높아지는 것에따라 증명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힌 계단의 위계는 공간구문론 분석시 기존의 획일적인 계단연결방식에서 벗어나 계단의 유형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서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고, 유형에 따른 공간적 의미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공간적의미가 중요시되는 계단 수직 동선부에 객관적인 유형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 연구의 성과이다.
The most big problem is vertical disconnection of skyscraper in the lastest architecture. Architecture like Rem koolhaas try to overcome vertical disconnection by meaning stair space. But meaning space occupies area of stairs too much in skyscraper,so it is likely to reduce efficienies. we have mean...
The most big problem is vertical disconnection of skyscraper in the lastest architecture. Architecture like Rem koolhaas try to overcome vertical disconnection by meaning stair space. But meaning space occupies area of stairs too much in skyscraper,so it is likely to reduce efficienies. we have meaning space in proper place in the skyscraper. In the result, architecturer put the stairs place where he think important. In the rest of place, we place the stairs functioning simple role to gain high efficiency. First, in this study, spatial struture aspect, the stair put an importanant place. Second, we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irs and the stairs based previous study, we analyze type of stair. Thrird, spatial meaning has different meaning by type of stairs. Both Lotte World(R=0.531 → 0.590) and Central City(R=0.404 → 0.638) are correlation of pedestrian. As we studied before, stairs has different property by each type, for spatial structure, stairs is hierarchy. In this study, we use analysis of space syntax a lot, especially, we studied space meaning of stair on definition of 'depth'. There are many stairs in a building. Basically, Main purpose of stairs is not only efficiency but also vertical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for achieving efficiency and vertical integration, the main space must hav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with by means of vertical integrated stairs. Intuitive decision which lead to wrong space hinders both efficiency and vertical integration. On this researches decide by a point of view of connection and study stair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 'Core Stairs', 'A Passage in Stairs', 'Object Spaced Stairs' in order. Additionally, these stairs carry out investigation for object method in connected structure.
The most big problem is vertical disconnection of skyscraper in the lastest architecture. Architecture like Rem koolhaas try to overcome vertical disconnection by meaning stair space. But meaning space occupies area of stairs too much in skyscraper,so it is likely to reduce efficienies. we have meaning space in proper place in the skyscraper. In the result, architecturer put the stairs place where he think important. In the rest of place, we place the stairs functioning simple role to gain high efficiency. First, in this study, spatial struture aspect, the stair put an importanant place. Second, we stud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irs and the stairs based previous study, we analyze type of stair. Thrird, spatial meaning has different meaning by type of stairs. Both Lotte World(R=0.531 → 0.590) and Central City(R=0.404 → 0.638) are correlation of pedestrian. As we studied before, stairs has different property by each type, for spatial structure, stairs is hierarchy. In this study, we use analysis of space syntax a lot, especially, we studied space meaning of stair on definition of 'depth'. There are many stairs in a building. Basically, Main purpose of stairs is not only efficiency but also vertical integration. At the same time for achieving efficiency and vertical integration, the main space must have stairs which are integrated with by means of vertical integrated stairs. Intuitive decision which lead to wrong space hinders both efficiency and vertical integration. On this researches decide by a point of view of connection and study stair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 'Core Stairs', 'A Passage in Stairs', 'Object Spaced Stairs' in order. Additionally, these stairs carry out investigation for object method in connected struc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