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 統一新羅時代 鳥文막새에 대한 一考察
(A) study on the bird pattern on roof tile during the period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in Ancient Korea 원문보기


유난희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역사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라의 삼국통일은 신라사회전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대내적인 영역이나 정치의 통합뿐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문화의 접촉과 교류의 폭이 확대되었다. 그러한 일면이 건축과 관련된 기와, 특히 막새의 문양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한반도에 기와가 도입된 것은 고구려 영역에 한사군이 설치되면서 중국의 기와가 고구려지역에 수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정확한 시기를 알 수는 없으나 대체로 4~5세기경의 길림지역의 고구려 고분 부근에서 연화문 수막새가 출토되어 이시기를 전후하여 제작되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라에서도 언제 어디서부터 도입되어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다만 월성이나 물천리 경마장 예정부지 가마터의 발굴조사에서 6세기 전반경으로 추정되는 백제양식의 연화문수막새가 출토되었다. 건축 부재로서의 기와는 우선은 궁궐이나 사찰등의 대규모의 건축에서 사용되었다. 특히 막새의 경우 삼국시대의 것들은 대부분 연화문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서 불교와의 관련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통일신라시대에는 암막새가 출현하게 되고, 이전의 연화문수막새 이외에 조문, 사자문, 가릉빈가문, 귀면문, 비천문, 기린문, 보상화문, 인동문, 당초문등의 새로운 문양들이 채용되어 막새에 시문된다. 기능적인 측면과 함께 다양하고 화려한 문양을 장식하여 지붕외관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게 된다. 이러한 문양들 가운데 하나인 새를 소재로 한 막새에 주목하여 어떠한 유형의 것들이 어떠한 변화를 거치는지를 고찰하여 통일신라시대의 기와문화에 대한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 출발하였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조문막새는 중국 전국시대의 반와당과 원와당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시대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암막새ㆍ수막새 모두에 조문이 나타나는데 수막새의 것은 단조와 쌍조로 크게 구분된다. 쌍조는 다시 병행형과 대칭형으로 나누어진다. 대칭형은 다시 화문에 의한것과 수목문에 의한 것으로 분류된다. 암막새는 대체로 쌍조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크게 병행형과 대칭형, 그리고 교차형으로 나누어진다. 초기의 조문은 양감이 강조되어 강한 느낌을 주며, 조문과 화문, 운문 등이 균형있게 도안되지만, 8세기 후반 혹은 9세기를 전후한 시기 이후에는 도식화되고 퇴락하게 된다. 통일신라시대의 조문막새의 일반적인 도안은 연주문 내부에 화문이나 수목문을 중심으로 좌ㆍ우 대칭하는 새를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도안은 서아시아의 생명수 혹은 성수문양에 있는 것으로 일찍이 메소포타미아지역에서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rst bird-patterned roof tile in history dates back to the Chinese Chan Kuo Period. In Korea, the bird pattern on roof tile first appeared during the Unified Shilla era, and was eventually succeeded into Balhae, Koryo, and Chosun dynasties. The bird patterns on roof tile have been found on both...

주제어

#통일신라시대 조문막새 막새 

학위논문 정보

저자 유난희
학위수여기관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역사교육전공
발행연도 2004
총페이지 iv, 42p.
키워드 통일신라시대 조문막새 막새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0002459&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