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노자(Spinoza, Baruch de)가 ‘인간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려는 힘이 욕망이고, 이 욕망이 사고와 행동을 결정 한다’고 하였듯이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다. 그러나 ‘나’를 규정함에 있어 외부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스스로의 의지와 욕망으로 삶을 결정하고 영위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우리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처럼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조작하는 주요한 영향 중 하나를 매스미디어로 보고 이러한 현상이 들어 나는 일상적 경험들을 작품화 하였다. 우리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불특정 다수를 향해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에 노출된 채로 살아간다. 순기능과 역기능이라는 양면적인 영향력을 지닌 매스미디어는 정보의 전달과 사회질서 가치의 결정이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문화적 순응주의와 획일화를 가져오는 등의 부정적인 기능을 하며 우리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일정기간동안 일정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젊은 세들에게 있어서 더욱 절대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주입된 이상적 이미지들이 생활공간에 투영되어 변화된 우리 삶의 모습을 되돌아봄으로써, 우리를 억누르고 있는 굴레의 존재를 깨닫고,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의 주체성이 모호해지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매스미디어에 의해서 자극받은 우리의 욕망이 드러나고 있는 일상적 현상을 작품화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인간 본질로서의 측면에서 본 욕망과 그 욕망을 자극하여 현대 한국 사회를 포함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의 주체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잡지, 인터넷 등의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우리가 그로부터 영향을 받는 원인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표현 내용에 있어서는 일상에서 매스 미디어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규정 지워 주고 있다고 느껴지는 순간과 현상들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의해 강요된 삶의 모습을 마치 사회의 보편적인 기준처럼 느껴 그 가치를 지향해야만 할 것 같이 여겨지는 경험들을 드러내 보았다. 개인의 공간 도처에 자리 잡은 일상적 사물 하나하나에서 끊임없이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발견함으로써 그동안은 그것들이 우리에게 가해지는 일방적 강요라는 인식을 하지 못해 왔던 일상의 현상들을 이끌어 내어 표출하였다. 제시한 작품들은 매스미디어로부터 자극 받은 욕망에 관하여 본 연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 현상들을 담고 있다. 표현 방법에서는 일상 속에 침투되어 있는 매스미디어와 그 영향을 받아 변화된 상황들을 제시하기 위하여 ...
스피노자(Spinoza, Baruch de)가 ‘인간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려는 힘이 욕망이고, 이 욕망이 사고와 행동을 결정 한다’고 하였듯이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다. 그러나 ‘나’를 규정함에 있어 외부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스스로의 의지와 욕망으로 삶을 결정하고 영위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우리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처럼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조작하는 주요한 영향 중 하나를 매스미디어로 보고 이러한 현상이 들어 나는 일상적 경험들을 작품화 하였다. 우리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불특정 다수를 향해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에 노출된 채로 살아간다. 순기능과 역기능이라는 양면적인 영향력을 지닌 매스미디어는 정보의 전달과 사회질서 가치의 결정이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문화적 순응주의와 획일화를 가져오는 등의 부정적인 기능을 하며 우리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일정기간동안 일정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젊은 세들에게 있어서 더욱 절대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주입된 이상적 이미지들이 생활공간에 투영되어 변화된 우리 삶의 모습을 되돌아봄으로써, 우리를 억누르고 있는 굴레의 존재를 깨닫고,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의 주체성이 모호해지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매스미디어에 의해서 자극받은 우리의 욕망이 드러나고 있는 일상적 현상을 작품화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인간 본질로서의 측면에서 본 욕망과 그 욕망을 자극하여 현대 한국 사회를 포함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의 주체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잡지, 인터넷 등의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우리가 그로부터 영향을 받는 원인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표현 내용에 있어서는 일상에서 매스 미디어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규정 지워 주고 있다고 느껴지는 순간과 현상들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의해 강요된 삶의 모습을 마치 사회의 보편적인 기준처럼 느껴 그 가치를 지향해야만 할 것 같이 여겨지는 경험들을 드러내 보았다. 개인의 공간 도처에 자리 잡은 일상적 사물 하나하나에서 끊임없이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발견함으로써 그동안은 그것들이 우리에게 가해지는 일방적 강요라는 인식을 하지 못해 왔던 일상의 현상들을 이끌어 내어 표출하였다. 제시한 작품들은 매스미디어로부터 자극 받은 욕망에 관하여 본 연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 현상들을 담고 있다. 표현 방법에서는 일상 속에 침투되어 있는 매스미디어와 그 영향을 받아 변화된 상황들을 제시하기 위하여 오브제를 차용하거나 그 위에 변형을 가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주제가 드러날 수 있는 요소를 강조한 사물의 형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공간을 연출하기 위하여 가구 등의 오브제를 이용하여 한 개인의 방을 설정하고 방 내부의 부분 부분들이 각각 의미를 지닌 7점의 작품으로서 존재하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방 전체가 하나의 작품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방 내부 곳곳에 놓인 사물들에서는 매스미디어가 만들어 낸 이상적인 이미지들이 가장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공간 내부에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투영되는 현상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물의 형태를 모방 혹은 변화시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오브제를 차용한 경우에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주입된 이상적 이미지를 첨가시키거나 그것들을 연상할 수 있게 하는 요소들을 넣었다. 그리고 자극받은 욕망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극명하게 드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사물의 형태나 크기를 과장 또는 변형시키고 표면적인 색채에 있어서 강한 대비를 주는 등의 방식으로 강조하였다. 작품 분석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매스미디어가 현대인의 삶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관점에서 7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욕망이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지어짐으로써 본인이 진정한 삶의 주인으로서 역할 하기 어려웠던 경험에서 시작하였다. 매스미디어가 만들어 낸 우리의 욕망이 일상적인 공간에서 드러나는 현상들을 표현한 작업을 통해 이러한 경험들을 돌이켜보고 본 연구가 본인을 포함하여 작품을 마주하는 이들에게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스피노자(Spinoza, Baruch de)가 ‘인간 자신의 존재를 유지하려는 힘이 욕망이고, 이 욕망이 사고와 행동을 결정 한다’고 하였듯이 욕망은 인간의 본질이다. 그러나 ‘나’를 규정함에 있어 외부로부터의 영향으로 인해 스스로의 의지와 욕망으로 삶을 결정하고 영위하지 못하는 경험을 하게 되면서 우리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처럼 인간의 욕망을 자극하고 조작하는 주요한 영향 중 하나를 매스미디어로 보고 이러한 현상이 들어 나는 일상적 경험들을 작품화 하였다. 우리는 일생동안 끊임없이 불특정 다수를 향해 정보를 전달하는 매스미디어에 노출된 채로 살아간다. 순기능과 역기능이라는 양면적인 영향력을 지닌 매스미디어는 정보의 전달과 사회질서 가치의 결정이라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문화적 순응주의와 획일화를 가져오는 등의 부정적인 기능을 하며 우리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스미디어는 일정기간동안 일정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진 그 이미지들을 따라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젊은 세들에게 있어서 더욱 절대적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주입된 이상적 이미지들이 생활공간에 투영되어 변화된 우리 삶의 모습을 되돌아봄으로써, 우리를 억누르고 있는 굴레의 존재를 깨닫고,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우리의 주체성이 모호해지는 현상을 바라보고자 한다. 매스미디어에 의해서 자극받은 우리의 욕망이 드러나고 있는 일상적 현상을 작품화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인간 본질로서의 측면에서 본 욕망과 그 욕망을 자극하여 현대 한국 사회를 포함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큰 권력의 주체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잡지, 인터넷 등의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우리가 그로부터 영향을 받는 원인을 심리학적 측면에서 찾아보았다. 표현 내용에 있어서는 일상에서 매스 미디어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규정 지워 주고 있다고 느껴지는 순간과 현상들을 포착하였다. 그리고 매스미디어에 의해 강요된 삶의 모습을 마치 사회의 보편적인 기준처럼 느껴 그 가치를 지향해야만 할 것 같이 여겨지는 경험들을 드러내 보았다. 개인의 공간 도처에 자리 잡은 일상적 사물 하나하나에서 끊임없이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발견함으로써 그동안은 그것들이 우리에게 가해지는 일방적 강요라는 인식을 하지 못해 왔던 일상의 현상들을 이끌어 내어 표출하였다. 제시한 작품들은 매스미디어로부터 자극 받은 욕망에 관하여 본 연구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사회 현상들을 담고 있다. 표현 방법에서는 일상 속에 침투되어 있는 매스미디어와 그 영향을 받아 변화된 상황들을 제시하기 위하여 오브제를 차용하거나 그 위에 변형을 가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주제가 드러날 수 있는 요소를 강조한 사물의 형태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일상적이고 개인적인 공간을 연출하기 위하여 가구 등의 오브제를 이용하여 한 개인의 방을 설정하고 방 내부의 부분 부분들이 각각 의미를 지닌 7점의 작품으로서 존재하도록 하였으며 나아가 방 전체가 하나의 작품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방 내부 곳곳에 놓인 사물들에서는 매스미디어가 만들어 낸 이상적인 이미지들이 가장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공간 내부에까지 깊숙이 침투하여 투영되는 현상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물의 형태를 모방 혹은 변화시켜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오브제를 차용한 경우에는 매스미디어로부터 주입된 이상적 이미지를 첨가시키거나 그것들을 연상할 수 있게 하는 요소들을 넣었다. 그리고 자극받은 욕망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극명하게 드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사물의 형태나 크기를 과장 또는 변형시키고 표면적인 색채에 있어서 강한 대비를 주는 등의 방식으로 강조하였다. 작품 분석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매스미디어가 현대인의 삶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관점에서 7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욕망이 외부의 자극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지어짐으로써 본인이 진정한 삶의 주인으로서 역할 하기 어려웠던 경험에서 시작하였다. 매스미디어가 만들어 낸 우리의 욕망이 일상적인 공간에서 드러나는 현상들을 표현한 작업을 통해 이러한 경험들을 돌이켜보고 본 연구가 본인을 포함하여 작품을 마주하는 이들에게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의 토대가 될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Just as Spinoza states, 'The power willing to maintain our being is the desire, which in turn decides on our thinking and behaviors', the desire is the essence of our human beings. And we try to fulfill such a desire by deciding on and living our life for ourselves.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 to...
Just as Spinoza states, 'The power willing to maintain our being is the desire, which in turn decides on our thinking and behaviors', the desire is the essence of our human beings. And we try to fulfill such a desire by deciding on and living our life for ourselves.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 to be subjects of our life because of various powers and systems, others' expectations, influences of outside world and so on. In every-day life, we define 'ourselves' repeatedly being influenced by the outside world rather than lead our life in our own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our life changed by the ideal images projected from mass-media into our living space, and thereupon, awaken ourselves of the bonds oppressing us, while watching the phenomenon that our subjectivity is obscured by the outside influen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roduce some works that would feature our desire being stimulated by mass-media as well as our life being forced to proceed in a certain direction. Namely, it was tried to awaken ourselves of the phenomenon that our desire and ideal are being pushed in a specified direction not by our will but by mass-media. In the capitalism societies including Korea, such mass-media as news papers, televisions, radios, films, magazines and Internet are acting as subjects of power to stimulate human desire.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desire as a human nature as well as the effects of such mass-media on our life. Then, the researcher captured the moments and phenomena that mass-media stimulate and determine our desire in our every-day life. And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the viewers of mass media experienced that they were forced to follow and accept the value created by the mass media as the general standard of the life.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duced some works by imitating or transforming the objects, while adding ideal images onto the objects applied or inserting some elements reminiscent of them. And in order to suggest the desires stimulated, the researcher exaggerated or changed the forms or sizes of objects and set a strong color contrast to have the images revealed out visually.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production and analysis of works. The seven works exhibited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express the phenomenon that human desires are stimulated and streamlined by mass-media in the capitalist society and thus, our true essence are lost. Objects were borrowed or modified, and in some cases, the objects revealing their themes were produced into works. Then, the works were analyzed theoretically in terms of typography, expression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ceived by researcher's experience of the phenomenon that our inborn desires are determined towards certain directions by outside stimulations and therefore, that we cannot play our role as genuine subjects of our lif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expressed the phenomena of our desires being created by mass-media to be revealed in our ordinary living space in an effort to reflect such experiences of ours and provide the audience including the researcher with an opportunity to be subjects of their life.
Just as Spinoza states, 'The power willing to maintain our being is the desire, which in turn decides on our thinking and behaviors', the desire is the essence of our human beings. And we try to fulfill such a desire by deciding on and living our life for ourselves.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 to be subjects of our life because of various powers and systems, others' expectations, influences of outside world and so on. In every-day life, we define 'ourselves' repeatedly being influenced by the outside world rather than lead our life in our own 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our life changed by the ideal images projected from mass-media into our living space, and thereupon, awaken ourselves of the bonds oppressing us, while watching the phenomenon that our subjectivity is obscured by the outside influen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produce some works that would feature our desire being stimulated by mass-media as well as our life being forced to proceed in a certain direction. Namely, it was tried to awaken ourselves of the phenomenon that our desire and ideal are being pushed in a specified direction not by our will but by mass-media. In the capitalism societies including Korea, such mass-media as news papers, televisions, radios, films, magazines and Internet are acting as subjects of power to stimulate human desire. In this regard, the researcher reviewed the desire as a human nature as well as the effects of such mass-media on our life. Then, the researcher captured the moments and phenomena that mass-media stimulate and determine our desire in our every-day life. And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the viewers of mass media experienced that they were forced to follow and accept the value created by the mass media as the general standard of the life. To this end, the researcher produced some works by imitating or transforming the objects, while adding ideal images onto the objects applied or inserting some elements reminiscent of them. And in order to suggest the desires stimulated, the researcher exaggerated or changed the forms or sizes of objects and set a strong color contrast to have the images revealed out visually. The tools for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production and analysis of works. The seven works exhibited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express the phenomenon that human desires are stimulated and streamlined by mass-media in the capitalist society and thus, our true essence are lost. Objects were borrowed or modified, and in some cases, the objects revealing their themes were produced into works. Then, the works were analyzed theoretically in terms of typography, expression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ceived by researcher's experience of the phenomenon that our inborn desires are determined towards certain directions by outside stimulations and therefore, that we cannot play our role as genuine subjects of our lif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expressed the phenomena of our desires being created by mass-media to be revealed in our ordinary living space in an effort to reflect such experiences of ours and provide the audience including the researcher with an opportunity to be subjects of their lif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