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근거하여 2001년부터 시행된 중학교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 학생 및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관한 교육부 및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시범 연구 사례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조사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근거하여 2001년부터 시행된 중학교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 학생 및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관한 교육부 및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시범 연구 사례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조사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 탐색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수요자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Y중학교의 학생,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조사 연구이다. 조사 결과는 ①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②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③ 특별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④ 시설·설비 확보 실태 및 개선 요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문제 및 개선 요구가 확인되었다. 첫째,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수학 및 영여 교과에서의 학습 진단 편성 방식을 수준별 이동 수업반과 학급 내 수준별 분단, 학급 내 협력 모둠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학급 내 협력 모둠의 형태로 학습 집단을 편성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며 교사의 선호도 또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는 학급 내 수준별 분단과 학급 내 협력 모둠의 두 가지 유형 가운데 학급 내 협력 모둠의 유형으로 학습 집단을 편성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별보충과정 편성·운영에서는 주1회 실시(1회 1시간 실시), 학기 말 실시, 방학 중 실시, 평일 방과 후 실시의 네 개 유형 가운데 평일 방과 후 실시 방식이 학생 참여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나타났다. 도우미를 활용하는 개별 지도를 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설비 측면에서는 시설 공간이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교구 및 교재 또한 매우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공동 학습 활동 공간을 비롯한 다양한 학습 지원 시설을 확충함과 동시에 다양한 교구 및 교재를 시급히 설비해야 한다는 개선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더 연구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원활한 편성·운영을 위해서는 교사 수급 문제와 함께 학급당 인원수가 감축되도록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둘째,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시 심화·보충 학습 집단의 편성과 특별보충과정 운영에서 오는 열등감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인 상담프로그램개발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수준별 학습 지도안 및 다양한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는데, 학교별로 개발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효과적이지도 못하다. 교수·학습 자료, 교재 개발, 평가 문항 등이 전문적인 연구 기관 등에 의해 연구되어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급 제도 활용이 어려운 현재 상황에서 특별보충과정은 대상자의 참여 기피로 유명무실한 제도가 되고 있으므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준별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시설 공간 요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행정적 예산 편성 내역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근거하여 2001년부터 시행된 중학교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고, 교사, 학생 및 학부모 등 교육수요자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으로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 관한 교육부 및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지침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시범 연구 사례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조사 분석,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 방향 탐색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교육수요자의 개선 요구를 반영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Y중학교의 학생,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조사 연구이다. 조사 결과는 ①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②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③ 특별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및 개선 요구, ④ 시설·설비 확보 실태 및 개선 요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문제 및 개선 요구가 확인되었다. 첫째,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수학 및 영여 교과에서의 학습 진단 편성 방식을 수준별 이동 수업반과 학급 내 수준별 분단, 학급 내 협력 모둠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학급 내 협력 모둠의 형태로 학습 집단을 편성하는 것이 학업 성취도 증진에 가장 효과적이며 교사의 선호도 또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는 학급 내 수준별 분단과 학급 내 협력 모둠의 두 가지 유형 가운데 학급 내 협력 모둠의 유형으로 학습 집단을 편성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별보충과정 편성·운영에서는 주1회 실시(1회 1시간 실시), 학기 말 실시, 방학 중 실시, 평일 방과 후 실시의 네 개 유형 가운데 평일 방과 후 실시 방식이 학생 참여도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으로 나타났다. 도우미를 활용하는 개별 지도를 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설·설비 측면에서는 시설 공간이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교구 및 교재 또한 매우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으므로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하여 공동 학습 활동 공간을 비롯한 다양한 학습 지원 시설을 확충함과 동시에 다양한 교구 및 교재를 시급히 설비해야 한다는 개선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더 연구되어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의 원활한 편성·운영을 위해서는 교사 수급 문제와 함께 학급당 인원수가 감축되도록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둘째,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시 심화·보충 학습 집단의 편성과 특별보충과정 운영에서 오는 열등감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개인 상담프로그램개발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수준별 학습 지도안 및 다양한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는데, 학교별로 개발 활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고, 효과적이지도 못하다. 교수·학습 자료, 교재 개발, 평가 문항 등이 전문적인 연구 기관 등에 의해 연구되어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급 제도 활용이 어려운 현재 상황에서 특별보충과정은 대상자의 참여 기피로 유명무실한 제도가 되고 있으므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준별 교육과정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시설 공간 요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행정적 예산 편성 내역을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C hereafter), which has been effective since the mandat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year 2001, and second, therefore,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beneficiaries...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C hereafter), which has been effective since the mandat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year 2001, and second, therefore,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beneficiarie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C, in order to search the ways for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DC.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1 attempted to analyze 1) the mandates abou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DC,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eoul Municipal Bureau of Education, 2) the reports about the pilot case studies of local schools implementing DC, and 3) the results from the surveys of local practices of and suggestions for DC. Building on the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this study searched the ways to improve the administration of DC. This research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DC in a local "Y"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four major asp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DC: 1) Level-Differentiation Curriculum (LDC), 2)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ion Curriculum (ISDC), 3) Special Supplementary Curriculum (SSC), and 4) resources and facilitie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In sum, the following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identified: First, regarding the issue of organizing students'learning groups in implementing LDC for English and Math, the degree of student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han both between-class grouping and within-class ability grouping. Additionally, both students and teachers also preferred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he most. Second,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 of students'learning groups in the implementation of ISDC, both students and teachers preferred the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o the between-class grouping. Third, in the case of SSC, it was found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those special supplementary classes was higher when utilizing one hour per week using after-school hours, than using final-term or school recess pefods. Particularly individualized guidance utilizing the student assistant (Toumi) system was found effective. Consider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need of special supplementary programs, however, the school resources (teachers and teacher allowances allotted to those programs) were always running low. Fourth, the school's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school facilities and resources, did not meet the standard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vital for successfut Implementation of DC to make a systematic preparation for school facilities and resources, such as common space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DC: First, for successful irrlplementation of DC, it is urgent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establish national policies that will resolve the problem of a high teacher-student and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econd, in order to cope with the issue of emotional trauma, especially the sense of inferiority experienced by those exposed to ISCD, schools must develop various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s for those students. Third, it is crystal-clear that unit and lesson plans and materials appropriate for DC is vital in local schools. It is unlikely to assume, however, that each local school can successfully come up with its own instructional plans and materials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local schools should be assisted by external expert groups and educational research agencies. Fourth, without having any retention program, SSC will turn into an ineffective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s for the students who fall behind the minimum achievement. Fifth,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DC, it is necessary for local schools to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school facilities and space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state level, national budget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in schools should be embodied, along with establishing realistic measures to secure the projected budget.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C hereafter), which has been effective since the mandat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year 2001, and second, therefore,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beneficiarie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DC, in order to search the ways for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DC.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1 attempted to analyze 1) the mandates about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DC,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Seoul Municipal Bureau of Education, 2) the reports about the pilot case studies of local schools implementing DC, and 3) the results from the surveys of local practices of and suggestions for DC. Building on the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this study searched the ways to improve the administration of DC. This research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perspectives on DC in a local "Y"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four major aspects of the implementation of DC: 1) Level-Differentiation Curriculum (LDC), 2)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ion Curriculum (ISDC), 3) Special Supplementary Curriculum (SSC), and 4) resources and facilities requi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In sum, the following problems and suggestions were identified: First, regarding the issue of organizing students'learning groups in implementing LDC for English and Math, the degree of student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han both between-class grouping and within-class ability grouping. Additionally, both students and teachers also preferred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he most. Second,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 of students'learning groups in the implementation of ISDC, both students and teachers preferred the within-class cooperative grouping to the between-class grouping. Third, in the case of SSC, it was found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those special supplementary classes was higher when utilizing one hour per week using after-school hours, than using final-term or school recess pefods. Particularly individualized guidance utilizing the student assistant (Toumi) system was found effective. Consider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need of special supplementary programs, however, the school resources (teachers and teacher allowances allotted to those programs) were always running low. Fourth, the school's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school facilities and resources, did not meet the standards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it would be vital for successfut Implementation of DC to make a systematic preparation for school facilities and resources, such as common space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DC: First, for successful irrlplementation of DC, it is urgent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establish national policies that will resolve the problem of a high teacher-student and reduc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econd, in order to cope with the issue of emotional trauma, especially the sense of inferiority experienced by those exposed to ISCD, schools must develop various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s for those students. Third, it is crystal-clear that unit and lesson plans and materials appropriate for DC is vital in local schools. It is unlikely to assume, however, that each local school can successfully come up with its own instructional plans and materials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for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assessment tools, local schools should be assisted by external expert groups and educational research agencies. Fourth, without having any retention program, SSC will turn into an ineffective 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policymakers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s for the students who fall behind the minimum achievement. Fifth,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DC, it is necessary for local schools to be equipped with appropriate school facilities and space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state level, national budget plans for the implementation of DC in schools should be embodied, along with establishing realistic measures to secure the projected budget.
Keyword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행정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