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10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1.31(SD=5.30)세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별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노인 우울 척도(GDSSF),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는 자료를 상관과 회귀를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 사별 노인들은 상실감, 경제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며, 대처행동으로는 신앙에 의지, 수동적 회피의 정서 중심 대처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우울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행동 간의 상관은 사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종류에 따라 그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10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1.31(SD=5.30)세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별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노인 우울 척도(GDSSF),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는 자료를 상관과 회귀를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 사별 노인들은 상실감, 경제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며, 대처행동으로는 신앙에 의지, 수동적 회피의 정서 중심 대처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우울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행동 간의 상관은 사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종류에 따라 그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경제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반면, 문제의 재정립 등의 문제중심 대처는 오히려 우울을 상승시켜 사별자의 적응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가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감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재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남녀 노인 10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71.31(SD=5.30)세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별 스트레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노인 우울 척도(GDSSF), 생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는 자료를 상관과 회귀를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 사별 노인들은 상실감, 경제적 문제로 인한 어려움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으며, 대처행동으로는 신앙에 의지, 수동적 회피의 정서 중심 대처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사별 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상관을, 사회적 지지와 우울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별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행동 간의 상관은 사별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의 종류에 따라 그 결과에 차이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경제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반면, 문제의 재정립 등의 문제중심 대처는 오히려 우울을 상승시켜 사별자의 적응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가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감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재확인한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