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발광적외선은하(ULIRG)는 적외선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하나이다. 고밀도 중심영역에서의 폭발적인 항성 생성과 먼지층에 쌓여진활성은하핵(AGN) 특성을 가지며, 일면 퀘이사와 유사하다. 우리는 CFHT근적외선 영역으로 찰영한 15개의 ULIRG와 14개의 적외선 초과퀘이사(IEQ)에 대해 중심부의 점광원을 재구성하였으며 모은하의표면광도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들 은하들에 대한 우리의 영상은 다양한조석효과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자료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발견되었다. 1) 약 73%의 ULIRG와 70%의 IEQ의 외곽부에서 편평한광도분포 구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는 ULIRG와 IEQ 모두 중심의AGN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은하외곽 부분에서 큰 범위의 폭발적인항성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ULIRG와 IEQ는 비슷한축비분포를 가지며, 이는 일반 타원은하와 퀘이사의 모은하에서의축비분포와 잘 들어맞는다. 3) 약 87%의 ULIRG와 91%의 IEQ가 일반타원은하의 R^(1/4) 법칙에 잘 들어맞지만, Veilleux 등(2006)에 의해발견되어진 것처럼 낮은 표면 광도 밝기의 지수형의 원반체를 가지는대상들도 일부 있었다. 4) IEQ의 모은하에 대한 ...
초발광적외선은하(ULIRG)는 적외선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하나이다. 고밀도 중심영역에서의 폭발적인 항성 생성과 먼지층에 쌓여진활성은하핵(AGN) 특성을 가지며, 일면 퀘이사와 유사하다. 우리는 CFHT근적외선 영역으로 찰영한 15개의 ULIRG와 14개의 적외선 초과퀘이사(IEQ)에 대해 중심부의 점광원을 재구성하였으며 모은하의표면광도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들 은하들에 대한 우리의 영상은 다양한조석효과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자료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발견되었다. 1) 약 73%의 ULIRG와 70%의 IEQ의 외곽부에서 편평한광도분포 구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는 ULIRG와 IEQ 모두 중심의AGN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은하외곽 부분에서 큰 범위의 폭발적인항성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ULIRG와 IEQ는 비슷한축비분포를 가지며, 이는 일반 타원은하와 퀘이사의 모은하에서의축비분포와 잘 들어맞는다. 3) 약 87%의 ULIRG와 91%의 IEQ가 일반타원은하의 R^(1/4) 법칙에 잘 들어맞지만, Veilleux 등(2006)에 의해발견되어진 것처럼 낮은 표면 광도 밝기의 지수형의 원반체를 가지는대상들도 일부 있었다. 4) IEQ의 모은하에 대한 절대 등급과 모은하 밝기비는 통계적으로 Seyfert 핵을 숨기고 있는 ULIRGs와 비슷하였다. 5)타원은하의 기본 평면에서 ULIRG와 IEQ의 모은하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런 상관 관계는 ULIRG와 IEQ 사이의 유사한 진화적특성과 기원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게 한다. 또한 그들 모두 일반타원은하보다 훨씬 높은 표면밝기를 갖는다.우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EQ들이 ULIRG와 QSO 사이를진화적으로 연결하는 천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비록 IEQ가 ULIRG 보다상대적으로 밝고 분명한 핵을 가지며,또 모은하들이 비교적 어둡다고하여도, 그들 모두는 분명히 표면 밝기분포에서 유사한 특성을 보여주고있기 때문이다.
초발광적외선은하(ULIRG)는 적외선 우주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하나이다. 고밀도 중심영역에서의 폭발적인 항성 생성과 먼지층에 쌓여진활성은하핵(AGN) 특성을 가지며, 일면 퀘이사와 유사하다. 우리는 CFHT근적외선 영역으로 찰영한 15개의 ULIRG와 14개의 적외선 초과퀘이사(IEQ)에 대해 중심부의 점광원을 재구성하였으며 모은하의표면광도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들 은하들에 대한 우리의 영상은 다양한조석효과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자료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발견되었다. 1) 약 73%의 ULIRG와 70%의 IEQ의 외곽부에서 편평한광도분포 구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는 ULIRG와 IEQ 모두 중심의AGN에 의해 영향을 받은 은하외곽 부분에서 큰 범위의 폭발적인항성생성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ULIRG와 IEQ는 비슷한축비분포를 가지며, 이는 일반 타원은하와 퀘이사의 모은하에서의축비분포와 잘 들어맞는다. 3) 약 87%의 ULIRG와 91%의 IEQ가 일반타원은하의 R^(1/4) 법칙에 잘 들어맞지만, Veilleux 등(2006)에 의해발견되어진 것처럼 낮은 표면 광도 밝기의 지수형의 원반체를 가지는대상들도 일부 있었다. 4) IEQ의 모은하에 대한 절대 등급과 모은하 밝기비는 통계적으로 Seyfert 핵을 숨기고 있는 ULIRGs와 비슷하였다. 5)타원은하의 기본 평면에서 ULIRG와 IEQ의 모은하 사이의 강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이런 상관 관계는 ULIRG와 IEQ 사이의 유사한 진화적특성과 기원을 보여준다고 생각하게 한다. 또한 그들 모두 일반타원은하보다 훨씬 높은 표면밝기를 갖는다.우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IEQ들이 ULIRG와 QSO 사이를진화적으로 연결하는 천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비록 IEQ가 ULIRG 보다상대적으로 밝고 분명한 핵을 가지며,또 모은하들이 비교적 어둡다고하여도, 그들 모두는 분명히 표면 밝기분포에서 유사한 특성을 보여주고있기 때문이다.
Ultra-luminous infrared galaxies (ULIRGs) are among the brightestobjects in the infrared universe. With compact nuclear starburst andsigns of highly obscured AGN activity, they also show propertiessimilar to quasars. We have analyzed CFHT near-infrared images of15 ULIRGs and 14 infrared-excess quasa...
Ultra-luminous infrared galaxies (ULIRGs) are among the brightestobjects in the infrared universe. With compact nuclear starburst andsigns of highly obscured AGN activity, they also show propertiessimilar to quasars. We have analyzed CFHT near-infrared images of15 ULIRGs and 14 infrared-excess quasars (IEQs) to decompose thecentral point source and extract the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of their host galaxies. Our deep images of ULIRGs and IEQs showsigns of strong tidal features. Main results of our analysis are 1)Most UlIRGs (73%) and IEQs (70%) have flat profilesin the outer region. These profiles indicate that both ULIRGs andIEQs have a large-scale starburst presumably caused by the centralAGNs. 2) They have axial ratios whose distribution shows a goodagreement with that of the normal elliptical galaxies and the otherhosts of quasars. 3) Our ULIRGs (87%) and IEQs (91%)are well fitted by elliptical-like R^(1/4) law, but there areobjects with low-surface-brightness exponential disks, similar tothose found by Veilleux et al. (2006). 4) The absolute magnitudesand host luminosity ratios for IEQs are statistically similar tothose for ULIRGs harboring Seyfert nuclei. 5) In the photometricprojection of the fundamental plane of ellipticals, there are strongcorrelation between the host galaxies of ULIRGs and IEQs. Theexistence of these correlations suggests similar evolutionaryproperty and origin between ULIRGs and IEQs. Also they havenoticeably higher surface brightness than normal ellipticalgalaxies. Our results give further support for a possibleevolutionary connection between ULIRGs and QSOs. Though IEQs havebrighter nuclei and relatively low host luminosity than ULIRGs, theyshare similar properties of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s. Inconclusion, we suggest that IEQs are likely to be transitionalobjects in ULIRG-QSO evolutionary connection.
Ultra-luminous infrared galaxies (ULIRGs) are among the brightestobjects in the infrared universe. With compact nuclear starburst andsigns of highly obscured AGN activity, they also show propertiessimilar to quasars. We have analyzed CFHT near-infrared images of15 ULIRGs and 14 infrared-excess quasars (IEQs) to decompose thecentral point source and extract the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of their host galaxies. Our deep images of ULIRGs and IEQs showsigns of strong tidal features. Main results of our analysis are 1)Most UlIRGs (73%) and IEQs (70%) have flat profilesin the outer region. These profiles indicate that both ULIRGs andIEQs have a large-scale starburst presumably caused by the centralAGNs. 2) They have axial ratios whose distribution shows a goodagreement with that of the normal elliptical galaxies and the otherhosts of quasars. 3) Our ULIRGs (87%) and IEQs (91%)are well fitted by elliptical-like R^(1/4) law, but there areobjects with low-surface-brightness exponential disks, similar tothose found by Veilleux et al. (2006). 4) The absolute magnitudesand host luminosity ratios for IEQs are statistically similar tothose for ULIRGs harboring Seyfert nuclei. 5) In the photometricprojection of the fundamental plane of ellipticals, there are strongcorrelation between the host galaxies of ULIRGs and IEQs. Theexistence of these correlations suggests similar evolutionaryproperty and origin between ULIRGs and IEQs. Also they havenoticeably higher surface brightness than normal ellipticalgalaxies. Our results give further support for a possibleevolutionary connection between ULIRGs and QSOs. Though IEQs havebrighter nuclei and relatively low host luminosity than ULIRGs, theyshare similar properties of surface brightness distributions. Inconclusion, we suggest that IEQs are likely to be transitionalobjects in ULIRG-QSO evolutionary connection.
Keyword
#은하 활동성 은하 상호작용 은하 Seyfert 은하 폭발적 항성 생성 은하 적외선 은하 galaxies active-galaxies interactions-galaxies seyfert-galaxies starburst-galaxies infrared-galaxies
학위논문 정보
저자
최준영
학위수여기관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Dept. of Astronomy
지도교수
Young-Ik Byun
발행연도
2007
총페이지
x, 83장
키워드
은하 활동성 은하 상호작용 은하 Seyfert 은하 폭발적 항성 생성 은하 적외선 은하 galaxies active-galaxies interactions-galaxies seyfert-galaxies starburst-galaxies infrared-galax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