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쓰레기 탈리액 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탈리액 발생량을 줄이고, 고형물 함량을 낮추는 것이다. 탈리액 발생량은 음식물쓰레기 생분해성을 높여 고형물 함량을 줄이고 수분함량을 높임으로서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형물은 유기성분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혐기성소화와 같은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가스와 물로 전환되어 탈리액 감량화가 이뤄지며, 응집·침전 공정에 의해 고형물 제거를 촉진시킴으로서 침출수는 최종적으로 감량화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탈리액내 난분해성 유기물이 다량으로 존재하며 고액분리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물리적처리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탈리액 발생량을 줄이고, 고형물 함량을 낮추는 것이다. 탈리액 발생량은 음식물쓰레기 생분해성을 높여 고형물 함량을 줄이고 수분함량을 높임으로서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형물은 유기성분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혐기성소화와 같은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가스와 물로 전환되어 탈리액 감량화가 이뤄지며, 응집·침전 공정에 의해 고형물 제거를 촉진시킴으로서 침출수는 최종적으로 감량화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탈리액내 난분해성 유기물이 다량으로 존재하며 고액분리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물리적처리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전처리가 탈리액의 생분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탈리액의 생분해성은 COD 소화실험을 통해 COD 제거율을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탈리액의 TS(%)함량 제어실험은 Jar teste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결과, 적정 TS(5%이하)제어 실험은 적정 pH 7로 하고 날코코리아의 AN923SH와 이양화학의 A601P을 주입한 결과 주입량 0.4% 조건에서 5%이내의 고형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침전 실험은 폴리머 주입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적정 pH 7로 중화시 NaOH와 Ca(OH)₂를 사용한 결과 Ca(OH)₂가 응집보조제 역할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두 중화제 중 Ca(OH)₂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펜턴산화를 이용한 탈리액내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실험에서는 H₂O₂와 Fe^(2+)가 산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과산화수소와 황산철(Ⅱ)의 주입량을 찾고자 먼저 COD의 농도가 55,200mg/l 인 침출수에 펜턴 시약의 무게비를 1:1로 하고 반응시간 30분, 반응 pH 3.5에서 과산화수소와 철(Ⅱ)의 각각의 주입량을 500~8,000mg/l로 달리하여 반응시켰을 때 펜턴 시약의 주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COD 제거율이 증가하다가 5,000mg/l에서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시간을 3시간으로 늘리고 주입량을 8,000mg/l까지 변화시켰을 경우 주입량이 4,000mg/l에서 반응시간을 30분으로 하였을 때 약 54%였던 COD 제거효율이 3시간의 반응시간에도 54%를 보여 제거효율 측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성 연구에서는 각각의 전처리 시료를 20일간 소화시켜 TCOD의 변화를 측정하여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혐기조건의 최적인 pH 7로 하여 생분해성을 관찰한 결과 각 반응조별로 78.72%, 81.38%, 79.61%, 82.27%, 86.70% 제거율의 생분해도를 보였다. 펜턴 및 응집 병합처리공정에서 TCOD 제거율이 86.70%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T-N 및 T-P역시 86.7%, 90.0%로 펜턴 및 응집 병합처리공정이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율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탈리액는 폴리머를 이용한 응집·침전 공정으로 침출수내 고형물 함량을 개선하고 펜턴산화 공정를 이용해 탈리액내 난 분해성(Non-biodegradable) 유기물을 소화시킨 결과 탈리액의 생분해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 처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탈리액 발생량을 줄이고, 고형물 함량을 낮추는 것이다. 탈리액 발생량은 음식물쓰레기 생분해성을 높여 고형물 함량을 줄이고 수분함량을 높임으로서 가능하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고형물은 유기성분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혐기성소화와 같은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가스와 물로 전환되어 탈리액 감량화가 이뤄지며, 응집·침전 공정에 의해 고형물 제거를 촉진시킴으로서 침출수는 최종적으로 감량화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 탈리액내 난분해성 유기물이 다량으로 존재하며 고액분리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물리적처리가 매우 불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처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이와 같은 전처리가 탈리액의 생분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탈리액의 생분해성은 COD 소화실험을 통해 COD 제거율을 조사하여 평가하였으며, 탈리액의 TS(%)함량 제어실험은 Jar tester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결과, 적정 TS(5%이하)제어 실험은 적정 pH 7로 하고 날코코리아의 AN923SH와 이양화학의 A601P을 주입한 결과 주입량 0.4% 조건에서 5%이내의 고형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침전 실험은 폴리머 주입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또한 적정 pH 7로 중화시 NaOH와 Ca(OH)₂를 사용한 결과 Ca(OH)₂가 응집보조제 역할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두 중화제 중 Ca(OH)₂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펜턴산화를 이용한 탈리액내 난분해성 유기물 제거 실험에서는 H₂O₂와 Fe^(2+)가 산화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과산화수소와 황산철(Ⅱ)의 주입량을 찾고자 먼저 COD의 농도가 55,200mg/l 인 침출수에 펜턴 시약의 무게비를 1:1로 하고 반응시간 30분, 반응 pH 3.5에서 과산화수소와 철(Ⅱ)의 각각의 주입량을 500~8,000mg/l로 달리하여 반응시켰을 때 펜턴 시약의 주입량이 증가됨에 따라 COD 제거율이 증가하다가 5,000mg/l에서 증가율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시간을 3시간으로 늘리고 주입량을 8,000mg/l까지 변화시켰을 경우 주입량이 4,000mg/l에서 반응시간을 30분으로 하였을 때 약 54%였던 COD 제거효율이 3시간의 반응시간에도 54%를 보여 제거효율 측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성 연구에서는 각각의 전처리 시료를 20일간 소화시켜 TCOD의 변화를 측정하여 생분해도를 평가하였다. 혐기조건의 최적인 pH 7로 하여 생분해성을 관찰한 결과 각 반응조별로 78.72%, 81.38%, 79.61%, 82.27%, 86.70% 제거율의 생분해도를 보였다. 펜턴 및 응집 병합처리공정에서 TCOD 제거율이 86.70%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T-N 및 T-P역시 86.7%, 90.0%로 펜턴 및 응집 병합처리공정이 음식물쓰레기 탈리액의 생분해율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탈리액는 폴리머를 이용한 응집·침전 공정으로 침출수내 고형물 함량을 개선하고 펜턴산화 공정를 이용해 탈리액내 난 분해성(Non-biodegradable) 유기물을 소화시킨 결과 탈리액의 생분해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ood-waste leachate process is to reduce the leachate generated, declining the solid cont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ed leachate, by increasing th bio-degradability, thereby reducing the degradable content and increasing the content. As the degradable content...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ood-waste leachate process is to reduce the leachate generated, declining the solid cont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ed leachate, by increasing th bio-degradability, thereby reducing the degradable content and increasing the content. As the degradable content of food waste leachate is mostly composed of the organic compounds, it is transformed to gas and water to minimize the leachate through the biological processing such as the anaerobic digestion.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 promotes to eliminate the degradable content, and then leachate is finally minimized. However, the abundant non-biodegradable arganic compounds exist in the food waste leachate, and the physical processing for it is very inferior because its solid-liquid separation is difficult. Therefore, to increase the bio-degradability of food waste leachate, a variety of pretreatment methods were applied and its effects on the bio-degradability of leachate. the bio-degradability of leachate was assessed by checking the COD removal rate through the COD digestion experiment, while leachate TS(%) content controlling test was performed through the Jar tester. In the result that the proper TS(less then 5%)controlling test was proper pH 7 and Nalco Korea's AN923SH and Iyang Chemical's A601P were put , it showed the degradable content less than 5% under the condition of 0.4% of the input amount.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test using the coagulation agent was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input amount of polymer. When neutralizing at proper pH 7, using NaOH and Ca(OH)₂ was excellent also as the coagulation agent. Therefore, Ca(OH)₂ of the both neutralization agents is assessed as more efficient. In the removal test for the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using the Fenton Oxid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₂O₂ and Fe^(2+) on the oxidation efficiency and find the input amount of the hydrogen peroxide and FeSO4(Ⅱ), I first made the weight proportion of Fenton's reagent at 1:1 with leachate having 55,200mg/l of COD density, and then observed the response by giving the different input amount of the hydrogen peroxide and FeSO₄ by 500~8,000mg/l at 30 minutes of the response time, response pH 3.5, respectively. In this case, as more increased Fenton's reagent was input, the COD removal rate increased at first, while later on, it gradually reduces at 5,000mg/l. In case of increasing the response time to 3 hours and changing the input amount to 8,000mg/l. In this case, the COD removal rate which had showed about 54% again even in the 3 hours of response time and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moval efficiency. In the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food waste leachate, I evaluated the bio-degradability by digesting the pretreatment sampling for 20 days and then measuring the changes in COD. In the result of observing the bio-degradability with pH 7, the optimum anaerobic condition, it showed the bio-degradability of the removal tate of 78.72%, 81.38%, 79.61% and 86.70%, respectively. In the Fenton and coagulation combined treatment process, COD removal rate was 86.70% as the most excellent. Further, T-N and T-P were 86.7% and 90.0 and it was found that the Fenton and coagulation combined treatment process was the efficient method to increase the leachate bio-degradability when I improved the degradable content in leachate through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 using the polymer, and let the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in leachate digested using the Fenton oxidation process.
Most important thing in the food-waste leachate process is to reduce the leachate generated, declining the solid cont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ed leachate, by increasing th bio-degradability, thereby reducing the degradable content and increasing the content. As the degradable content of food waste leachate is mostly composed of the organic compounds, it is transformed to gas and water to minimize the leachate through the biological processing such as the anaerobic digestion.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 promotes to eliminate the degradable content, and then leachate is finally minimized. However, the abundant non-biodegradable arganic compounds exist in the food waste leachate, and the physical processing for it is very inferior because its solid-liquid separation is difficult. Therefore, to increase the bio-degradability of food waste leachate, a variety of pretreatment methods were applied and its effects on the bio-degradability of leachate. the bio-degradability of leachate was assessed by checking the COD removal rate through the COD digestion experiment, while leachate TS(%) content controlling test was performed through the Jar tester. In the result that the proper TS(less then 5%)controlling test was proper pH 7 and Nalco Korea's AN923SH and Iyang Chemical's A601P were put , it showed the degradable content less than 5% under the condition of 0.4% of the input amount.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test using the coagulation agent was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input amount of polymer. When neutralizing at proper pH 7, using NaOH and Ca(OH)₂ was excellent also as the coagulation agent. Therefore, Ca(OH)₂ of the both neutralization agents is assessed as more efficient. In the removal test for the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using the Fenton Oxidation,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₂O₂ and Fe^(2+) on the oxidation efficiency and find the input amount of the hydrogen peroxide and FeSO4(Ⅱ), I first made the weight proportion of Fenton's reagent at 1:1 with leachate having 55,200mg/l of COD density, and then observed the response by giving the different input amount of the hydrogen peroxide and FeSO₄ by 500~8,000mg/l at 30 minutes of the response time, response pH 3.5, respectively. In this case, as more increased Fenton's reagent was input, the COD removal rate increased at first, while later on, it gradually reduces at 5,000mg/l. In case of increasing the response time to 3 hours and changing the input amount to 8,000mg/l. In this case, the COD removal rate which had showed about 54% again even in the 3 hours of response time and showed no difference in terms of the removal efficiency. In the study on the bio-degradability of food waste leachate, I evaluated the bio-degradability by digesting the pretreatment sampling for 20 days and then measuring the changes in COD. In the result of observing the bio-degradability with pH 7, the optimum anaerobic condition, it showed the bio-degradability of the removal tate of 78.72%, 81.38%, 79.61% and 86.70%, respectively. In the Fenton and coagulation combined treatment process, COD removal rate was 86.70% as the most excellent. Further, T-N and T-P were 86.7% and 90.0 and it was found that the Fenton and coagulation combined treatment process was the efficient method to increase the leachate bio-degradability when I improved the degradable content in leachate through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process using the polymer, and let the non-biodegradable organic compounds in leachate digested using the Fenton oxidation proc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