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현대의학의 가장 큰 과제중의 하나인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항암물질을 찾고 또한 치료약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노박덩굴 분획물에 대한 항발암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박덩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현대의학의 가장 큰 과제중의 하나인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항암물질을 찾고 또한 치료약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노박덩굴 분획물에 대한 항발암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박덩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노박덩굴 분획물의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8.99%, 조단백질 2.03%, 조지방 26.55%, 회분 3.05% 였다. 무기질 중에 K의함량이 6905.3 ㎍/mL 로 가장 많았고, 또한 Ca이 3074 ㎍/mL, P이 2708 ㎍/mL였고, 유리아미노산에 있어서는 phenylalanine (0.1mg/mL:3.2276), proline (0.1mg/mL:0.4312), leucine (0.1mg/mL:0.3536)의 순으로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노박덩굴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암세포주(HepG2), 유방암세포주 (MCF-7), 대장암세포주 (HT29), 피부암세포주 (B16F10)에 노박덩굴의 분획물인 COMM, COMH, COMB, COMA을 처리하였다. HepG2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COMM층의 경우 120 ㎍/mL농도에서 86.22% 의 억제율을 보였고, 그 이후 농도에서도 유사한 억제율을 보였다. COMB층의 경우 최종농도인 300 ㎍/mL에서 65.82%의 암세포 증식이 억제됨을 알수가 있었다. MCF-7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율의 경우 COMM층의 300 ㎍/mL 처리 농도에서 89.1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T29의 경우 최종농도인 300 ㎍/mL에서 90.46%의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B16F10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최저 농도인 60 ㎍/mL농도에서 92.91%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내었고 COMB층의 경우 최고 농도인 300 ㎍/mL에서 70.0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COMA층과 COMB층 역시 농도 의존적인 성장억제율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암세포주의 증식 억제율은 전반적으로 methanol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uthanol층에서도 효과가 나타남을 알수 있었다. 세포사멸정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세포수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세포의 사멸정도가 클 경우 세포사멸 형태를 관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뛰어난 methanol층을 이용하여 각 암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한 후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COMM층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수의 감소 및 세포고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로 알려진 quinone reductase의 유도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epG2주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노박덩굴 분획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를 유도하는 물질을 탐색할 수 있었다. COMM층의 경우 60 ㎍/mL 의 시료첨가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3.28배의 QR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MB층은 최종첨가농도인 300 ㎍/mL에서 2.59배의 유도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대장암세포주인 HT29에서 COMM층의 처리에 따른 pro-apoptosis bcl-2 family의 발현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PARP 분절과 연관된 caspase-3, 9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COMM층은 apoptosis의 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박덩굴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OS와 RNS 제거활성을 측정하였다.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 COMB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유사한 제거능을 보였고, ONOO- 제거능은 역시 COMB층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COMM층에서도 ONOO- 제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서 COMB층에 높은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결과, Bacillus subtilis에서 COMH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그 외의 균주에서도 COMH층을 제외하고 각각 다른 항균력이 나타나나 전체적으로 COMM층과 COMB층에서 항균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 검토해보면 노박덩굴의 methanol 분획층인 COMM층과 butanol 분획층인 COMB층이 암세포증식억제, 항산화효과 및 항균효과 검증에 충분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두층에 효과적인 생리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노박덩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암의 발생 빈도와 사망률이 증가함에 따라 현대의학의 가장 큰 과제중의 하나인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천연물로부터 항암물질을 찾고 또한 치료약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노박덩굴 분획물에 대한 항발암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노박덩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고자 일반성분을 조사하였다. 노박덩굴 분획물의 일반성분 분석은 수분 8.99%, 조단백질 2.03%, 조지방 26.55%, 회분 3.05% 였다. 무기질 중에 K의함량이 6905.3 ㎍/mL 로 가장 많았고, 또한 Ca이 3074 ㎍/mL, P이 2708 ㎍/mL였고, 유리아미노산에 있어서는 phenylalanine (0.1mg/mL:3.2276), proline (0.1mg/mL:0.4312), leucine (0.1mg/mL:0.3536)의 순으로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노박덩굴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간암세포주(HepG2), 유방암세포주 (MCF-7), 대장암세포주 (HT29), 피부암세포주 (B16F10)에 노박덩굴의 분획물인 COMM, COMH, COMB, COMA을 처리하였다. HepG2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COMM층의 경우 120 ㎍/mL농도에서 86.22% 의 억제율을 보였고, 그 이후 농도에서도 유사한 억제율을 보였다. COMB층의 경우 최종농도인 300 ㎍/mL에서 65.82%의 암세포 증식이 억제됨을 알수가 있었다. MCF-7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율의 경우 COMM층의 300 ㎍/mL 처리 농도에서 89.1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HT29의 경우 최종농도인 300 ㎍/mL에서 90.46%의 암세포 성장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B16F10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최저 농도인 60 ㎍/mL농도에서 92.91%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내었고 COMB층의 경우 최고 농도인 300 ㎍/mL에서 70.0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COMA층과 COMB층 역시 농도 의존적인 성장억제율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암세포주의 증식 억제율은 전반적으로 methanol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uthanol층에서도 효과가 나타남을 알수 있었다. 세포사멸정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세포수를 측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세포의 사멸정도가 클 경우 세포사멸 형태를 관찰하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뛰어난 methanol층을 이용하여 각 암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한 후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COMM층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수의 감소 및 세포고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로 알려진 quinone reductase의 유도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HepG2주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노박덩굴 분획물로부터 quinone reductase를 유도하는 물질을 탐색할 수 있었다. COMM층의 경우 60 ㎍/mL 의 시료첨가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3.28배의 QR유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MB층은 최종첨가농도인 300 ㎍/mL에서 2.59배의 유도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대장암세포주인 HT29에서 COMM층의 처리에 따른 pro-apoptosis bcl-2 family의 발현증가를 볼 수 있었으며, PARP 분절과 연관된 caspase-3, 9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COMM층은 apoptosis의 작용에 의한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박덩굴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ROS와 RNS 제거활성을 측정하였다. ROS 제거활성 측정결과 COMB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trolox와 유사한 제거능을 보였고, ONOO- 제거능은 역시 COMB층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으며 COMM층에서도 ONOO- 제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에서 COMB층에 높은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가지는 물질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항균활성 효과 실험결과, Bacillus subtilis에서 COMH층을 제외한 모든 층에서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그 외의 균주에서도 COMH층을 제외하고 각각 다른 항균력이 나타나나 전체적으로 COMM층과 COMB층에서 항균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 검토해보면 노박덩굴의 methanol 분획층인 COMM층과 butanol 분획층인 COMB층이 암세포증식억제, 항산화효과 및 항균효과 검증에 충분한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두층에 효과적인 생리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노박덩굴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atural products have been demonstrated as anti-cancer medicine highly diversified structural resources for the discovery of potential materials.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for the compounds exhibit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ies and have been developed as medicinal drugs and health foods. The ...
Natural products have been demonstrated as anti-cancer medicine highly diversified structural resources for the discovery of potential materials.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for the compounds exhibit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ies and have been developed as medicinal drugs and health foods. The Celastrus orbiculatus is a perennial creeping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Celastraceae. This plant have been used for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s the treatment of chills, edema, fever, rheumatoid arthritis, bacterial infection in folk medicine and the sedative action in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elastrus orbiculatus(CO). The Celastrus orbiculatus(CO) were extracted using methanol(COM) and the extracts was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which are hexane (COMH), buthanol (COMB), methnol (COMM), aqueous (COMA) partition lay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by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 zoliumbromide(MTT) assay.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the CO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at 300 ㎎/mL which resulted 87.76% on HepG2 cell lines, 90.46% on HT 29 cell lines, 89.10% on MCF-7 cell lines and 92.45% on B16F10 cell lines. The COMB and COMA also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Chemoprevention of cancer is defined as the use of chemical or dietary component to block the development of cancer.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dietary compositions protect the initiation of the induced Quinone reductase activity. Chemopreventive angents were screened from CO fraction. In the assay, COMM exhibited strong inductive effects on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t 60 ㎍/mL level showing inductive indexes of 3.28 as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from CO wa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CO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Reactive oxygen species(ROS : O2·-, H2O2, ·OH) and peroxynitrite (ONOO-) are proposed as agents attacking fatty acids in cells, tissues, or orgenism (including human beings), giving raise to an oxidative damage of biologically important molecules. Among various parition layers, COMB showed a marked protective effect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The antimicorbial activity was increased inproportion to its concentration on the paper disc test by the paper disc method. Among the varous solvent layers, the COMM and COMB has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Bacillus subtilis in a dose-dependent manner.
Natural products have been demonstrated as anti-cancer medicine highly diversified structural resources for the discovery of potential materials.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for the compounds exhibit significant biological activities and have been developed as medicinal drugs and health foods. The Celastrus orbiculatus is a perennial creeping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Celastraceae. This plant have been used for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as the treatment of chills, edema, fever, rheumatoid arthritis, bacterial infection in folk medicine and the sedative action in China and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elastrus orbiculatus(CO). The Celastrus orbiculatus(CO) were extracted using methanol(COM) and the extracts was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which are hexane (COMH), buthanol (COMB), methnol (COMM), aqueous (COMA) partition lay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by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 zoliumbromide(MTT) assay. Among the various solvent fractions, the COMM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effect at 300 ㎎/mL which resulted 87.76% on HepG2 cell lines, 90.46% on HT 29 cell lines, 89.10% on MCF-7 cell lines and 92.45% on B16F10 cell lines. The COMB and COMA also showed significant cytotoxic effects. Chemoprevention of cancer is defined as the use of chemical or dietary component to block the development of cancer.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dietary compositions protect the initiation of the induced Quinone reductase activity. Chemopreventive angents were screened from CO fraction. In the assay, COMM exhibited strong inductive effects on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t 60 ㎍/mL level showing inductive indexes of 3.28 as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actions from CO was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CO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Reactive oxygen species(ROS : O2·-, H2O2, ·OH) and peroxynitrite (ONOO-) are proposed as agents attacking fatty acids in cells, tissues, or orgenism (including human beings), giving raise to an oxidative damage of biologically important molecules. Among various parition layers, COMB showed a marked protective effect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 The antimicorbial activity was increased inproportion to its concentration on the paper disc test by the paper disc method. Among the varous solvent layers, the COMM and COMB has pote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Bacillus subtilis in a dose-dependent mann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