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0~42개월 영유아들의 전반적인 발달을 측정하도록 만들어져 국내외에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종합적 발달평가도구인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3판중 적응행동척도인 ABAS-II를 국내에서 표준화하기 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서울 근교에 거주하고 있는 12~42개월 영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PC+ version 13.0과 R program을 사용하여 본 검사의 ...
본 연구에서는 0~42개월 영유아들의 전반적인 발달을 측정하도록 만들어져 국내외에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종합적 발달평가도구인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3판중 적응행동척도인 ABAS-II를 국내에서 표준화하기 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서울 근교에 거주하고 있는 12~42개월 영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PC+ version 13.0과 R program을 사용하여 본 검사의 문항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난이도분석 결과, 모든 하위척도의 문항에서 ‘매우 쉬운~어려운’ 난이도 수준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정확한 문항 난이도를 따져 문항 순서를 재배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도 분석을 위해 각 월령그룹별로 살펴본 하위척도내의 문항 내적 일관성 수치인 Cronbach'α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Cronbach'α는 .69~.92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대상에게 3주 간격을 두고 측정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전체 총점인 종합적응행동점수에 대해 .98로 나타나 시간적으로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된 월령별 각 영역에 대한 원점수의 표준편차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측정의 표준오차를 산출해 보았다. 원점수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믿을만한 신뢰도 구간이 예측되었다.
셋째, 하위척도, 영역, 종합점수간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본 검사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나, 하위 문항별 상관을 따져 개별 문항의 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외에 검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EHWA-VABS의 ‘의사소통, 일상생활기술, 사회화, 운동기술’ 영역과 상관을 알아보았다. 결과 ABAS-II와 EWHA-VABS와의 전체 상관은 .9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하고 있는 영역별로도 의미 있는 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검사의 타당도 검증과 더불어 검사의 이론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는 본 검사가 한 개의 요인구조를 가지고 설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래 적응행동이 하나의 단일 개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들이나 국내에서 이루어진 적응행동평가 도구들의 일부 요인분석적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본 검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조와는 다른 결과이다. 이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세 요인을 가정하였을 때 어떤 하위척도들이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단일 구조와 3요인 구조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자료에 부합하는지 가설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에서 주장하는 대로 하위척도들이 그룹을 형성하지는 못했지만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1개의 요인보다는 3개의요인으로 자료를 설명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적응행동을 측정하는 하위영역들이 독립적이지 않으며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세 개의 요인구조로 본 검사를 해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하위척도를 묶어서 합성점수를 제공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3판 적응행동척도인 ABAS-I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 본 결과, 본 검사가 영유아의 적응행동을 측정하기에 타당하며 신뢰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내 표준화를 위해 문항의 재배치 등의 제반 문제점을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의 개별 문항의 질을 평가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0~42개월 영유아들의 전반적인 발달을 측정하도록 만들어져 국내외에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종합적 발달평가도구인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3판중 적응행동척도인 ABAS-II를 국내에서 표준화하기 전에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서울 근교에 거주하고 있는 12~42개월 영유아 28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PC+ version 13.0과 R program을 사용하여 본 검사의 문항분석, 신뢰도, 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 난이도분석 결과, 모든 하위척도의 문항에서 ‘매우 쉬운~어려운’ 난이도 수준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정확한 문항 난이도를 따져 문항 순서를 재배열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뢰도 분석을 위해 각 월령그룹별로 살펴본 하위척도내의 문항 내적 일관성 수치인 Cronbach'α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Cronbach'α는 .69~.92로 나타났으며, 동일한 대상에게 3주 간격을 두고 측정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전체 총점인 종합적응행동점수에 대해 .98로 나타나 시간적으로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된 월령별 각 영역에 대한 원점수의 표준편차와 신뢰도를 바탕으로 측정의 표준오차를 산출해 보았다. 원점수 크기를 고려하였을 때, 믿을만한 신뢰도 구간이 예측되었다.
셋째, 하위척도, 영역, 종합점수간의 상관을 살펴봄으로써 본 검사의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나, 하위 문항별 상관을 따져 개별 문항의 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외에 검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EHWA-VABS의 ‘의사소통, 일상생활기술, 사회화, 운동기술’ 영역과 상관을 알아보았다. 결과 ABAS-II와 EWHA-VABS와의 전체 상관은 .9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하고 있는 영역별로도 의미 있는 상관을 보여주었다.
넷째, 검사의 타당도 검증과 더불어 검사의 이론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는 본 검사가 한 개의 요인구조를 가지고 설명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래 적응행동이 하나의 단일 개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들이나 국내에서 이루어진 적응행동평가 도구들의 일부 요인분석적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본 검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조와는 다른 결과이다. 이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세 요인을 가정하였을 때 어떤 하위척도들이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고, 단일 구조와 3요인 구조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자료에 부합하는지 가설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본 검사에서 주장하는 대로 하위척도들이 그룹을 형성하지는 못했지만 매우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1개의 요인보다는 3개의요인으로 자료를 설명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적응행동을 측정하는 하위영역들이 독립적이지 않으며 매우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세 개의 요인구조로 본 검사를 해석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하위척도를 묶어서 합성점수를 제공하는 것에는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베일리 영유아발달검사 3판 적응행동척도인 ABAS-II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 본 결과, 본 검사가 영유아의 적응행동을 측정하기에 타당하며 신뢰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국내 표준화를 위해 문항의 재배치 등의 제반 문제점을 확인하고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의 개별 문항의 질을 평가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BAS-II before standardizing it in domestic. The ABAS-II is a comprehensive, adaptive behavior scale of Bayley-III, which are devised to estimate the development of infants of 0~42 months old and which validity is...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BAS-II before standardizing it in domestic. The ABAS-II is a comprehensive, adaptive behavior scale of Bayley-III, which are devised to estimate the development of infants of 0~42 months old and which validity is authoriz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ubjects of experiment were 286 infants of 12-42 months old who live in Seoul and the suburbs. The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items of the scale and conducted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SPSS/PC+ Version 13.0 and R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items,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was similar arranging from very easy to difficult in all the skill areas, but the order of the items were required to be rearranged.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α was .69~.92. And the reliability, examined and re-examined on the identical subjects at an interval of 3 weeks, was .98 for the comprehensive, adaptive behavior score, confirming its high stability.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tandard error,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w scores for each sections in the monthly-age categories and the reliability, a convincing reliability section was predicted.
3. The identity of the ABAS-II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kill area, adaptive domain and the GAC(General Adaptive Composite). Besides, the total correlation between ABAS-II and EWHA-VABS was very high(.92) and a meaningful correlation each estimated skill areas was shown.
4.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theoretical factor structure of the ABAS-II., it was shown that the scale can be explained by a single factor structure. And as a result of execu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kill areas did not form a group as this scale insisted, but similar form was shown. And it was confirmed that explaining the data with 3 factors rather than 1 factor was more appropriate. That means skill areas estimating adaptive behaviors are not independent but related to each other, while indicating that interpreting the scale with 3 factor structure is possible but the need of be careful is required when rating composite score by adding up skill area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ABAS-II, it was confirmed that an adaptive behavior scale of Bayley-III, the test is valid for estimating adaptive behavior of infants and have the reliability. Upon this opportunity, several problems such as arrangement of items was revealed and solutions for them were suggested. Henceforth, it is required to estimate each items in various ways and confirm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BAS-II before standardizing it in domestic. The ABAS-II is a comprehensive, adaptive behavior scale of Bayley-III, which are devised to estimate the development of infants of 0~42 months old and which validity is authoriz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The subjects of experiment were 286 infants of 12-42 months old who live in Seoul and the suburbs. The researchers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items of the scale and conducted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SPSS/PC+ Version 13.0 and R program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ng the degree of difficulty of the items, it was shown that the degree was similar arranging from very easy to difficult in all the skill areas, but the order of the items were required to be rearranged.
2.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liability, Cronbach'α was .69~.92. And the reliability, examined and re-examined on the identical subjects at an interval of 3 weeks, was .98 for the comprehensive, adaptive behavior score, confirming its high stability.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tandard error,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w scores for each sections in the monthly-age categories and the reliability, a convincing reliability section was predicted.
3. The identity of the ABAS-II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kill area, adaptive domain and the GAC(General Adaptive Composite). Besides, the total correlation between ABAS-II and EWHA-VABS was very high(.92) and a meaningful correlation each estimated skill areas was shown.
4.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nfirm the theoretical factor structure of the ABAS-II., it was shown that the scale can be explained by a single factor structure. And as a result of execu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kill areas did not form a group as this scale insisted, but similar form was shown. And it was confirmed that explaining the data with 3 factors rather than 1 factor was more appropriate. That means skill areas estimating adaptive behaviors are not independent but related to each other, while indicating that interpreting the scale with 3 factor structure is possible but the need of be careful is required when rating composite score by adding up skill areas.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ABAS-II, it was confirmed that an adaptive behavior scale of Bayley-III, the test is valid for estimating adaptive behavior of infants and have the reliability. Upon this opportunity, several problems such as arrangement of items was revealed and solutions for them were suggested. Henceforth, it is required to estimate each items in various ways and confirm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