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포츠조직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멘토의 역할 중요성에 착안하여 멘토의 리더십과 멘토의 기능 및 멘토링 유형 그리고 조직유효성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전라남북도에 소재하는 5개의 정규 골프장에 근무하는 직원 및 경기보조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층화임의추출법(Stratified Random ...
본 연구는 스포츠조직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멘토의 역할 중요성에 착안하여 멘토의 리더십과 멘토의 기능 및 멘토링 유형 그리고 조직유효성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전라남북도에 소재하는 5개의 정규 골프장에 근무하는 직원 및 경기보조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층화임의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 30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배포한 질문지 300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261부(87%)였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missingvalue)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 43부를 제외한 218부(72.6%)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의 기능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의 기능은 멘토링 유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멘토의 리더십은 멘토링 유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멘토링 유형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이론적 배경을 통해 확립된 연구모형이 경험적 자료를 통해 좋은 모형으로 판단된 경로모형의 연구변인들간의 인과효과를 분석한 결과, 멘토의 기능은 멘토링 유형 보다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의 기능과 멘토링 유형, 멘토의 기능과 조직유효성간의 경로계수는 유의하였다. 또한 멘토의 리더십은 멘토링 유형 보다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의 리더십과 멘토링 유형, 멘토의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간의 경로계수는 유의하였다. 하지만 멘토링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도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멘토의 기능은 조직유효성 중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심리적기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자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문화와 조직구조에 적합하지 않고 멘토와 멘티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멘토링 유형은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경기보조원과 사무직 즉 고용형태에 따른 멘토링의 구성요소로서 멘토의 기능, 멘토의 리더십, 멘토링 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인과적 모형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멘토링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횡단적으로 설문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멘토링 기간과 멘토링 경험을 보정하여 진행하면 보다 정확한 멘토링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골프조직에 있어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구조 특성, 조직문화, 다양성에 의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또는 이들 요인의 차이에 따라 멘토링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등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조직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멘토의 역할 중요성에 착안하여 멘토의 리더십과 멘토의 기능 및 멘토링 유형 그리고 조직유효성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대상으로 전라남북도에 소재하는 5개의 정규 골프장에 근무하는 직원 및 경기보조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층화임의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 30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배포한 질문지 300부 가운데 회수된 질문지는 261부(87%)였으며, 그 가운데 무응답치(missing value)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 43부를 제외한 218부(72.6%)를 본 연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의 기능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멘토의 기능은 멘토링 유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멘토의 리더십은 멘토링 유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멘토링 유형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이론적 배경을 통해 확립된 연구모형이 경험적 자료를 통해 좋은 모형으로 판단된 경로모형의 연구변인들간의 인과효과를 분석한 결과, 멘토의 기능은 멘토링 유형 보다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의 기능과 멘토링 유형, 멘토의 기능과 조직유효성간의 경로계수는 유의하였다. 또한 멘토의 리더십은 멘토링 유형 보다는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멘토의 리더십과 멘토링 유형, 멘토의 리더십과 조직유효성간의 경로계수는 유의하였다. 하지만 멘토링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인과효과(총효과)는 부(-)적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도 유의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을 설명할 수 있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멘토의 기능은 조직유효성 중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심리적기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유효성 중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지적자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문화와 조직구조에 적합하지 않고 멘토와 멘티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멘토링 유형은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경기보조원과 사무직 즉 고용형태에 따른 멘토링의 구성요소로서 멘토의 기능, 멘토의 리더십, 멘토링 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인과적 모형을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멘토링 효과를 측정하는데 있어 횡단적으로 설문지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멘토링 기간과 멘토링 경험을 보정하여 진행하면 보다 정확한 멘토링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골프조직에 있어 멘토의 기능과 멘토의 리더십은 조직구조 특성, 조직문화, 다양성에 의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또는 이들 요인의 차이에 따라 멘토링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등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bringing up good men and obtaining excellent results in the sport organizations. Subjects are 300 people including the staf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bringing up good men and obtaining excellent results in the sport organizations. Subjects are 300 people including the staffs, employees and assistants who work for 5 golf links in Jeollanambukdo with stratified random sampling. 261 questionnaires returned among 300. But 218 questionnaires except for 43 missing values were used to deal with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unction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ffectiveness. 2. Function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ode of mentoring. 3. Leadership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 Leadership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ode of mentoring. 5. Mode of mentoring has littl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6. As results of analysis of the casual effect between study model which is establish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ath model which is recognized as a good model through the practical data, function of mento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causal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mode of mentoring. The coefficient of path between function of mento and mode of montoring, and function of men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Leadership of mento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causal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mode of mentoring. The coefficient of path between leadership of mento and mode of montoring, and leadership of men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But the causal effect which mode of mentoring ha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oves negative. The oefficient of path isn't significant either.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is survey,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explain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 Function of mentor exercises a grea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devotion and especially on the function of psychological sociology. 3. Leadership of mentor has effect on contentment of duty and especially on the intellectual stimulus. 4.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re inappropriate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ructure. Mode of mentoring which leaves characteristics of mentor and menti out of consideration does not have indirect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e next studies, 1.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causal mode among function of mentor, leadership of mentor, mode of mentor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assistants, employees and forms of employment as elements of mentoring. 2. A questionnaire as the cross-sectional approach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 of mentoring. If the next studies revise and develope the period and experience of mentor, they will have the accurate measurement. 3. The following studies will be researched on how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structure, culture and achievement in golf, and what difference mentoring effect ha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se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bringing up good men and obtaining excellent results in the sport organizations. Subjects are 300 people including the staffs, employees and assistants who work for 5 golf links in Jeollanambukdo with stratified random sampling. 261 questionnaires returned among 300. But 218 questionnaires except for 43 missing values were used to deal with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unction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ffectiveness. 2. Function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ode of mentoring. 3. Leadership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4. Leadership of mentor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ode of mentoring. 5. Mode of mentoring has littl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6. As results of analysis of the casual effect between study model which is establish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ath model which is recognized as a good model through the practical data, function of mento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causal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mode of mentoring. The coefficient of path between function of mento and mode of montoring, and function of men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Leadership of mento has a greater influence on the causal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mode of mentoring. The coefficient of path between leadership of mento and mode of montoring, and leadership of mento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significant. But the causal effect which mode of mentoring ha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oves negative. The oefficient of path isn't significant either.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is survey, this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explainorganizational effectiveness 2. Function of mentor exercises a grea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devotion and especially on the function of psychological sociology. 3. Leadership of mentor has effect on contentment of duty and especially on the intellectual stimulus. 4.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are inappropriate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structure. Mode of mentoring which leaves characteristics of mentor and menti out of consideration does not have indirect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e next studies, 1.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causal mode among function of mentor, leadership of mentor, mode of mentoring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assistants, employees and forms of employment as elements of mentoring. 2. A questionnaire as the cross-sectional approach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 of mentoring. If the next studies revise and develope the period and experience of mentor, they will have the accurate measurement. 3. The following studies will be researched on how function and leadership of mentor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structure, culture and achievement in golf, and what difference mentoring effect ha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se fact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