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건축물의 증가와 함께 건축물의 노후화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하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의 일환으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확보하고 유지관리 기능의 강화를 통해 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수 있도록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 평가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보증하고 미래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성능으로 다른 어떤 성능보다 우선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안전성능의 확보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며, 건축물의 내구수명 동안 각종 재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조안전성능의 평가지표를 체계화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해당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또는 진단후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건축물을 매매(임차) 하거나,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건축물을 선택하는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
기존건축물의 증가와 함께 건축물의 노후화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하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의 일환으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확보하고 유지관리 기능의 강화를 통해 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수 있도록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 평가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보증하고 미래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성능으로 다른 어떤 성능보다 우선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안전성능의 확보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며, 건축물의 내구수명 동안 각종 재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조안전성능의 평가지표를 체계화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해당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또는 진단후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건축물을 매매(임차) 하거나,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건축물을 선택하는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안전성능평가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반 평가항목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적인 항목을 도출하고, 관련 연구보고서를 수집·검토하여 적합한 성능평가항목 및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설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기준별 지수와 가중치는 평가목적과 평가자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으므로 기존 연구보고서를 수집·비교 검토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건축물 구조안전성능평가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평가결과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중합 방법, 퍼지이론 등의 수리학적 모델을 소개하였다. 최종 평가등급은 「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한 특별법」과 「시설물의 안전진단 지침」에 준하여 구분하였고, 각 항목별 평가등급을 백분율로 환산하고 분야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등급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건축물의 증가와 함께 건축물의 노후화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국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하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방안의 일환으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확보하고 유지관리 기능의 강화를 통해 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고 오래 사용할수 있도록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 평가제도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을 보증하고 미래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성능으로 다른 어떤 성능보다 우선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건축물에 있어서 구조안전성능의 확보는 타협의 대상이 아니며, 건축물의 내구수명 동안 각종 재난으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지켜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가 보다 쉽고,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구조안전성능의 평가지표를 체계화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방법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여 해당 건축물의 구조안전성능을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검 또는 진단후 평가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건축물을 매매(임차) 하거나,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건축물을 선택하는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안전성능평가와 유사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반 평가항목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적인 항목을 도출하고, 관련 연구보고서를 수집·검토하여 적합한 성능평가항목 및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설정 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기준별 지수와 가중치는 평가목적과 평가자에 따라 다르게 부여될 수 있으므로 기존 연구보고서를 수집·비교 검토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건축물 구조안전성능평가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평가결과의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중합 방법, 퍼지이론 등의 수리학적 모델을 소개하였다. 최종 평가등급은 「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한 특별법」과 「시설물의 안전진단 지침」에 준하여 구분하였고, 각 항목별 평가등급을 백분율로 환산하고 분야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평가결과를 종합하여 등급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Recently, the failure of building structures has been occuring frequently because of the increase and deterioration of existing building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national policy is needed to offer safety life for people. Consequently, to secure safety life for people, the syst...
Recently, the failure of building structures has been occuring frequently because of the increase and deterioration of existing building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national policy is needed to offer safety life for people. Consequently, to secure safety life for people, the system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has to be established to ensure life time of building structures. Thu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in building structures for people easily, the evaluation tools that is compos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ce an architectural engineer to execute inspection or in-depth inspection easily and to provide the decision standard in choosing buildins when people trade and use the buildings. For this study, after we had compared and analyzed evaluation items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in the inside and outside country from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s that were concern about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we selected common items and then established the proper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 In this study, the index and weight of each evaluation standard was reflected from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exis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s that were concern about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And we introduced the mathmatical models like the weighted sum and fuzzy theory to help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final evaluation grade can be determined by converting evaluation grade classifyed by items to percentage and intergrating evaluation results with weight classifyed by divisions.
Recently, the failure of building structures has been occuring frequently because of the increase and deterioration of existing building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execution of national policy is needed to offer safety life for people. Consequently, to secure safety life for people, the system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has to be established to ensure life time of building structures. Thu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in building structures for people easily, the evaluation tools that is compos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ce an architectural engineer to execute inspection or in-depth inspection easily and to provide the decision standard in choosing buildins when people trade and use the buildings. For this study, after we had compared and analyzed evaluation items of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in the inside and outside country from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s that were concern about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we selected common items and then established the proper performance evaluation items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standard. In this study, the index and weight of each evaluation standard was reflected from collecting and investigating existing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s that were concern about structural safety performance. And we introduced the mathmatical models like the weighted sum and fuzzy theory to help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evaluation results. The final evaluation grade can be determined by converting evaluation grade classifyed by items to percentage and intergrating evaluation results with weight classifyed by divis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