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이용한 심리적 소음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effects of noise level reduction using environment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원문보기
오늘날 현대 도시는 높은 국민 소득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오염, 소음공해와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소음공해는 건설소음, 도로교통소음, 생활소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도로교통소음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그 심각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소음 제어 방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의 소음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 심리 및 음향 심리를 이용한 심리적 제어방법이 제시되어 오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심리적 소음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소음 인지도의 저감 효과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시하여 인지도를 조사해 보았으며, 심리적·생리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조사를 통하여 12개소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대해 소리의 쾌적성 인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 환경조건이 소리의 쾌적성 인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경관의 시각적 쾌적성과 도시음의 쾌적성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일 조건의 소음환경에 대해 시각적 쾌적성이 높을수록 소리의 쾌적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물리적 레벨로 환산하면 약 LeqA 3∼5dB 정도에 해당하였다. 이는 경관에 의한 소음의 심리적 저감효과로서 간주할 수 있으며, 도시 소음정책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심리적·생리적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의 객관성 및 일관성을 확인하며, 친환경 시각 및 청각정보의 도입이 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둘째, 친환경적 시각 및 청각정보가 소음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한 결과, 시각 및 청각 정보의 제공효과로서 62 dB(A)의 소음을 약 5~10% 정도까지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적인 시각정보도 소음의 크기인식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65 dB(A)를 상회하면서 그 효과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요인들이 소음 인지도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뇌파 측정을 통해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가 도로교통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간이 편안한 상태에서 많이 나타나는 ...
오늘날 현대 도시는 높은 국민 소득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오염, 소음공해와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소음공해는 건설소음, 도로교통소음, 생활소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도로교통소음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그 심각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소음 제어 방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의 소음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 심리 및 음향 심리를 이용한 심리적 제어방법이 제시되어 오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심리적 소음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소음 인지도의 저감 효과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시하여 인지도를 조사해 보았으며, 심리적·생리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조사를 통하여 12개소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대해 소리의 쾌적성 인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 환경조건이 소리의 쾌적성 인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경관의 시각적 쾌적성과 도시음의 쾌적성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일 조건의 소음환경에 대해 시각적 쾌적성이 높을수록 소리의 쾌적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물리적 레벨로 환산하면 약 LeqA 3∼5dB 정도에 해당하였다. 이는 경관에 의한 소음의 심리적 저감효과로서 간주할 수 있으며, 도시 소음정책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심리적·생리적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의 객관성 및 일관성을 확인하며, 친환경 시각 및 청각정보의 도입이 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둘째, 친환경적 시각 및 청각정보가 소음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한 결과, 시각 및 청각 정보의 제공효과로서 62 dB(A)의 소음을 약 5~10% 정도까지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적인 시각정보도 소음의 크기인식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65 dB(A)를 상회하면서 그 효과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요인들이 소음 인지도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뇌파 측정을 통해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가 도로교통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간이 편안한 상태에서 많이 나타나는 알파파의 증가율이 시각 정보에서는 녹색전원지역을 제시해 준 경우가 도심CBD지역의 영상을 제시해 주었을 경우보다 전반적인 알파파 증가율이 약 10% 이상 증가하였다. 청각 정보에서는 시그널의 경우 뇌파 측정 위치별 알파파 증가율의 편차가 크며, 유의한 알파파 증가율을 보이는 채널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환경음악을 제시해 준 경우는 도로교통소음만 들려준 경우보다 약 40∼50%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가 소음 인지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생리적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청감실험 및 뇌파 측정을 통하여 알아본 결과, 소음의 인지도 및 쾌적성은 단순한 소리의 레벨과 크기가 아닌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심리적·생리적 관점에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소음의 크기와 레벨에 의한 평가법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관점의 Sound Quality, Soundscape, Sound Amenity의 도입이 필요하며, 소음 인지도 저감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 현대 도시는 높은 국민 소득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오염, 소음공해와 같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소음공해는 건설소음, 도로교통소음, 생활소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도로교통소음은 급격한 자동차의 증가로 인하여 그 심각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소음 제어 방법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관점의 소음 제어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 심리 및 음향 심리를 이용한 심리적 제어방법이 제시되어 오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심리적 소음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소음 인지도의 저감 효과를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를 제시하여 인지도를 조사해 보았으며, 심리적·생리적 관점에서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조사를 통하여 12개소의 다양한 환경조건에 대해 소리의 쾌적성 인지도를 현장에서 조사한 결과, 환경조건이 소리의 쾌적성 인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경관의 시각적 쾌적성과 도시음의 쾌적성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동일 조건의 소음환경에 대해 시각적 쾌적성이 높을수록 소리의 쾌적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를 물리적 레벨로 환산하면 약 LeqA 3∼5dB 정도에 해당하였다. 이는 경관에 의한 소음의 심리적 저감효과로서 간주할 수 있으며, 도시 소음정책의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심리적·생리적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의 객관성 및 일관성을 확인하며, 친환경 시각 및 청각정보의 도입이 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둘째, 친환경적 시각 및 청각정보가 소음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실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파악한 결과, 시각 및 청각 정보의 제공효과로서 62 dB(A)의 소음을 약 5~10% 정도까지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적인 시각정보도 소음의 크기인식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65 dB(A)를 상회하면서 그 효과는 거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요인들이 소음 인지도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셋째, 뇌파 측정을 통해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가 도로교통소음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간이 편안한 상태에서 많이 나타나는 알파파의 증가율이 시각 정보에서는 녹색전원지역을 제시해 준 경우가 도심CBD지역의 영상을 제시해 주었을 경우보다 전반적인 알파파 증가율이 약 10% 이상 증가하였다. 청각 정보에서는 시그널의 경우 뇌파 측정 위치별 알파파 증가율의 편차가 크며, 유의한 알파파 증가율을 보이는 채널도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환경음악을 제시해 준 경우는 도로교통소음만 들려준 경우보다 약 40∼50%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환경 시각 및 청각 정보가 소음 인지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생리적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청감실험 및 뇌파 측정을 통하여 알아본 결과, 소음의 인지도 및 쾌적성은 단순한 소리의 레벨과 크기가 아닌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심리적·생리적 관점에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존 소음의 크기와 레벨에 의한 평가법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관점의 Sound Quality, Soundscape, Sound Amenity의 도입이 필요하며, 소음 인지도 저감을 위한 다양한 친환경 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Today people have been gradually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air, water, waste and noise pollutions in modern cities due to the improvement of high national income and living standards. In particular, noise pollution could be divided into construction, road traffic, and living n...
Today people have been gradually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air, water, waste and noise pollutions in modern cities due to the improvement of high national income and living standards. In particular, noise pollution could be divided into construction, road traffic, and living noises; and among them, the severity of road traffic noises has been increasing to a great extent due to the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s in the methods of controlling noises physicall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new method for controlling them. Recently, some psychological controlling methods using environmental and sound psychology have been suggested and this study attempt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reducing noise perception using the methods of controlling noises psycholog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nd examined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and checked its effects fro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after examining the perception on sound amenity for 12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preliminary survey on the on-sit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ed the perception on sound amen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Meanwhile,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menity of cityscape and the amenity of city sound, the higher visual amenity for the same noise environment, the higher sound amenity and if it was converted into a physical level, it corresponded to about LeqA 3∼5dB.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psychological effect of reducing noises by the scenes so that it has been assumed that a new perspective for the urban noise policies could be provided. Therefore, the study attempted to check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measurement by us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ing method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noises. Second, after looking closely into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noises quantitatively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lab,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felt the noise of 62 dB(A) about 5~10% less as an effect of providing audio-visu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visual information relatively lowered the perception of loudness. However, after exceeding 65 dB (A), their effects were not noticeable and these elements rather tended to function as the elements of enlarging the perception of noises. Third,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on traffic noise perception through brain wave measure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crease rate of alpha wave (that usually occurs in a comfortable state) was about 10% higher in case of providing the green rural regions than in case of providing the images of urban CBD area in terms of visual information. In terms of auditory information, the deviation of alpha wave increase rate by the location of brain wave measurement was large in case of signal and the channels showing the significant increase in alpha wave were not confirm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case of providing environmental sound increased about 40∼50% more than the case of providing road traffic noises. It signified that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erception of noises from the phys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and brain wave measurement, it has been shown that the perception and amenity of noises were not simply affected by the level and size of sound, but by various elements from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perspective sound quality, sound-scape and sound amenity, by escaping from th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existing size and level of noises an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environment-friendly contents for reducing the perception of noises.
Today people have been gradually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air, water, waste and noise pollutions in modern cities due to the improvement of high national income and living standards. In particular, noise pollution could be divided into construction, road traffic, and living noises; and among them, the severity of road traffic noises has been increasing to a great extent due to the sudden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s.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s in the methods of controlling noises physically;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new method for controlling them. Recently, some psychological controlling methods using environmental and sound psychology have been suggested and this study attempted to quantify the effects of reducing noise perception using the methods of controlling noises psychological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nd examined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and checked its effects fro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after examining the perception on sound amenity for 12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preliminary survey on the on-sit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ffected the perception on sound amen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Meanwhile,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menity of cityscape and the amenity of city sound, the higher visual amenity for the same noise environment, the higher sound amenity and if it was converted into a physical level, it corresponded to about LeqA 3∼5dB. This could be considered as a psychological effect of reducing noises by the scenes so that it has been assumed that a new perspective for the urban noise policies could be provided. Therefore, the study attempted to check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of measurement by using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ing methods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noises. Second, after looking closely into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on the perception of noises quantitatively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lab, it has been found that people felt the noise of 62 dB(A) about 5~10% less as an effect of providing audio-visual information and the environmental visual information relatively lowered the perception of loudness. However, after exceeding 65 dB (A), their effects were not noticeable and these elements rather tended to function as the elements of enlarging the perception of noises. Third,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on traffic noise perception through brain wave measure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increase rate of alpha wave (that usually occurs in a comfortable state) was about 10% higher in case of providing the green rural regions than in case of providing the images of urban CBD area in terms of visual information. In terms of auditory information, the deviation of alpha wave increase rate by the location of brain wave measurement was large in case of signal and the channels showing the significant increase in alpha wave were not confirmed;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case of providing environmental sound increased about 40∼50% more than the case of providing road traffic noises. It signified that environmental audio-visual inform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perception of noises from the physiological perspective. Through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and brain wave measurement, it has been shown that the perception and amenity of noises were not simply affected by the level and size of sound, but by various elements from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perspectiv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perspective sound quality, sound-scape and sound amenity, by escaping from th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the existing size and level of noises and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environment-friendly contents for reducing the perception of noi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