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복지체감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만족 또한 그다지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공공부조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들을 살펴보면서 수급자만족도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중심으로 수급자의 복지의식과 권리의식, 수급자의 보장특성, 제도인식태도와 제도권리의식 등을 제도보장만족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로 구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 12.0K)의 ...
최근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복지체감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만족 또한 그다지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공공부조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들을 살펴보면서 수급자만족도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중심으로 수급자의 복지의식과 권리의식, 수급자의 보장특성, 제도인식태도와 제도권리의식 등을 제도보장만족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로 구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 12.0K)의 빈도분석, 분산분석(ANOVA),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조사대상 수급자의 복지의식은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권리의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제도인식태도는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제도권리의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수급자의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한 결과 제도보장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도보장만족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제도보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연령, 종교, 생계급여, 자활급여, 권리의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활급여, 제도인식태도, 제도보장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수급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를 가지고 있을수록, 생계급여와 자활급여가 많을수록, 수급자의 권리의식이 높을수록, 수급자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제도보장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급자의 자활급여가 많을수록, 수급자의 제도인식실태가 높을수록, 수급자의 제도보장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 볼 때, 앞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을 시행하면서, 수급자의 권리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권리보호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실시, 자활사업 활성화 도모, 전문 인력의 충원 및 확충,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의 각종 복지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복지체감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으며,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만족 또한 그다지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공공부조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들을 살펴보면서 수급자만족도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중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를 중심으로 수급자의 복지의식과 권리의식, 수급자의 보장특성, 제도인식태도와 제도권리의식 등을 제도보장만족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로 구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 12.0K)의 빈도분석, 분산분석(ANOVA),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조사대상 수급자의 복지의식은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권리의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제도인식태도는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제도권리의식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수급자의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한 결과 제도보장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는 중간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제도보장만족도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제도보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연령, 종교, 생계급여, 자활급여, 권리의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활급여, 제도인식태도, 제도보장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수급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를 가지고 있을수록, 생계급여와 자활급여가 많을수록, 수급자의 권리의식이 높을수록, 수급자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을수록 제도보장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급자의 자활급여가 많을수록, 수급자의 제도인식실태가 높을수록, 수급자의 제도보장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복지전담공무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 볼 때, 앞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을 시행하면서, 수급자의 권리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권리보호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실시, 자활사업 활성화 도모, 전문 인력의 충원 및 확충,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
Despite the government’s recent varietiesof welfare policy, sensible welfare factor of the people is not up to satisfactory including satisfactory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 Hence, the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ould improve service quality of the Basic Liveli...
Despite the government’s recent varietiesof welfare policy, sensible welfare factor of the people is not up to satisfactory including satisfactory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 Hence, the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ould improve service quality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satisfaction of recipients while inquiring all kinds of factors that contribute in affecting satisfactory on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hich is typical public assistance of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 the study has executed a categorized survey focusing on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of Joongu, Daajeon Metropolitan City by dividing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and satisfaction of system security of awareness right and welfare awareness of recipients including special characteristics,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and the right of system awareness of recipient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statistic package (SPSSWIN 12.0K) for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welfare awareness of the survey participatory showed slightly higher than intermediate level while the awareness right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are to other areas. The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show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right of system awareness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areas.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ory recipients showed extremely lower level than expected as a result of the inquiry while the satisfaction on the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The factor that a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howed difference in satisfaction from th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and the attributing variable on the satisfaction were age, religious, livelihood allowance, rehabilitation allowance, awareness rightand service of social welfare workers’ satisfaction. The variable that affects on service of social welfare workers’ satisfaction was shown as rehabilitation allowance and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This reflects that the recipients have higher satisfaction on system welfare as they belong to older age group, have specific religious and the more they have livelihood and rehabilitation allowance, and the more they have higher satisfaction on the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workers. In addition, as the recipients have the more rehabilitation allowance, higher system awareness status,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on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tudy has realized the necessity of a continual education system to enhance expertise of social welfare workers, expansion and supplement of the personnel, devising revitalization of rehabilitation business, aggressive education about system, systematic supplement to protect the right and prepar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awareness right of recipient.
Despite the government’s recent varietiesof welfare policy, sensible welfare factor of the people is not up to satisfactory including satisfactory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 Hence, the study provided basic data that could improve service quality of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and satisfaction of recipients while inquiring all kinds of factors that contribute in affecting satisfactory on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hich is typical public assistance of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 the study has executed a categorized survey focusing on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of Joongu, Daajeon Metropolitan City by dividing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and satisfaction of system security of awareness right and welfare awareness of recipients including special characteristics,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and the right of system awareness of recipient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thods of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statistic package (SPSSWIN 12.0K) for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welfare awareness of the survey participatory showed slightly higher than intermediate level while the awareness right showed relatively higher compare to other areas. The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showed higher than the middle and the right of system awareness showed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areas.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ory recipients showed extremely lower level than expected as a result of the inquiry while the satisfaction on the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middle level. The factor that a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howed difference in satisfaction from the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and the attributing variable on the satisfaction were age, religious, livelihood allowance, rehabilitation allowance, awareness rightand service of social welfare workers’ satisfaction. The variable that affects on service of social welfare workers’ satisfaction was shown as rehabilitation allowance and attitude in system awareness. This reflects that the recipients have higher satisfaction on system welfare as they belong to older age group, have specific religious and the more they have livelihood and rehabilitation allowance, and the more they have higher satisfaction on the service of the social welfare workers. In addition, as the recipients have the more rehabilitation allowance, higher system awareness status, they showed higher satisfaction on social welfare workers’ service.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tudy has realized the necessity of a continual education system to enhance expertise of social welfare workers, expansion and supplement of the personnel, devising revitalization of rehabilitation business, aggressive education about system, systematic supplement to protect the right and preparing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awareness right of recipi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