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해안지역 장기재령 건축물의 특성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Aged Buildings for Flying Salinity Contents in Seashore Area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해안 지역의 건축물에 대한 비래염분 침투와 함유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해안 지역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안 지역에 위치한 20∼40년 정도 경과한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영향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파악하였다. 코어 공시체의 채취 대상은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및 해운대구의 해안으로부터 600m 이내에 소재한 아파트 및 호텔 등 장기재령의 철거 건물로 하였다. 그리고 대상 건축물에서 직접 코어 공시체를 채취하여 표면부로부터 10mm 간격으로 50mm 깊이까지 절단하여 ...
본 연구에서는 해안 지역의 건축물에 대한 비래염분 침투와 함유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해안 지역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안 지역에 위치한 20∼40년 정도 경과한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영향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파악하였다. 코어 공시체의 채취 대상은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및 해운대구의 해안으로부터 600m 이내에 소재한 아파트 및 호텔 등 장기재령의 철거 건물로 하였다. 그리고 대상 건축물에서 직접 코어 공시체를 채취하여 표면부로부터 10mm 간격으로 50mm 깊이까지 절단하여 가용성 염분 함유량을 측정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 해안 지역 건축물의 코어 공시체별 평균 염분 함유량은 최저 0.09㎏/㎥에서 최고 6.10㎏/㎥로 염분량이 많고 분포 폭도 넓게 나타났다. 그리고 코어 공시체 개별로 보면 K호텔의 경우 평균 염분 함유량이 6.10㎏/㎥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2. 본 연구에서 조사된 51개소 코어 공시체의 염분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철근콘크리트의 염분 함유량 규제값인 0.3㎏/㎥ 이내의 염분을 함유한 것은 27%(14개)이고, 0.3∼0.6㎏/㎥ 범위는 16%(8개), 나머지 57%(29개)는 0.6∼6.1㎏/㎥ 범위로 전체적으로 염분 함유량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 콘크리트 내부의 염분량을 분포 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거리별 염분 분포는 20∼200m 이내의 경우 평균 염분 함유량이 1.63㎏/㎥, 200∼600m 범위에서는 0.46㎏/㎥로서 그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다. 그리고 마감재별로 보면 가장 양호한 마감 재료인 모르터 위 수성페인트 마감과 노출 마감과의 염분 함유량이 약 2.0㎏/㎥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방향별, 부위별, 방위별, 층별 구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비래염분 침투 특성의 영향요인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R2)가 0.3013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공시체의 염분 분포가 넓게 분산되어 있어 비교 대상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물의 영향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건물의 영향요소와 비래염분 침투량과의 명확한 상관 분석을 위하여 향후 건물의 영향요소별로 비교 분석을 위한 보다 많은 관측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지역의 건축물에 대한 비래염분 침투와 함유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해안 지역 건축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안 지역에 위치한 20∼40년 정도 경과한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의 영향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파악하였다. 코어 공시체의 채취 대상은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및 해운대구의 해안으로부터 600m 이내에 소재한 아파트 및 호텔 등 장기재령의 철거 건물로 하였다. 그리고 대상 건축물에서 직접 코어 공시체를 채취하여 표면부로부터 10mm 간격으로 50mm 깊이까지 절단하여 가용성 염분 함유량을 측정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 해안 지역 건축물의 코어 공시체별 평균 염분 함유량은 최저 0.09㎏/㎥에서 최고 6.10㎏/㎥로 염분량이 많고 분포 폭도 넓게 나타났다. 그리고 코어 공시체 개별로 보면 K호텔의 경우 평균 염분 함유량이 6.10㎏/㎥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2. 본 연구에서 조사된 51개소 코어 공시체의 염분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철근콘크리트의 염분 함유량 규제값인 0.3㎏/㎥ 이내의 염분을 함유한 것은 27%(14개)이고, 0.3∼0.6㎏/㎥ 범위는 16%(8개), 나머지 57%(29개)는 0.6∼6.1㎏/㎥ 범위로 전체적으로 염분 함유량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3. 콘크리트 내부의 염분량을 분포 형태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를 보면 거리별 염분 분포는 20∼200m 이내의 경우 평균 염분 함유량이 1.63㎏/㎥, 200∼600m 범위에서는 0.46㎏/㎥로서 그 차이가 현저히 나타났다. 그리고 마감재별로 보면 가장 양호한 마감 재료인 모르터 위 수성페인트 마감과 노출 마감과의 염분 함유량이 약 2.0㎏/㎥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방향별, 부위별, 방위별, 층별 구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비래염분 침투 특성의 영향요인별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R2)가 0.3013으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공시체의 염분 분포가 넓게 분산되어 있어 비교 대상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건물의 영향요소가 비래염분 침투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건물의 영향요소와 비래염분 침투량과의 명확한 상관 분석을 위하여 향후 건물의 영향요소별로 비교 분석을 위한 보다 많은 관측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grasps the flying salinity permeation and containing with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fter i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nd its taken place from the buildings that has been there between 20 and 40 years, located in seashore are...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grasps the flying salinity permeation and containing with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fter i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nd its taken place from the buildings that has been there between 20 and 40 years, located in seashore area and it has been found what kind of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aged buildings in seashore area to flying salinity contents. The buildings that are situated within 600m of the coastal area, which are ready to be demolished in Busan City, Nam-Gu, Su-young and Hae-woon-dae, such as apartments, hotels and long-term has been selected for the core test. From these selected buildings the core testing samples were drawn, an abscission took place in the interval of 10mm to 50mm depth from the surface and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from the each salt content level. 1. From the core test of the selected buildings, the average salinity content level around seashore area was from the lowest of 0.09(Cl-kg/㎥) to highest of 6.10(Cl-㎏/㎥), indicating wide range of distribution. Furthermore, from the K-hotel core test level, which indicated an average of salinity content level was at 6.10(Cl-㎏/㎥), which was at the highest and indicated most level of standard. 2. From the investigated 51 core test samples, the salinity level has been analysed and its result indicated that 27%(14 samples) fits under the regulated standard level of salt content of 0.3(Cl-㎏/㎥) for the reinforced concrete, 16%(8 samples) leveled from 0.3∼0.6(Cl-㎏/㎥), and the remaining 57%(29 samples) indicated fairly high level of 0.6∼6.1(Cl-㎏/㎥) in salinity content level. 3. The salinity contents level distribution analyzed from the inside of concrete showed that the salinity contents level from 20∼200m distance was at an average of 1.63(Cl-㎏/㎥), and at 200∼600m distance showed 0.46(Cl-㎏/㎥) salinity contents level, which indicates an obvious difference. The most suitable finishing material could be exposed concrete material and exposed finishing which indicated almost 2.0(Cl-㎏/㎥) difference. However, there were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ance level, region level or floor level. 4.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hich analyzes the flying salinity of penetration characteristics shows low-end interrelationship with 0.3013 which analyzes the effect elements of flying salinity of penetration characteristics. The salinity distribution of the core test which it analyzes from the research sees widely dispersed and it originates to the insufficiency of the comparison object with the fact that. Result above it leads, it has been found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nfluences flying salinity contents and it is cleared a comparison analysis especially,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respects a comparison and analysis. And the fact that more the observation and research must become accomplished.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grasps the flying salinity permeation and containing with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fter it improves the durability of the buildings in seashore area. And its taken place from the buildings that has been there between 20 and 40 years, located in seashore area and it has been found what kind of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aged buildings in seashore area to flying salinity contents. The buildings that are situated within 600m of the coastal area, which are ready to be demolished in Busan City, Nam-Gu, Su-young and Hae-woon-dae, such as apartments, hotels and long-term has been selected for the core test. From these selected buildings the core testing samples were drawn, an abscission took place in the interval of 10mm to 50mm depth from the surface and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from the each salt content level. 1. From the core test of the selected buildings, the average salinity content level around seashore area was from the lowest of 0.09(Cl-kg/㎥) to highest of 6.10(Cl-㎏/㎥), indicating wide range of distribution. Furthermore, from the K-hotel core test level, which indicated an average of salinity content level was at 6.10(Cl-㎏/㎥), which was at the highest and indicated most level of standard. 2. From the investigated 51 core test samples, the salinity level has been analysed and its result indicated that 27%(14 samples) fits under the regulated standard level of salt content of 0.3(Cl-㎏/㎥) for the reinforced concrete, 16%(8 samples) leveled from 0.3∼0.6(Cl-㎏/㎥), and the remaining 57%(29 samples) indicated fairly high level of 0.6∼6.1(Cl-㎏/㎥) in salinity content level. 3. The salinity contents level distribution analyzed from the inside of concrete showed that the salinity contents level from 20∼200m distance was at an average of 1.63(Cl-㎏/㎥), and at 200∼600m distance showed 0.46(Cl-㎏/㎥) salinity contents level, which indicates an obvious difference. The most suitable finishing material could be exposed concrete material and exposed finishing which indicated almost 2.0(Cl-㎏/㎥) difference. However, there were no suc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stance level, region level or floor level. 4.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hich analyzes the flying salinity of penetration characteristics shows low-end interrelationship with 0.3013 which analyzes the effect elements of flying salinity of penetration characteristics. The salinity distribution of the core test which it analyzes from the research sees widely dispersed and it originates to the insufficiency of the comparison object with the fact that. Result above it leads, it has been found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nfluences flying salinity contents and it is cleared a comparison analysis especially,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respects a comparison and analysis. And the fact that more the observation and research must become accomplish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