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은 최근 유병율 증가 등으로 인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임상 및 영상 의학적 소견의 다양성으로 인해 진단하기가 아직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소견을 살펴보고 진단에 도움을 주는 영상 소견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 중 흉부 ...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은 최근 유병율 증가 등으로 인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임상 및 영상 의학적 소견의 다양성으로 인해 진단하기가 아직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소견을 살펴보고 진단에 도움을 주는 영상 소견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 중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74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진단은 1997년과 2007년에 발표된 미국 흉부 학회 지침서에 따라 이루어졌다. 남자는 35명, 여자는 39명 이었고 모두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음성이었다.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합의해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의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동정된 비결핵 항산균 중 가장 흔한 균주는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n = 65, 87.8%)이었고, 이어서 Mycobacterium abscessus (n = 5, 6.8%), Mycobacterium kansasii (n = 3, 4.1%), Mycobacterium chelonae (n = 2, 2.7%) 순이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영상 소견으로는 결절성 기관지 확장증을 보인 경우(35예, 46.7%), 상엽에 공동성 병변으로 보인 경우(21예, 28.0%), 그리고 두 소견이 함께 보인 경우(6예, 8.0%), 주로 경화성 병변으로 보인 경우(5예, 6.7%), 결핵 질환처럼 기관지 파급을 보인 경우(5예, 6.7%), 주변의 위성 소결절과 동반된 공동성 종괴로 보인 경우(2예, 2.7%), 그리고 속립성 질환으로 보인 경우(1예, 1.3%)가 있었다. 병변이 침범한 분절의 평균수는 10개 이었으며, 5분절 이상을 침범하는 경우가 81.1%이었다. 또한 부수적인 소견으로 경화성 병변을 동반한 경우는 65.3%이었다. 결론적으로 결절성 기관지 확장증과 상엽의 공동성 병변은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으며, 다 분절을 침범하거나 부수적인 경화성 병변을 동반하였을 때 특히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경기관지 파급 병변이나 공동화 종괴처럼 다양한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섣부른 진단이나 결핵에 대한 경험적 치료는 확진이 되기 전까지는 피해야 하겠다.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은 최근 유병율 증가 등으로 인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임상 및 영상 의학적 소견의 다양성으로 인해 진단하기가 아직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영상 소견을 살펴보고 진단에 도움을 주는 영상 소견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2005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으로 진단된 환자 중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한 74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의 진단은 1997년과 2007년에 발표된 미국 흉부 학회 지침서에 따라 이루어졌다. 남자는 35명, 여자는 39명 이었고 모두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음성이었다.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합의해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의 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동정된 비결핵 항산균 중 가장 흔한 균주는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n = 65, 87.8%)이었고, 이어서 Mycobacterium abscessus (n = 5, 6.8%), Mycobacterium kansasii (n = 3, 4.1%), Mycobacterium chelonae (n = 2, 2.7%) 순이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의 영상 소견으로는 결절성 기관지 확장증을 보인 경우(35예, 46.7%), 상엽에 공동성 병변으로 보인 경우(21예, 28.0%), 그리고 두 소견이 함께 보인 경우(6예, 8.0%), 주로 경화성 병변으로 보인 경우(5예, 6.7%), 결핵 질환처럼 기관지 파급을 보인 경우(5예, 6.7%), 주변의 위성 소결절과 동반된 공동성 종괴로 보인 경우(2예, 2.7%), 그리고 속립성 질환으로 보인 경우(1예, 1.3%)가 있었다. 병변이 침범한 분절의 평균수는 10개 이었으며, 5분절 이상을 침범하는 경우가 81.1%이었다. 또한 부수적인 소견으로 경화성 병변을 동반한 경우는 65.3%이었다. 결론적으로 결절성 기관지 확장증과 상엽의 공동성 병변은 비결핵 항산균 폐질환을 시사하는 소견이라 할 수 있으며, 다 분절을 침범하거나 부수적인 경화성 병변을 동반하였을 때 특히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경기관지 파급 병변이나 공동화 종괴처럼 다양한 영상 소견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섣부른 진단이나 결핵에 대한 경험적 치료는 확진이 되기 전까지는 피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est CT feature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disease regardless of specific organisms. Seventy-four consecutive patients (35 men, 39 women; mean age, 63 years; age range, 25-89; negative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who were diagnosed NTM d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est CT feature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disease regardless of specific organisms. Seventy-four consecutive patients (35 men, 39 women; mean age, 63 years; age range, 25-89; negative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who were diagnosed NTM disease according to the ATS (American Thoracic Society) guideline (1997 and 2007) between January 2005 and July 2007, were included. Chest CT images were randomized and reviewed by two radiologists with consensus. Most common organisms are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n = 65, 87.8%), followed by Mycobacterium abscessus (n = 5, 6.8%), Mycobacterium kansasii (n = 3, 4.1%), and Mycobacterium chelonae (n = 2, 2.7%). Chest CT findings showed nodular bronchiectasis (n = 35, 46.7%), cavitary lesions of upper lobes (n = 21, 28.0%), combined lesions of prior two subtypes (n = 6, 8.0%). mainly consolidative lesions (n = 5, 6.7%), bronchogenic spreading pulmonary tuberculosis-like lesions (n = 5, 6.7%), a cavitary mass with small satellite nodules (n = 2, 2.7%), and miliary disease (n = 1, 1.3%). Mean number of involving segments was 10(1-18), and cases involving more than five segments were 81.1%. Associated consolidations were noted in 65.3% (49/75). In conclusions, nodular bronchiectasis and cavitary lesions of upper lobes with multisegmental involvement and combined consolidation are suggestive of NTM disease. However, because there are variable imaging findings of NTM disease such as pulmonary tuberculosis-like lesions or cavitary mass, hasty diagnosis or empirical therapy for tuberculosis should be avoided until confirmative diagnosis is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est CT features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disease regardless of specific organisms. Seventy-four consecutive patients (35 men, 39 women; mean age, 63 years; age range, 25-89; negative for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who were diagnosed NTM disease according to the ATS (American Thoracic Society) guideline (1997 and 2007) between January 2005 and July 2007, were included. Chest CT images were randomized and reviewed by two radiologists with consensus. Most common organisms are Mycobacterium avium-intracellulare complex (n = 65, 87.8%), followed by Mycobacterium abscessus (n = 5, 6.8%), Mycobacterium kansasii (n = 3, 4.1%), and Mycobacterium chelonae (n = 2, 2.7%). Chest CT findings showed nodular bronchiectasis (n = 35, 46.7%), cavitary lesions of upper lobes (n = 21, 28.0%), combined lesions of prior two subtypes (n = 6, 8.0%). mainly consolidative lesions (n = 5, 6.7%), bronchogenic spreading pulmonary tuberculosis-like lesions (n = 5, 6.7%), a cavitary mass with small satellite nodules (n = 2, 2.7%), and miliary disease (n = 1, 1.3%). Mean number of involving segments was 10(1-18), and cases involving more than five segments were 81.1%. Associated consolidations were noted in 65.3% (49/75). In conclusions, nodular bronchiectasis and cavitary lesions of upper lobes with multisegmental involvement and combined consolidation are suggestive of NTM disease. However, because there are variable imaging findings of NTM disease such as pulmonary tuberculosis-like lesions or cavitary mass, hasty diagnosis or empirical therapy for tuberculosis should be avoided until confirmative diagnosis is establish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