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해봄으로써 중·고등학교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을 분명히 규명하고, 학급 담임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어 학급 경영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셋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습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넷째, 학급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다섯째, 학급 담임교사의 진도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5개 영역에 걸쳐 25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창원시, 김해시(읍·면지역) 소재 중학교 학생 200명, 고등학교 학생 2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지역별·학교급별로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해봄으로써 중·고등학교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을 분명히 규명하고, 학급 담임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어 학급 경영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셋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습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넷째, 학급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다섯째, 학급 담임교사의 진도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5개 영역에 걸쳐 25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창원시, 김해시(읍·면지역) 소재 중학교 학생 200명, 고등학교 학생 2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지역별·학교급별로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교차분석 X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하여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의 기대 수준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학급 담임선생님이 중점적으로 지도해 주기를 바라는 분야는 중학생은 학습지도 영역에, 고등학생은 진로지도 영역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둘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은 소풍, 체육대회, 수련회 등의 단체 활동에 교사가 함께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고등학생은 면학 분위기 조성에 관심을 가져 주기를 기대하였다.
셋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습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차이는 별로 없었고, 학습평가 실시 후 성적에 대하여 중학생은 아무 말 없이 그냥 지나가기를 기대하고 고등학생은 성적의 향상과 저하에 관계없이 개별 상담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학급 담임교사가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해 주기를 기대하였고, 학생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였을 때는 담임교사가 누가기록을 하여 지나치면 적절한 벌을 주기로 기대하였다. 또 생활지도 시 학부모와 연계지도가 필요할 때는 문제의 정도에 따라 심각한 경우에는 부모에게 알리고 부모님과의 상담은 전화로 하기를 기대하는 등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전체적인 경향과 유사한 인식을 보였을 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급 담임교사의 진로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학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정보를 제공해 준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수시로 진로 정보를 제공해 주고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 노력한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 기대에 대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해봄으로써 중·고등학교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을 분명히 규명하고, 학급 담임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어 학급 경영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셋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습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넷째, 학급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다섯째, 학급 담임교사의 진도지도 방법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의 기대 수준은 어떻게 다른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5개 영역에 걸쳐 25문항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창원시, 김해시(읍·면지역) 소재 중학교 학생 200명, 고등학교 학생 2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지역별·학교급별로 구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한 다음, 교차분석 X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대하여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의 기대 수준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학급 담임선생님이 중점적으로 지도해 주기를 바라는 분야는 중학생은 학습지도 영역에, 고등학생은 진로지도 영역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둘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급경영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은 소풍, 체육대회, 수련회 등의 단체 활동에 교사가 함께 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고등학생은 면학 분위기 조성에 관심을 가져 주기를 기대하였다.
셋째, 학급 담임교사의 학습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차이는 별로 없었고, 학습평가 실시 후 성적에 대하여 중학생은 아무 말 없이 그냥 지나가기를 기대하고 고등학생은 성적의 향상과 저하에 관계없이 개별 상담을 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넷째, 학급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학급 담임교사가 기본생활습관을 지도해 주기를 기대하였고, 학생들이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였을 때는 담임교사가 누가기록을 하여 지나치면 적절한 벌을 주기로 기대하였다. 또 생활지도 시 학부모와 연계지도가 필요할 때는 문제의 정도에 따라 심각한 경우에는 부모에게 알리고 부모님과의 상담은 전화로 하기를 기대하는 등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전체적인 경향과 유사한 인식을 보였을 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학급 담임교사의 진로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학생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정보를 제공해 준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수시로 진로 정보를 제공해 주고 문제 해결을 위해 서로 노력한다에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To obtain this research goal, the current study compared roles of teachers exp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ollowing domains: 1) expected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2) expected classroom management policy 3) instructional method, 4) teachers’ classroom behavioral managemen...
To obtain this research goal, the current study compared roles of teachers exp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ollowing domains: 1) expected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2) expected classroom management policy 3) instructional method, 4) teachers’ classroom behavioral management strategies, and 5) vocational and career guidanc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1) Students in high school expected their classroom teachers to focus on vocational guidance but students in middle school on learning guidance.
2) The students expected thei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such as field trips, sport festivals, and retreats in middle school and to focus on creating classroom climate conducive for learning in hight school.
3)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study strategies and healthy study postur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help students enhance achievement by providing individual consultation with students, after tests, regardless of increase or decline of grades.
4) The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advise them on their daily habits, provide reasonable punishment after accumulated recording of undesirable behaviors over time, and inform parents and work with them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do so.
5) High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eachers provided vocational and career guidance frequently and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together.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eachers provided information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them.
To obtain this research goal, the current study compared roles of teachers expect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ollowing domains: 1) expected teac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2) expected classroom management policy 3) instructional method, 4) teachers’ classroom behavioral management strategies, and 5) vocational and career guidanc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1) Students in high school expected their classroom teachers to focus on vocational guidance but students in middle school on learning guidance.
2) The students expected their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such as field trips, sport festivals, and retreats in middle school and to focus on creating classroom climate conducive for learning in hight school.
3)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pay more attention to study strategies and healthy study postur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help students enhance achievement by providing individual consultation with students, after tests, regardless of increase or decline of grades.
4) The students expected teachers to advise them on their daily habits, provide reasonable punishment after accumulated recording of undesirable behaviors over time, and inform parents and work with them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do so.
5) High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eachers provided vocational and career guidance frequently and mad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together.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students thought that teachers provided information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 about the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