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최근 일차 진료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상부 위장관 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가운데 상부위장관 질환과 그의 원인, 특히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단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질환과 상부위장관 증상 호소, 생활습관(음주, 흡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 21일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종합검진을 위해 광명성애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위내시경검사를 실시한 사람 중 설문조사에 응한 408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들이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보다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고, 남자에서는 주로 호소한 증상으로 식후 더부룩함, 소화불량, 공복시 통증 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는 식후 더부룩함, 공복시 통증, 소화불량 순으로 많이 관찰되었고 식후 더부룩함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많았다. 위내시경을 통한 상부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은 남성은 역류성 ...
연구배경 : 최근 일차 진료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상부 위장관 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가운데 상부위장관 질환과 그의 원인, 특히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단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질환과 상부위장관 증상 호소, 생활습관(음주, 흡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 21일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종합검진을 위해 광명성애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위내시경검사를 실시한 사람 중 설문조사에 응한 408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들이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보다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고, 남자에서는 주로 호소한 증상으로 식후 더부룩함, 소화불량, 공복시 통증 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는 식후 더부룩함, 공복시 통증, 소화불량 순으로 많이 관찰되었고 식후 더부룩함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많았다. 위내시경을 통한 상부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은 남성은 역류성 식도염, 만성 표재성 위염 , 미란성 위염 순으로 높았고, 여자는 만성 표재성 위염, 역류성 식도염, 미란성 위염과 만성 위축성 위염 순이었다. 상부위장관 질환과 위장관 증상 호소와의 연관성은 미란성 위염에서만 찾아 볼 수 있었고, 그 외의 질환에서는 증상 호소와 연관성이 없었다. 남성에서 십이지장 궤양은 비흡연군에 비해 과거흡연군는 비차비가 5.46 (95% CI: 1.10-27.05)이었고, 흡연군는 5.61 (95% CI: 1.15-27.36)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남성에서 만성 표재성 위염은 음주군에서 비차비가 2.18 (95% CI: 1.03-4.61)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위내시경을 통해 진단된 상부 위장관 질환은 증상 호소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습관 중 흡연은 남자에서 십이지장 궤양 유병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는 남성에서 만성 표재성 위염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배경 : 최근 일차 진료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상부 위장관 질환이 우리나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가운데 상부위장관 질환과 그의 원인, 특히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단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상부위장관 질환과 상부위장관 증상 호소, 생활습관(음주, 흡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 21일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종합검진을 위해 광명성애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여 위내시경검사를 실시한 사람 중 설문조사에 응한 408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들이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보다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고, 남자에서는 주로 호소한 증상으로 식후 더부룩함, 소화불량, 공복시 통증 순으로 많았고, 여자에서는 식후 더부룩함, 공복시 통증, 소화불량 순으로 많이 관찰되었고 식후 더부룩함은 남녀 모두에서 가장 많았다. 위내시경을 통한 상부위장관 질환의 유병률은 남성은 역류성 식도염, 만성 표재성 위염 , 미란성 위염 순으로 높았고, 여자는 만성 표재성 위염, 역류성 식도염, 미란성 위염과 만성 위축성 위염 순이었다. 상부위장관 질환과 위장관 증상 호소와의 연관성은 미란성 위염에서만 찾아 볼 수 있었고, 그 외의 질환에서는 증상 호소와 연관성이 없었다. 남성에서 십이지장 궤양은 비흡연군에 비해 과거흡연군는 비차비가 5.46 (95% CI: 1.10-27.05)이었고, 흡연군는 5.61 (95% CI: 1.15-27.36)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 남성에서 만성 표재성 위염은 음주군에서 비차비가 2.18 (95% CI: 1.03-4.61)로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위내시경을 통해 진단된 상부 위장관 질환은 증상 호소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습관 중 흡연은 남자에서 십이지장 궤양 유병과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는 남성에서 만성 표재성 위염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Mos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d use of EGD (esophagegastroduodenoscopy) for primary care among family physicians. In Korea,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re affected frequently, so many studies deal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especially relationships with risk factors,...
Background: Mos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d use of EGD (esophagegastroduodenoscopy) for primary care among family physicians. In Korea,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re affected frequently, so many studies deal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especially relationships with risk factors, but only studies with life style are relatively fewer.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know the effect of life style on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diagnosed by gastrofibroscope. Metho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408 people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Gwangmyeong Seongae Hospital in Gyeonggi-do from Jan. 21, 2008 to Apr. 30, 2008. All subjects were examined by gastrofibroscopy and surveyed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family history and life style. Result: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upper gastrointestional(UGI) symptom was postprandial fullness and followed by dyspepsia, hunger pain, epigastric soreness, nausea and postprandial pain. The most common UGI disease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was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and followed by reflux esophagitis, erosive gastritis, chronic atropic gastriti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diseases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except erosive gastritis. After adjustment for age, drinking status, and family history, the OR for duodenal ulcer in men, comparing the ex-smoker and smoker with the non-smoker, was 5.46 (95% CI: 1.10-27.05) and 5.61 (95% CI: 1.15-27.36)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age, smoking status and family history, the OR for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in men, comparing the drinker with non-drinker, was 2.18 (95% CI: 1.03-4.61). Conclusion: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disease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In men, duodenal ulcer was correlated with somking history and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was associated with drinking status.
Background: Mos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d use of EGD (esophagegastroduodenoscopy) for primary care among family physicians. In Korea,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re affected frequently, so many studies deal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especially relationships with risk factors, but only studies with life style are relatively fewer. Therefore, we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know the effect of life style on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diagnosed by gastrofibroscope. Metho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e 408 people who visited outpatient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Gwangmyeong Seongae Hospital in Gyeonggi-do from Jan. 21, 2008 to Apr. 30, 2008. All subjects were examined by gastrofibroscopy and surveyed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family history and life style. Result: In this study, the most common upper gastrointestional(UGI) symptom was postprandial fullness and followed by dyspepsia, hunger pain, epigastric soreness, nausea and postprandial pain. The most common UGI disease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was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and followed by reflux esophagitis, erosive gastritis, chronic atropic gastriti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diseases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except erosive gastritis. After adjustment for age, drinking status, and family history, the OR for duodenal ulcer in men, comparing the ex-smoker and smoker with the non-smoker, was 5.46 (95% CI: 1.10-27.05) and 5.61 (95% CI: 1.15-27.36)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age, smoking status and family history, the OR for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in men, comparing the drinker with non-drinker, was 2.18 (95% CI: 1.03-4.61). Conclusion: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disease diagnosed by endoscopic examination. In men, duodenal ulcer was correlated with somking history and chronic superficial gastritis was associated with drinking statu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