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시대 신문 편집디자인의 변화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신문의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변천과정과 지면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신문의 변화를 분석했으며,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신문의 지면에 반영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무엇인가를 조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일간지인 경향신문과 지역일간지로는 경기일보의 10년 치 신문을 대상으로 1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중앙에 위치한 전국지와 지방의 일간지를 ...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 신문 편집디자인의 변화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신문의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변천과정과 지면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신문의 변화를 분석했으며,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신문의 지면에 반영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무엇인가를 조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일간지인 경향신문과 지역일간지로는 경기일보의 10년 치 신문을 대상으로 1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중앙에 위치한 전국지와 지방의 일간지를 비교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신문의 지면에 나타난 변화가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대변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7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신문 1면의 디자인 요소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1. 신문 1면의 사진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2. 신문 1면의 그래프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3. 신문 1면의 표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4. 신문 1면의 일러스트레이션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신문 1면의 텍스트 요소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1. 신문 1면의 헤드라인은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2. 신문 1면의 기사 수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신문의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지면의 분석은 디자인적 요소와 텍스트 요소로 나누어서 지면 변화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두 신문사에서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조명해 보았다. 먼저, 두 신문사에서 비교되는 상이한 점에 대한 결과이다. 디자인적 요소에서는 사진의 게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기일보가 기사와는 별개인 단독사진의 비율을 높이는 반면 경향신문은 기사와 관련된 사진에서 높은 게재률을 보인다. 또한 텍스트 요소에서는 헤드라인과 점프기사 비율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헤드라인의 크기는 경기일보가 경향신문에 비해 6㎠(0.7%) 더 크게 싣고 있어 머릿기사 제목의 사용은 지방신문이 큰 제목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향신문에서는 점프기사 비율이 54%로 1면 기사의 반 이상이 점프되었고 이에 비해 경기일보는 24%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총 지면의 수(경향신문: 48면, 경기일보: 20면)에 따른 영향이 있을 것이며, 경향신문에서 심층보도를 많이 한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두 신문사에서 갖고 있는 공통점에 대한 결과이다. 기사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그래프와 표의 게재에서 위치(좌측상단)와 크기(100㎠미만) 등이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시각물의 용도가 선거여론조사, 국민의식조사 등과 같이 자사의 특종보도나 고유한 기사에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경향신문과 경기일보의 연도별 변화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분석 시기의 초반에 지면을 차지하고 있던 작은 시각물들을 1998 후반을 지점으로 정리하여 지면의 단순화를 시도한 공통점이 있었다. 2001년에는 평균 7∼8개이던 기사의 게재량을 4∼5개로 줄이고, 2002년과 2005년을 지점으로 두 신문사는 1∼2년의 격차를 두고 ‘지면유형 2’와 ‘지면유형 3’을 선보였다. 마지막으로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다음의 4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주요사진을 계절이나 풍경 등 단독으로 싣는 경기일보는 지방문화의 정서적인 면을 부각시킨 것으로 보이며, 머릿기사와 관련된 내용의 사진을 게재하는 경향신문에서는 기사 보완의 용도에 충실한 것으로 해석된다. 매사에 영역별로 뚜렷하게 구분을 하는 것이 도시문화의 특성(최효선, 2001)이라면 보도의 이슈와 정서를 혼합하지 않는 경향신문은 도시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미지 보완의 성향은 경향신문에서 초반에 강하게 나타났으나 점차 시각물의 수를 줄여나가는 것이 지면에서 나타났다. 또한 도시의 정리되고 일관성 있는 사회 현상(김민수, 1997)은 경향신문에서 높게 나타난 지면인덱스가 방증하고 있다. 세 번째, 사회 변화의 표출은 지면에서 나타난 박스기사의 돌출 효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네 번째,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또 다른 요인은 인터넷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이는 지면의 편집디자인이 디지털 화면의 모습으로 독자에게 친근함을 주려는 결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신문의 지면은 디지털 시대에 부응한 인터넷 매체와 영상미디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신문의 지면에서 제공되는 시각적인 정보들의 배치를 디지털화하여 독자들의 구미를 맞추기 위해서는 단순하고 간편하면서도 총체적으로 전달되는 게슈탈트 심리학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나타나는 단순성의 개념과 독서중력이론의 효과적인 지면 배치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효과적인 지면 개선을 위한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 1면의 편집디자인을 살펴보고 디지털시대에 맞는 편집디자인의 기초적인 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틀은 앞으로 신문이 고려해야 할 지면의 개선 방안과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며,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편집디자인의 기본 골격은 보기 좋고, 읽기 쉬운 편집의 실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신문만을 표집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1면은 지면 전체에 대한 변화 경향을 담아내기 어려웠다는 점과 10년이라는 표집 기간은 변화에 대한 정확한 시점과 원인을 밝히는데 있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또한 지면의 분석 결과에서 독자의 영향으로 파악된 부분이 과연 독자들도 그렇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렵다는 연구의 한계를 갖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시대 신문 편집디자인의 변화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신문의 편집디자인(editorial design) 변천과정과 지면의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신문의 변화를 분석했으며,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신문의 지면에 반영되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무엇인가를 조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전국일간지인 경향신문과 지역일간지로는 경기일보의 10년 치 신문을 대상으로 1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중앙에 위치한 전국지와 지방의 일간지를 비교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신문의 지면에 나타난 변화가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대변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음과 같이 7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신문 1면의 디자인 요소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1. 신문 1면의 사진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2. 신문 1면의 그래프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3. 신문 1면의 표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1-4. 신문 1면의 일러스트레이션 배치는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신문 1면의 텍스트 요소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1. 신문 1면의 헤드라인은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2. 신문 1면의 기사 수는 지면 배치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신문의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지면의 분석은 디자인적 요소와 텍스트 요소로 나누어서 지면 변화에 대한 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두 신문사에서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을 조명해 보았다. 먼저, 두 신문사에서 비교되는 상이한 점에 대한 결과이다. 디자인적 요소에서는 사진의 게재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기일보가 기사와는 별개인 단독사진의 비율을 높이는 반면 경향신문은 기사와 관련된 사진에서 높은 게재률을 보인다. 또한 텍스트 요소에서는 헤드라인과 점프기사 비율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헤드라인의 크기는 경기일보가 경향신문에 비해 6㎠(0.7%) 더 크게 싣고 있어 머릿기사 제목의 사용은 지방신문이 큰 제목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향신문에서는 점프기사 비율이 54%로 1면 기사의 반 이상이 점프되었고 이에 비해 경기일보는 24%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총 지면의 수(경향신문: 48면, 경기일보: 20면)에 따른 영향이 있을 것이며, 경향신문에서 심층보도를 많이 한 것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두 신문사에서 갖고 있는 공통점에 대한 결과이다. 기사의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그래프와 표의 게재에서 위치(좌측상단)와 크기(100㎠미만) 등이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시각물의 용도가 선거여론조사, 국민의식조사 등과 같이 자사의 특종보도나 고유한 기사에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경향신문과 경기일보의 연도별 변화의 추이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분석 시기의 초반에 지면을 차지하고 있던 작은 시각물들을 1998 후반을 지점으로 정리하여 지면의 단순화를 시도한 공통점이 있었다. 2001년에는 평균 7∼8개이던 기사의 게재량을 4∼5개로 줄이고, 2002년과 2005년을 지점으로 두 신문사는 1∼2년의 격차를 두고 ‘지면유형 2’와 ‘지면유형 3’을 선보였다. 마지막으로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요인은 다음의 4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 주요사진을 계절이나 풍경 등 단독으로 싣는 경기일보는 지방문화의 정서적인 면을 부각시킨 것으로 보이며, 머릿기사와 관련된 내용의 사진을 게재하는 경향신문에서는 기사 보완의 용도에 충실한 것으로 해석된다. 매사에 영역별로 뚜렷하게 구분을 하는 것이 도시문화의 특성(최효선, 2001)이라면 보도의 이슈와 정서를 혼합하지 않는 경향신문은 도시의 문화를 대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미지 보완의 성향은 경향신문에서 초반에 강하게 나타났으나 점차 시각물의 수를 줄여나가는 것이 지면에서 나타났다. 또한 도시의 정리되고 일관성 있는 사회 현상(김민수, 1997)은 경향신문에서 높게 나타난 지면인덱스가 방증하고 있다. 세 번째, 사회 변화의 표출은 지면에서 나타난 박스기사의 돌출 효과에서 찾아볼 수 있었으며 네 번째, 편집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인 또 다른 요인은 인터넷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이는 지면의 편집디자인이 디지털 화면의 모습으로 독자에게 친근함을 주려는 결과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신문의 지면은 디지털 시대에 부응한 인터넷 매체와 영상미디어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신문의 지면에서 제공되는 시각적인 정보들의 배치를 디지털화하여 독자들의 구미를 맞추기 위해서는 단순하고 간편하면서도 총체적으로 전달되는 게슈탈트 심리학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나타나는 단순성의 개념과 독서중력이론의 효과적인 지면 배치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효과적인 지면 개선을 위한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 1면의 편집디자인을 살펴보고 디지털시대에 맞는 편집디자인의 기초적인 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틀은 앞으로 신문이 고려해야 할 지면의 개선 방안과 지향해야 할 점에 대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며,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편집디자인의 기본 골격은 보기 좋고, 읽기 쉬운 편집의 실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신문만을 표집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1면은 지면 전체에 대한 변화 경향을 담아내기 어려웠다는 점과 10년이라는 표집 기간은 변화에 대한 정확한 시점과 원인을 밝히는데 있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을 인정한다. 또한 지면의 분석 결과에서 독자의 영향으로 파악된 부분이 과연 독자들도 그렇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렵다는 연구의 한계를 갖고 있다.
The study is an actual proof analysis of the change in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at the digital age. In accordance with this aim of the study, the changes of newspaper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editorial design and the constituents of newspaper in Korean newspape...
The study is an actual proof analysis of the change in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at the digital age. In accordance with this aim of the study, the changes of newspaper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editorial design and the constituents of newspaper in Korean newspapers, and on the basis of these data of analysis,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reflected in the newspaper were illuminated. For the conduct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1stpage of such newspapers as Kyunghyang News Daily as a representative of nationally circulated newspapers and Kyunggi News Daily as a representative of regional news papers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of 10 years.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nationally-circulated newspaper located on the center of Korea and regional one were based on the estimation that the change reflected on the paper would represent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In such context, the 7 study topics following were established. Study topic 1. How has the design factors of the front page in newspaper been changed in the layout? Topic 1-1.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layout of the photos in the front page? Topic 1-2. How has the layout of the graphs in the front page been affected? Topic 1-3. What changes have been shown in the layout of the tables on the front page? Topic 1-4. How has the layout of the illustrations been changed in the front page? Study topic 2. How has the text factors of the first page been changed in the layout? Topic 2-1. What changes have the headlines of the front page made to the layout? Topic 2-2. How has the number of the articles in the first pages affected the layout? Study topic 3. What are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the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The analysis of the newspaper was divided into the design factors and text factors to find the transition to the change of the newspaper layou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differences and some similarities in common between the 2 newspapers were found, so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editorial designs, based on thi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t is abou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compared between the 2 newspapers. In the design factors, a clear contrast could be found in the insertion of photos. While there was some high proportion of single photos not related to the articles in Kyunggi News Daily, there was a high rate of inserting the photos directly related to the articles. In addition, in the text factors, there was some difference found at the rate of the headlines and jump articles being carried. The size of the headlines in the Kyunggi News Daily was 6㎠(0.7%) larger than that of Kyunghyang News Daily, showing that a regional newspaper preferred to use a bigger headlines in the titles of headline articles. In the jump articles, the proportion in Kyunghyang News Daily was found to be 54%, occupying more than half of the total articles, while the proportion in Kyunggi News Daily was nothing more than 24%. Such things like thes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derstanding that they could be affected by the total pages of each newspaper (Kyunghyang News Daily: 48 pages, Kyunggi News Daily: 20 pages) and Kyunghyang might concentrate on in-depth reporting. For the next things to be discussed, it is about the result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2 newspapers. It was found out in the examination that the graphs and tables used for auxiliary means to the articles in the 2 newspapers were similar in the location (upper part from the left-hand side) and size (less than 100㎠), and the 2 newspapers also showed no difference in the point that the visual aid means were mainly used for an exclusive big news or the articles exclusive to its own newspaper like the survey of public opinions on elections or poll survey of the public awareness. In the results of the trends of the change in Kyunghyang News Daily and Kyunggi News Daily by the year,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in which the newspapers had tried to simplify the pages by phasing out small size visual graphics occupying some portion of the page at the around late period of 1998. Both newspapers reduced the number of the articles printed from average 7 to 8 items to 4 to 5, and introduced new type of paper layouts, such as, ‘the type 2 of paper2’ and ‘ the type 3 of paper ’ in the different time interval of 1 or 2 years from the year 2002 and 2005 respectively. For the lastly,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editorial design were divided into the 4 categories as follows. Firstly, it seems that Kyunggi News Daily wanted to emphasize the sentiments and feelings of regional cultures by printing the major landscape photos by the season or month separately, and Kyunghyang News Daily inserted the only photos directly related to the headline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newspaper made a great effort for use of the photos to supplements the articles carried. If we say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cultures (quoted from Mr. Choi Hyo Sun, 2001) is to make a clear division in everything by the area, Kyunghyang Newspaper appeared to have represented the general city cultures. Secondly, the tendency for the complement of articles by images was strongly shown in Kyunghyang News Daily at the beginning, but the newspaper was found to have gradually reduced the number of visual graphics in the paper. In addition, Kyunghyang News Daily showed the tendency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city (quoted from Kim Min Soo), which was well arranged and consistent, and its high index of paper supported the assumption. Thirdly, the expressions of the social changes could be found in the prominence effect of the box articles written on the paper. And fourthly, as another social and cultural factor influencing the editorial design, the influence of Internet could be counted in.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that the editorial design of the newspaper was aimed to show its friendliness to the readers in digital images. As the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ages of newspaper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media and image media responding to the digital age. Therefore, to fit the tastes of the readers by digitalizing the layout of the visual information carried in the paper,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theory of Gestalt psychology, which may be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and capable of delivering information in totality. In my opinion, the concept of the simplicity expressed in Gestalt psychology and the effective layout of the paper by the theory of reading gravity could be a good method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newspaper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media. In the study, the editorial design of the front page was intended to examine and establish the basic frames of editorial design. Such tools will become the infrastructures for the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methods of newspaper and directions, which newspaper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and the basic frames produc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play a useful role in the editorial work of newspaper, which can be found to be good to look and easy to read. In the study, it should be admitted that the front pages of the 2 newspapers analyzed in the study was not enough to cover the change trends of the entire pages, and the 10 years of the sampling period was too short to specify the exact time and reasons for the changes. Beside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age, it has some limits to the stu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analyze accurately whether the readers of the newspapers will really agree to the part of the study ascribed to the influence of the readers.
The study is an actual proof analysis of the change in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at the digital age. In accordance with this aim of the study, the changes of newspapers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editorial design and the constituents of newspaper in Korean newspapers, and on the basis of these data of analysis,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reflected in the newspaper were illuminated. For the conduct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1stpage of such newspapers as Kyunghyang News Daily as a representative of nationally circulated newspapers and Kyunggi News Daily as a representative of regional news papers were analyzed for the period of 10 years.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nationally-circulated newspaper located on the center of Korea and regional one were based on the estimation that the change reflected on the paper would represent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In such context, the 7 study topics following were established. Study topic 1. How has the design factors of the front page in newspaper been changed in the layout? Topic 1-1.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layout of the photos in the front page? Topic 1-2. How has the layout of the graphs in the front page been affected? Topic 1-3. What changes have been shown in the layout of the tables on the front page? Topic 1-4. How has the layout of the illustrations been changed in the front page? Study topic 2. How has the text factors of the first page been changed in the layout? Topic 2-1. What changes have the headlines of the front page made to the layout? Topic 2-2. How has the number of the articles in the first pages affected the layout? Study topic 3. What are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the editorial design of newspaper? The analysis of the newspaper was divided into the design factors and text factors to find the transition to the change of the newspaper layou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ome differences and some similarities in common between the 2 newspapers were found, so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editorial designs, based on this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t is abou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s compared between the 2 newspapers. In the design factors, a clear contrast could be found in the insertion of photos. While there was some high proportion of single photos not related to the articles in Kyunggi News Daily, there was a high rate of inserting the photos directly related to the articles. In addition, in the text factors, there was some difference found at the rate of the headlines and jump articles being carried. The size of the headlines in the Kyunggi News Daily was 6㎠(0.7%) larger than that of Kyunghyang News Daily, showing that a regional newspaper preferred to use a bigger headlines in the titles of headline articles. In the jump articles, the proportion in Kyunghyang News Daily was found to be 54%, occupying more than half of the total articles, while the proportion in Kyunggi News Daily was nothing more than 24%. Such things like thes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derstanding that they could be affected by the total pages of each newspaper (Kyunghyang News Daily: 48 pages, Kyunggi News Daily: 20 pages) and Kyunghyang might concentrate on in-depth reporting. For the next things to be discussed, it is about the results of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2 newspapers. It was found out in the examination that the graphs and tables used for auxiliary means to the articles in the 2 newspapers were similar in the location (upper part from the left-hand side) and size (less than 100㎠), and the 2 newspapers also showed no difference in the point that the visual aid means were mainly used for an exclusive big news or the articles exclusive to its own newspaper like the survey of public opinions on elections or poll survey of the public awareness. In the results of the trends of the change in Kyunghyang News Daily and Kyunggi News Daily by the year,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in which the newspapers had tried to simplify the pages by phasing out small size visual graphics occupying some portion of the page at the around late period of 1998. Both newspapers reduced the number of the articles printed from average 7 to 8 items to 4 to 5, and introduced new type of paper layouts, such as, ‘the type 2 of paper2’ and ‘ the type 3 of paper ’ in the different time interval of 1 or 2 years from the year 2002 and 2005 respectively. For the lastly,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ffecting editorial design were divided into the 4 categories as follows. Firstly, it seems that Kyunggi News Daily wanted to emphasize the sentiments and feelings of regional cultures by printing the major landscape photos by the season or month separately, and Kyunghyang News Daily inserted the only photos directly related to the headlines,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newspaper made a great effort for use of the photos to supplements the articles carried. If we say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cultures (quoted from Mr. Choi Hyo Sun, 2001) is to make a clear division in everything by the area, Kyunghyang Newspaper appeared to have represented the general city cultures. Secondly, the tendency for the complement of articles by images was strongly shown in Kyunghyang News Daily at the beginning, but the newspaper was found to have gradually reduced the number of visual graphics in the paper. In addition, Kyunghyang News Daily showed the tendency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social phenomenon of the city (quoted from Kim Min Soo), which was well arranged and consistent, and its high index of paper supported the assumption. Thirdly, the expressions of the social changes could be found in the prominence effect of the box articles written on the paper. And fourthly, as another social and cultural factor influencing the editorial design, the influence of Internet could be counted in.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that the editorial design of the newspaper was aimed to show its friendliness to the readers in digital images. As the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pages of newspapers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et media and image media responding to the digital age. Therefore, to fit the tastes of the readers by digitalizing the layout of the visual information carried in the paper,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theory of Gestalt psychology, which may be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and capable of delivering information in totality. In my opinion, the concept of the simplicity expressed in Gestalt psychology and the effective layout of the paper by the theory of reading gravity could be a good method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newspaper in the changing environment of the media. In the study, the editorial design of the front page was intended to examine and establish the basic frames of editorial design. Such tools will become the infrastructures for the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methods of newspaper and directions, which newspaper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and the basic frames produced as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o play a useful role in the editorial work of newspaper, which can be found to be good to look and easy to read. In the study, it should be admitted that the front pages of the 2 newspapers analyzed in the study was not enough to cover the change trends of the entire pages, and the 10 years of the sampling period was too short to specify the exact time and reasons for the changes. Beside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age, it has some limits to the stu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analyze accurately whether the readers of the newspapers will really agree to the part of the study ascribed to the influence of the read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