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국제교역 화물의 대부분은 항만을 통하여 수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항만 시설 능력을 초과한 과잉수요로 선박 체선 및 항만 적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국제교역에 있어서 직·간접적인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항만에서 선박 체선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는 선사와 화주 이지만 이러한 항만의 체선은 항만당국 및 국가의 경제적 손실로 연결되는 국제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체선현상에 대하여 화주, 선사 및 항만당국 등이 상호간의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윈-윈(win-win)전략으로서 체선 ...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국제교역 화물의 대부분은 항만을 통하여 수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항만 시설 능력을 초과한 과잉수요로 선박 체선 및 항만 적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국제교역에 있어서 직·간접적인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항만에서 선박 체선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는 선사와 화주 이지만 이러한 항만의 체선은 항만당국 및 국가의 경제적 손실로 연결되는 국제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체선현상에 대하여 화주, 선사 및 항만당국 등이 상호간의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윈-윈(win-win)전략으로서 체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체선현상에 대한 원인과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체선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우리나라 모든 항만을 대상으로 수집된 벌크선 입출항 정보를 바탕으로 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여 체선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체선 발생의 요인은 선박의 적재능력, 화물의 종류, 항만의 지리적인 입지조건, 항만의 물동량, 하역능력이나 장비능력, 하역인부의 기술(Skill), 배후부지의 활성화 및 교통망의 효율성 등으로 많은 요인(Factor)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항만의 특성과 입지에 따른 체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박의 크기, 선박의 입항시기, 항만의 접안능력은 통계적으로 체선의 차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박의 체선과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조건은 당시 입항선박에 미치는 항만의 환경이나 운영조건이 주요한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체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기적인 방안과 장기적인 방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단기적인 방안은 체선 완화를 위한 선사와 화주가 지속적인 선박일정관리 등의 운영프로세스를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며, 장기적인 방안은 항만투자와 이에 관련된 배후산업 기능 확대 및 운송연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 져야 하며, 항만 체선을 완화하기 위해 항만당국 또는 정부가 지속적인 관련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국제교역 화물의 대부분은 항만을 통하여 수출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항만 시설 능력을 초과한 과잉수요로 선박 체선 및 항만 적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국제교역에 있어서 직·간접적인 심각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항만에서 선박 체선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당사자는 선사와 화주 이지만 이러한 항만의 체선은 항만당국 및 국가의 경제적 손실로 연결되는 국제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체선현상에 대하여 화주, 선사 및 항만당국 등이 상호간의 인식을 공유하고 상호 윈-윈(win-win)전략으로서 체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체선현상에 대한 원인과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체선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우리나라 모든 항만을 대상으로 수집된 벌크선 입출항 정보를 바탕으로 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여 체선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체선 발생의 요인은 선박의 적재능력, 화물의 종류, 항만의 지리적인 입지조건, 항만의 물동량, 하역능력이나 장비능력, 하역인부의 기술(Skill), 배후부지의 활성화 및 교통망의 효율성 등으로 많은 요인(Factor)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항만의 특성과 입지에 따른 체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박의 크기, 선박의 입항시기, 항만의 접안능력은 통계적으로 체선의 차이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박의 체선과 밀접한 영향을 끼치는 조건은 당시 입항선박에 미치는 항만의 환경이나 운영조건이 주요한 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체선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기적인 방안과 장기적인 방안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단기적인 방안은 체선 완화를 위한 선사와 화주가 지속적인 선박일정관리 등의 운영프로세스를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며, 장기적인 방안은 항만투자와 이에 관련된 배후산업 기능 확대 및 운송연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 져야 하며, 항만 체선을 완화하기 위해 항만당국 또는 정부가 지속적인 관련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In Korea market highly dependant on foreign trade, the most of goods for international trade is transported by seaport. However, the ship demurrage and the port congestion is brought out by surplus demand of harbor capacity in Korean ports. These situations result in serious problem in inbound and o...
In Korea market highly dependant on foreign trade, the most of goods for international trade is transported by seaport. However, the ship demurrage and the port congestion is brought out by surplus demand of harbor capacity in Korean ports. These situations result in serious problem in inbound and outbound trade whether direct or indirect. Shippers and shipowners or charterers must assume loss by vessel demurrage in port at firsthand but the port congestion is also the national issue because it can have a bad effect on port authorities or government's economical benefit. So it's time to discuss with all concerned parties and have to prepare the best solution of this congestion as win-wi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optimized management process regarding the vessel congestion and demurrage circumstance by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 of port congestion and find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ort congestion. The 5 assumptions of this thesis is set up by raw data of the berthing records of bulk ships during 2006~2007 years and empirical study is undertaken by statistical analysis, especially T-test, mutual relation, independence sample test, and individual interview of the specialist group of marine business. Factors influencing the ship demurrage are the ship's dead weight tonnage, the type of cargo,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port location, the traffic and cargo volume of individual ports, the capacity of cargo handling or equipment, the skill of longshoreman, the revitalization of hinterland or back yard, and the efficiency of domestic transportation network. And all of these factors have a synthetical effect on the vessel demurrage and port congestion. By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thesis,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regarding the port operation character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How- ever, there is no significant meaning regarding the ship's dead weight tonnage, the vessel arrival period of ten days per each month, and the berthing capacity of individual ports. It is deduced that the primary factor on the ship demurrage is harbor condition or vessel operation management on the vessel arrival time.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more clearly, short term and long term view's solutions must be prepared together. In short term, there must b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process by both shippers and shipowners or charterers in shipping schedule and vessel movement and laytime. Also in long term, there must be port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hinterland of ports and effective combination of transport modes by port authority or government. Moreover port authority or government have to establish a continuous national policy on port investment to prevent the port congestion.
In Korea market highly dependant on foreign trade, the most of goods for international trade is transported by seaport. However, the ship demurrage and the port congestion is brought out by surplus demand of harbor capacity in Korean ports. These situations result in serious problem in inbound and outbound trade whether direct or indirect. Shippers and shipowners or charterers must assume loss by vessel demurrage in port at firsthand but the port congestion is also the national issue because it can have a bad effect on port authorities or government's economical benefit. So it's time to discuss with all concerned parties and have to prepare the best solution of this congestion as win-wi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e optimized management process regarding the vessel congestion and demurrage circumstance by understanding current situation of port congestion and find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ort congestion. The 5 assumptions of this thesis is set up by raw data of the berthing records of bulk ships during 2006~2007 years and empirical study is undertaken by statistical analysis, especially T-test, mutual relation, independence sample test, and individual interview of the specialist group of marine business. Factors influencing the ship demurrage are the ship's dead weight tonnage, the type of cargo, the geographical condition of port location, the traffic and cargo volume of individual ports, the capacity of cargo handling or equipment, the skill of longshoreman, the revitalization of hinterland or back yard, and the efficiency of domestic transportation network. And all of these factors have a synthetical effect on the vessel demurrage and port congestion. By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thesis, there is a significant meaning regarding the port operation character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How- ever, there is no significant meaning regarding the ship's dead weight tonnage, the vessel arrival period of ten days per each month, and the berthing capacity of individual ports. It is deduced that the primary factor on the ship demurrage is harbor condition or vessel operation management on the vessel arrival time.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more clearly, short term and long term view's solutions must be prepared together. In short term, there must b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process by both shippers and shipowners or charterers in shipping schedule and vessel movement and laytime. Also in long term, there must be port investment and development of hinterland of ports and effective combination of transport modes by port authority or government. Moreover port authority or government have to establish a continuous national policy on port investment to prevent the port conges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