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단기, 중기, 장기예보 등 예측기간별 수치 및 통계 강우예보자료는 슈퍼컴퓨터의 도입과 기상분야의 지속적인 연구로 정확도가 향상 되었다.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생활 기상예보는 3시간 및 6시간예보, 단기예보, 주간예보, 계절예보, 1개월 및 6개월 장기예보 등이 주기별로 생산되어 일상생활에서 매우 귀중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상예보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지적 ...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단기, 중기, 장기예보 등 예측기간별 수치 및 통계 강우예보자료는 슈퍼컴퓨터의 도입과 기상분야의 지속적인 연구로 정확도가 향상 되었다.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생활 기상예보는 3시간 및 6시간예보, 단기예보, 주간예보, 계절예보, 1개월 및 6개월 장기예보 등이 주기별로 생산되어 일상생활에서 매우 귀중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상예보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홍수예측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홍수유출을 계산하는데,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실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풍수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예측유량의 선행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확한 기상예보를 활용한 기상-수자원 연계기법을 개발하여 홍수예경보 시스템에 적용한다면 악기상 감시예측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방재차원에서 매우 유용한 대책이 될 뿐만 아니라 그 활용성을 극대화 시킨다면 수자원 분야의 치수기 홍수예측과 이수기 댐 운영계획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선진국에서는 기상-수자원 연계기술을 이용한 수문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미래에 발생할 유출량 및 댐유입량 예측을 단기, 중기 및 장기에 걸쳐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실정은 기상 및 수자원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실무 및 연구 분야에 종사하고 있어 이들 연계기술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의 수자원 연계기법을 개발하고, 개발 기법을 한강수계의 주요 댐 지점들에 적용하여 기상정보의 수자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상청의 단기 수치예보자료인 RDAPS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댐 지점별로 정량적인 강수를 산정한 후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강수산정 결과를 단기 강우-유출모형과 연계하여 댐 유입량을 예측을 할 수 있는 기상-수자원 연계모델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상-수자원 연계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연구로서 수자원 전문가 입장에서 기상 수치자료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자원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국내 기상청에서 제공되는 단기, 중기, 장기예보 등 예측기간별 수치 및 통계 강우예보자료는 슈퍼컴퓨터의 도입과 기상분야의 지속적인 연구로 정확도가 향상 되었다.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생활 기상예보는 3시간 및 6시간예보, 단기예보, 주간예보, 계절예보, 1개월 및 6개월 장기예보 등이 주기별로 생산되어 일상생활에서 매우 귀중한 정보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상예보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지적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홍수예측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홍수유출을 계산하는데,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실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풍수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예측유량의 선행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정확한 기상예보를 활용한 기상-수자원 연계기법을 개발하여 홍수예경보 시스템에 적용한다면 악기상 감시예측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방재차원에서 매우 유용한 대책이 될 뿐만 아니라 그 활용성을 극대화 시킨다면 수자원 분야의 치수기 홍수예측과 이수기 댐 운영계획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선진국에서는 기상-수자원 연계기술을 이용한 수문분석 시스템을 개발하여 미래에 발생할 유출량 및 댐유입량 예측을 단기, 중기 및 장기에 걸쳐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실정은 기상 및 수자원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실무 및 연구 분야에 종사하고 있어 이들 연계기술 개발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의 수자원 연계기법을 개발하고, 개발 기법을 한강수계의 주요 댐 지점들에 적용하여 기상정보의 수자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상청의 단기 수치예보자료인 RDAPS 강수자료를 이용하여 댐 지점별로 정량적인 강수를 산정한 후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강수산정 결과를 단기 강우-유출모형과 연계하여 댐 유입량을 예측을 할 수 있는 기상-수자원 연계모델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상-수자원 연계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연구로서 수자원 전문가 입장에서 기상 수치자료의 특성을 분석하고 수자원 분야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is used to prevent from flood disasters by using the method of estimating stream flows and dam inflows at several important locations on a large basin. The system requires real-time observation data. However, under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a severe storm, there is ...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is used to prevent from flood disasters by using the method of estimating stream flows and dam inflows at several important locations on a large basin. The system requires real-time observation data. However, under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a severe storm, there is not enough time to use the observation data for the forecasting system. If the coupled meteorology-hydrology techniques are invented by using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is applied for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it will be very useful for preventing from the flood disasters. For this reason, the developed countries are predicting the river flows and dam inflows which are going to happen in the future over the short-term, middle-term, and long-term by using the coupled system. The short-term and long-ter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NWP) data are routinely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nd those data themselves are not sufficient for dam operation appli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uple the NWP with dam inflow simulation model and dam operation model and to provide the applicability of the coupled system in real-time. The weather forecast data with 48 hours leading time are created twice a day with spatial resolution of 30km x 30 km.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for watershed runoff computation and Muskingum-Cunge method for channel routing are used for dam inflow forecast. The coupled models are applied on the Han River basin which is the largest river basin in Korea. For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hydrologic model parameters,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 data within the study area are used. After analyzing the test results from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coupled models, it shows that the direct use of numerical weather forecast data for dam inflow forecast has some limitations at current status. Therefore, a real-time bias adjustment technique between observed and forecast data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method provides significant improvement to the test results. Also, the several coupling algorithms between meteorology and hydrology are proposed and a best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is extracted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odel is useful for real-time operation of the dam during the flooding season, but still requires many other tests for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s.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is used to prevent from flood disasters by using the method of estimating stream flows and dam inflows at several important locations on a large basin. The system requires real-time observation data. However, under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a severe storm, there is not enough time to use the observation data for the forecasting system. If the coupled meteorology-hydrology techniques are invented by using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is applied for the flood forecasting system, it will be very useful for preventing from the flood disasters. For this reason, the developed countries are predicting the river flows and dam inflows which are going to happen in the future over the short-term, middle-term, and long-term by using the coupled system. The short-term and long-ter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NWP) data are routinely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nd those data themselves are not sufficient for dam operation appli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uple the NWP with dam inflow simulation model and dam operation model and to provide the applicability of the coupled system in real-time. The weather forecast data with 48 hours leading time are created twice a day with spatial resolution of 30km x 30 km.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for watershed runoff computation and Muskingum-Cunge method for channel routing are used for dam inflow forecast. The coupled models are applied on the Han River basin which is the largest river basin in Korea. For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hydrologic model parameters,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 data within the study area are used. After analyzing the test results from the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and coupled models, it shows that the direct use of numerical weather forecast data for dam inflow forecast has some limitations at current status. Therefore, a real-time bias adjustment technique between observed and forecast data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method provides significant improvement to the test results. Also, the several coupling algorithms between meteorology and hydrology are proposed and a best combination of these methods is extracted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odel is useful for real-time operation of the dam during the flooding season, but still requires many other tests for the reliability of the metho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