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은 일상의 움직임이 아닌 정신적 표현의 도구로써 신체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것은 인류가 갖게 된 예술 형태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예술 형태 중에서 신체를 사용 하여 음악, 미술 등과 어우러지는 종합예술로써 표현의 접근 방법이 수많은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정신적 순화내지는 감정의 표현, 시대의 현실성 등을 예술로 표현한다면 회화와 무용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는 표현예술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예술 체험을 통해 해석하여 신체를 통하여 표현하고 하나의 무용 공연으로 창작함으로서 안무자는...
무용은 일상의 움직임이 아닌 정신적 표현의 도구로써 신체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것은 인류가 갖게 된 예술 형태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예술 형태 중에서 신체를 사용 하여 음악, 미술 등과 어우러지는 종합예술로써 표현의 접근 방법이 수많은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정신적 순화내지는 감정의 표현, 시대의 현실성 등을 예술로 표현한다면 회화와 무용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는 표현예술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예술 체험을 통해 해석하여 신체를 통하여 표현하고 하나의 무용 공연으로 창작함으로서 안무자는 많은 창작예술작품들을 만들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새로운 주제를 재창작하게 된다. 야간 통행금지가 엄격했던 조선시대에 남녀의 애절하고 순수한 사랑의 밀회를 그린 신윤복의 《월하정인(月下情人)》이라는 풍속화 작품을 소재로 하여 이룰 수 없는 비극적 사랑을 주제로 본 논자는 재창작하였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지극히 한국의 전통적인 요소에 현대적 메소드를 가미시켜 대중들이 다소 무겁게 느낄 수 있는 풍속화를 춤을 좀 더 재미있고 쉽게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이미지화 하여 무대 위에 펼쳐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월하정인(月下情人)》은 신윤복의 풍속화를 토대로 그림의 내재적 의미를 무용공연으로 형상화시켜 이미지를 전달하였으며 무대구성은 여자주역과 남자주역, 군무6명의 출연진과 여자주역의 한복의상과 남자주역의 현대적 의상과 군무의 드레스 의상, 소품으로 깃털부채와 매화꽃을 사용하였으며 조명, 음악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안무구성은 무대의 활용을 위하여 움직임의 유형을 갖추고 타원형과 원의 형식, 대각선의 구도, 사선 구도, 모임과 퍼져나감, 교차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빠른 이해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극적인 요소와 함께 표현되어졌다. 셋째, 무용과 회화(繪畫)가 원시종합체 예술로서 분화 된 것을 이해한 바 그림을 이해하는 과정은 또 다른 창작무용의 작품을 안무할 수 있는 새로운 기반을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은 그림을 이해하고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작무용 소재의 다양화를 통한 한국 춤의 발전과 동시에 여기에 내재되어있는 우리 고유의 예술 정신을 보호하고 육성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춤을 대중화 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인은 앞으로 이러한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보다 적극적인 창작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발 할 수 있는 소재를 마련하여 한국 무용의 대중화를 이루는데 노력을 가해야 할 것이다.
무용은 일상의 움직임이 아닌 정신적 표현의 도구로써 신체의 움직임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것은 인류가 갖게 된 예술 형태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만큼 예술 형태 중에서 신체를 사용 하여 음악, 미술 등과 어우러지는 종합예술로써 표현의 접근 방법이 수많은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정신적 순화내지는 감정의 표현, 시대의 현실성 등을 예술로 표현한다면 회화와 무용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는 표현예술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예술 체험을 통해 해석하여 신체를 통하여 표현하고 하나의 무용 공연으로 창작함으로서 안무자는 많은 창작예술작품들을 만들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새로운 주제를 재창작하게 된다. 야간 통행금지가 엄격했던 조선시대에 남녀의 애절하고 순수한 사랑의 밀회를 그린 신윤복의 《월하정인(月下情人)》이라는 풍속화 작품을 소재로 하여 이룰 수 없는 비극적 사랑을 주제로 본 논자는 재창작하였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지극히 한국의 전통적인 요소에 현대적 메소드를 가미시켜 대중들이 다소 무겁게 느낄 수 있는 풍속화를 춤을 좀 더 재미있고 쉽게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이미지화 하여 무대 위에 펼쳐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월하정인(月下情人)》은 신윤복의 풍속화를 토대로 그림의 내재적 의미를 무용공연으로 형상화시켜 이미지를 전달하였으며 무대구성은 여자주역과 남자주역, 군무6명의 출연진과 여자주역의 한복의상과 남자주역의 현대적 의상과 군무의 드레스 의상, 소품으로 깃털부채와 매화꽃을 사용하였으며 조명, 음악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안무구성은 무대의 활용을 위하여 움직임의 유형을 갖추고 타원형과 원의 형식, 대각선의 구도, 사선 구도, 모임과 퍼져나감, 교차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빠른 이해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극적인 요소와 함께 표현되어졌다. 셋째, 무용과 회화(繪畫)가 원시종합체 예술로서 분화 된 것을 이해한 바 그림을 이해하는 과정은 또 다른 창작무용의 작품을 안무할 수 있는 새로운 기반을 가질 수 있으며 그것은 그림을 이해하고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작무용 소재의 다양화를 통한 한국 춤의 발전과 동시에 여기에 내재되어있는 우리 고유의 예술 정신을 보호하고 육성하는데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춤을 대중화 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본인은 앞으로 이러한 과제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보다 적극적인 창작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흥미와 관심을 유발 할 수 있는 소재를 마련하여 한국 무용의 대중화를 이루는데 노력을 가해야 할 것이다.
Dance is the art of express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s the vehicle for spiritual expression, not the daily movement. It can be seen as the archetype of artistic form that the humankind has come to have. Seeing that it is a composite art harmonized with music, art and the like with the use of the...
Dance is the art of express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s the vehicle for spiritual expression, not the daily movement. It can be seen as the archetype of artistic form that the humankind has come to have. Seeing that it is a composite art harmonized with music, art and the like with the use of the body of artistic forms, the approach of its expression can have innumerable diversity. And if spiritual purification, the expression of emotion, the reality of the times and the like are expressed as art, it can be said to be one field of expressive arts that has the same context as art and dance. Accordingly, the choreographer comes to recreate a new subject with the innumerable possibilities of producing many creative artistic works by seeing, hearing, feeling and interpreting the composite art and expressing it with the body and putting it for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attempted to recreate the work of genre painting called 《The Sweetheart under the Moon(月下情人)》of Shin Yun-bok that portrayed the clandestine meeting of pathetic and pure love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Yi Dynasty when the curfew was stringent. And it sought to develop the genre painting about which common people can feel somewhat heavy by adding the contemporary method to the extremely traditional Korean element through this work so that they might approach dance in a little more interesting, easy and comfortable wa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work of dance of《The Sweetheart under the Moon(月下情人)》attempted to convey the image by adapting the inherent meaning of his painting for dance performance based on his genre painting. The performing staff was composed of one leading actor, one leading actress, and six group dancers. And it employed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for the leading actress and the contemporary costume for the leading actor, the costume for six group dancers, props such as the feather fan and the ume flower, and lighting and music. Second, the choreography had the type of movement for the use of the stage and comprised the oval and spherical shape, the diagonal composition, the oblique composition, fall-in and fall-out, crossing and the like. And it was expressed with the dramatic element to attain an effect of quick understanding. Third, it is understood that dance and painting branched into the primitive composite art. So a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inting can lay the foundation for choreographing another work of creative dance, which can produce diverse works according to the vision of understanding and seeing the painting. In conclus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for creative dance, to protect and cultivate the Korean proper artistic spirit inherent herein, futhermore to popularize traditional Korean dance. Accordingly, efforts will be made to popularize traditional Korean dance by carrying out this task in the future and preparing for the material that can induce people to take an incessant interest in it through the more energetic activity of creation.
Dance is the art of express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s the vehicle for spiritual expression, not the daily movement. It can be seen as the archetype of artistic form that the humankind has come to have. Seeing that it is a composite art harmonized with music, art and the like with the use of the body of artistic forms, the approach of its expression can have innumerable diversity. And if spiritual purification, the expression of emotion, the reality of the times and the like are expressed as art, it can be said to be one field of expressive arts that has the same context as art and dance. Accordingly, the choreographer comes to recreate a new subject with the innumerable possibilities of producing many creative artistic works by seeing, hearing, feeling and interpreting the composite art and expressing it with the body and putting it for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attempted to recreate the work of genre painting called 《The Sweetheart under the Moon(月下情人)》of Shin Yun-bok that portrayed the clandestine meeting of pathetic and pure love between man and woman in the Yi Dynasty when the curfew was stringent. And it sought to develop the genre painting about which common people can feel somewhat heavy by adding the contemporary method to the extremely traditional Korean element through this work so that they might approach dance in a little more interesting, easy and comfortable wa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the work of dance of《The Sweetheart under the Moon(月下情人)》attempted to convey the image by adapting the inherent meaning of his painting for dance performance based on his genre painting. The performing staff was composed of one leading actor, one leading actress, and six group dancers. And it employed the traditional Korean costume for the leading actress and the contemporary costume for the leading actor, the costume for six group dancers, props such as the feather fan and the ume flower, and lighting and music. Second, the choreography had the type of movement for the use of the stage and comprised the oval and spherical shape, the diagonal composition, the oblique composition, fall-in and fall-out, crossing and the like. And it was expressed with the dramatic element to attain an effect of quick understanding. Third, it is understood that dance and painting branched into the primitive composite art. So a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ainting can lay the foundation for choreographing another work of creative dance, which can produce diverse works according to the vision of understanding and seeing the painting. In conclus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for creative dance, to protect and cultivate the Korean proper artistic spirit inherent herein, futhermore to popularize traditional Korean dance. Accordingly, efforts will be made to popularize traditional Korean dance by carrying out this task in the future and preparing for the material that can induce people to take an incessant interest in it through the more energetic activity of creation.
Keyword
#창작춤 한국춤 신윤복 풍속화 월하정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