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우리는 『예기-혼의』와 『주자가례-혼례』, 『사의-정시』, 그리고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를 살펴보았다. 전통시대 유가의 혼례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기』, 『가례』, 『사의』와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의 절차를 따지고 그 의미를 비교분석하였다. 혼례에서 모든 절차는 좋은 배우자를 얻기 위한 노력이며 그 의미를 새기고 신중히 하고 서로 공경하였다.
오늘날 “유교”라고 하면 여성에게 규제와 억압을 가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예의 절차가 번거롭고 가부장적 권위를 앞세워 가문을 우선시한다고 생각한다. 또 개인이 가문의 틀에 ...
지금까지 우리는 『예기-혼의』와 『주자가례-혼례』, 『사의-정시』, 그리고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를 살펴보았다. 전통시대 유가의 혼례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기』, 『가례』, 『사의』와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의 절차를 따지고 그 의미를 비교분석하였다. 혼례에서 모든 절차는 좋은 배우자를 얻기 위한 노력이며 그 의미를 새기고 신중히 하고 서로 공경하였다.
오늘날 “유교”라고 하면 여성에게 규제와 억압을 가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예의 절차가 번거롭고 가부장적 권위를 앞세워 가문을 우선시한다고 생각한다. 또 개인이 가문의 틀에 벗어나기가 어렵고 고리타분하며 옛것의 틀에 사로잡혀 미래지향적이지는 않다고 여긴다. 여성은 남성을 보조하는 역할로만 생각하고 여성 개인의 삶을 추구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물론 유교가 조상과 가문을 중요시하고 개인은 이를 위해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본래의 의미를 살핀다면 지엽적인 부분만으로 유교의 전체라고 보아서는 안된다.
『예기』와 『가례』와 『사의』를 살펴보면서 여성을 귀하게 여겼지 결코 낮게 보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납채와 문명 그리고 청기에서 언제나 혼례의 의사와 채택의 여부는 여자 측에 달려있었다. 만약 여성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이런 절차는 한쪽의 일방적인 의사대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전안례에서 기러기를 남자가 예물로 들이는 것을 보면 기러기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 때문뿐만 아니라 여성을 존중하고 배우자로 맞이하는 예를 갖추어 그 비중을 실어 귀하게 여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가가 여성을 낮게 본다는 말은 잘못된 것이다. 조선조 후기의 한 시점에 매여서 여성의 의미를 왜곡할 것이 아니라 본래의 의미를 잘 살펴야 할 것이다. 물론 시대가 흐르면서 모습은 변화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본래의 좋은 의미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명목에만 묶여 경직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이성과의 교제가 자유롭고 혼례의 의미가 약해진 시점에서 전통 유가의 혼인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절차를 통하여 서로 공경하여 가정의 기반을 튼튼히 하고 유대관계를 긴밀히 할 필요가 있다.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형과 아우간의 가족 관계의 울타리는 사회의 기틀이 된다. 이 기틀이 바르게 된다면 사회는 바로서고 나라는 기강이 튼튼해진다. 그 바탕의 시초는 바로 혼인이기 때문에 혼인의 절차를 쉽게 행해서는 안 된다. ‘전통혼례’를 시대별로 살펴보더라도 유가의 의미를 다시 긍정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여 새롭게 모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인은 유가의 예의 근원인 『예기』를 살펴 그 본래 의미를 따져보았고 조선의 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영향력을 가했던 『주자가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 말기의 『사의』를 살펴보면 당시의 풍습과 의식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사의』는 시대의 흐름과 전통 유가를 절충하였던 모습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생각된다. 조선 말기를 거쳐 일제강점기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물밀듯이 밀려오는 서양의 문화 앞에 우리 문화는 격변기를 거쳤다. 이런 격변기를 거치면서 우리 스스로 전통 문화를 배타적 . 부정적인 의식으로 여기었다. 그리고 우리 문화보다 서양의 문화를 동경하기에 이르렀다. 혼례의 모습을 살펴보더라도 이런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결혼식장에서 예식을 주로 치루고 전통혼례를 번거롭다로 여겨 패백만을 치루는 오늘의 모습에서도 여실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전통혼례의 절차가 주는 좋은 의미를 살려 계승한다면 보다 나은 혼례문화를 만들 수 있다.
예전에는 가족과 가문을 중시하였다. 혼례가 당사자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가문의 결합이 더 중요하였다. 현대의 개인의 행복 추구의 상황에서 간편함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지나친 개인주의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유가의 가족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통시대에는 개인의 삶은 전체를 위해서 감내해야했었고 지금은 부모의 권위가 사라지고 가문의 결속력도 사라져가고 있다. 혼례에 있어서도 부모의 의사보다 당사자들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혼례는 전보다 간략해지고 사람들이 많이 올 수 있는 날로 혼례날을 택한다. 이는 의미보다는 현실의 편리함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행사위주로 혼례가 이루어지고 정작 뜻 깊은 서부모례와 초자례·초녀례와 같은 절차는 생략해버린다. 이런 절차를 생략하고 넘어가기보다는 가정에서 간단하게나마 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대가 흐르지만 부현구고의 절차는 변함없이 내려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폐백을 마치고 신부의 부모께 신랑 . 신부가 함께 절을 드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부현구고는 전통혼례의 절차에서 현묘 다음으로 행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서현부당이 점차적으로 부현구고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오늘날에 와서 시대와 맞게 변화되는 모습이다. 본인은 이런 변화하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여성의 지위가 사회적으로 인정되어 가기 때문에 신부의 부모도 절을 받는 것이다. 시대가 변하지만 그 의미를 잃지 않고 상황과 조절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오늘날 전통혼례는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현행 성균관의 전통혼례는 우리 전통이 갖는 의미를 잘 정비하고 현실에 맞게 혼례 절차를 잘 이끌어 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행 성균관의 전통 혼례가 갖고 있는 의미가 크다. 지금의 이러한 분위기를 잘 살려 전통 혼례의식의 인식을 새롭게 바꿔 시대와 맞게 계승·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예기-혼의』와 『주자가례-혼례』, 『사의-정시』, 그리고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를 살펴보았다. 전통시대 유가의 혼례가 점차적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예기』, 『가례』, 『사의』와 현행 성균관 전통혼례의 절차를 따지고 그 의미를 비교분석하였다. 혼례에서 모든 절차는 좋은 배우자를 얻기 위한 노력이며 그 의미를 새기고 신중히 하고 서로 공경하였다.
오늘날 “유교”라고 하면 여성에게 규제와 억압을 가한다고 여긴다. 그리고 예의 절차가 번거롭고 가부장적 권위를 앞세워 가문을 우선시한다고 생각한다. 또 개인이 가문의 틀에 벗어나기가 어렵고 고리타분하며 옛것의 틀에 사로잡혀 미래지향적이지는 않다고 여긴다. 여성은 남성을 보조하는 역할로만 생각하고 여성 개인의 삶을 추구하기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
물론 유교가 조상과 가문을 중요시하고 개인은 이를 위해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본래의 의미를 살핀다면 지엽적인 부분만으로 유교의 전체라고 보아서는 안된다.
『예기』와 『가례』와 『사의』를 살펴보면서 여성을 귀하게 여겼지 결코 낮게 보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납채와 문명 그리고 청기에서 언제나 혼례의 의사와 채택의 여부는 여자 측에 달려있었다. 만약 여성을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이런 절차는 한쪽의 일방적인 의사대로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전안례에서 기러기를 남자가 예물로 들이는 것을 보면 기러기가 갖는 의미와 상징성 때문뿐만 아니라 여성을 존중하고 배우자로 맞이하는 예를 갖추어 그 비중을 실어 귀하게 여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가가 여성을 낮게 본다는 말은 잘못된 것이다. 조선조 후기의 한 시점에 매여서 여성의 의미를 왜곡할 것이 아니라 본래의 의미를 잘 살펴야 할 것이다. 물론 시대가 흐르면서 모습은 변화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본래의 좋은 의미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명목에만 묶여 경직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오늘날과 같이 이성과의 교제가 자유롭고 혼례의 의미가 약해진 시점에서 전통 유가의 혼인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절차를 통하여 서로 공경하여 가정의 기반을 튼튼히 하고 유대관계를 긴밀히 할 필요가 있다.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형과 아우간의 가족 관계의 울타리는 사회의 기틀이 된다. 이 기틀이 바르게 된다면 사회는 바로서고 나라는 기강이 튼튼해진다. 그 바탕의 시초는 바로 혼인이기 때문에 혼인의 절차를 쉽게 행해서는 안 된다. ‘전통혼례’를 시대별로 살펴보더라도 유가의 의미를 다시 긍정적인 방식으로 받아들여 새롭게 모색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인은 유가의 예의 근원인 『예기』를 살펴 그 본래 의미를 따져보았고 조선의 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영향력을 가했던 『주자가례』를 객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 말기의 『사의』를 살펴보면 당시의 풍습과 의식을 비교해 보았다. 특히 『사의』는 시대의 흐름과 전통 유가를 절충하였던 모습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고 생각된다. 조선 말기를 거쳐 일제강점기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물밀듯이 밀려오는 서양의 문화 앞에 우리 문화는 격변기를 거쳤다. 이런 격변기를 거치면서 우리 스스로 전통 문화를 배타적 . 부정적인 의식으로 여기었다. 그리고 우리 문화보다 서양의 문화를 동경하기에 이르렀다. 혼례의 모습을 살펴보더라도 이런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결혼식장에서 예식을 주로 치루고 전통혼례를 번거롭다로 여겨 패백만을 치루는 오늘의 모습에서도 여실히 잘 드러난다. 그러나 전통혼례의 절차가 주는 좋은 의미를 살려 계승한다면 보다 나은 혼례문화를 만들 수 있다.
예전에는 가족과 가문을 중시하였다. 혼례가 당사자의 일임에도 불구하고 가문의 결합이 더 중요하였다. 현대의 개인의 행복 추구의 상황에서 간편함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지나친 개인주의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유가의 가족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통시대에는 개인의 삶은 전체를 위해서 감내해야했었고 지금은 부모의 권위가 사라지고 가문의 결속력도 사라져가고 있다. 혼례에 있어서도 부모의 의사보다 당사자들의 의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혼례는 전보다 간략해지고 사람들이 많이 올 수 있는 날로 혼례날을 택한다. 이는 의미보다는 현실의 편리함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행사위주로 혼례가 이루어지고 정작 뜻 깊은 서부모례와 초자례·초녀례와 같은 절차는 생략해버린다. 이런 절차를 생략하고 넘어가기보다는 가정에서 간단하게나마 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시대가 흐르지만 부현구고의 절차는 변함없이 내려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폐백을 마치고 신부의 부모께 신랑 . 신부가 함께 절을 드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부현구고는 전통혼례의 절차에서 현묘 다음으로 행하였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서현부당이 점차적으로 부현구고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오늘날에 와서 시대와 맞게 변화되는 모습이다. 본인은 이런 변화하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여성의 지위가 사회적으로 인정되어 가기 때문에 신부의 부모도 절을 받는 것이다. 시대가 변하지만 그 의미를 잃지 않고 상황과 조절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오늘날 전통혼례는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현행 성균관의 전통혼례는 우리 전통이 갖는 의미를 잘 정비하고 현실에 맞게 혼례 절차를 잘 이끌어 오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행 성균관의 전통 혼례가 갖고 있는 의미가 크다. 지금의 이러한 분위기를 잘 살려 전통 혼례의식의 인식을 새롭게 바꿔 시대와 맞게 계승·발전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at an important meaning a traditional wedding had and how two different families of the wedding were united by a wedding in a traditional times, which made us realize the true meaning of a wedding in our society as comparing a current wedding with a tra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at an important meaning a traditional wedding had and how two different families of the wedding were united by a wedding in a traditional times, which made us realize the true meaning of a wedding in our society as comparing a current wedding with a traditional.
For this study, 『Yaeki (禮記)』 and 『Chu-tzu's Karae (朱子家禮)』 from China, 『Hujeon's Saeui (許傳-士儀)』, a rewrite from the origin of China, which all were written about wedding rites, and Sungkungan's traditional wedding practice of today were roughly reviewed to analyz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wedding.
According to the data, It showed that the wedding in Chosun dynasty had some political intention both to rule the country and to maintain the already-made class system so that the process of wedding was recognized as a kind of systemized rite of passage to unite the partner's families, which allowed them to be a member of both families in law.
In the process to know each other in precision and to estimate how much one side of the marriage respects the other, they made it a rule that both families must go through the six important rites of passage in the wedding: 1) groom's asking for marriage to the bride's side with two wild geese meaning a symbolic good marriage life, 2) identification of the bride's mother in order to show a qualification of the bride to be a member of the groom family, 3) sending of the groom's birth date to bride's family to have a likely couple's fortune told. 4) delivering of some wedding presents from a future mother-in-law to the bride family for the agreed wedding, 5) asking for a good day for the wedding to the bride's family, and 5) groom's going to the bride's house for wedding. All of these process were formally initiated by the groom's side but accepted and allowed by the bride's as a formality at a wedding for both side's equal respect.
『Chu-tzu's Karae (朱子家禮)』 was introduced in late Korea dynasty, and, in the following Chosun dynasty, it was used as a powerful base to become a father-oriented society as well as to empower the eldest son of legal wife to have a preferencial right in all family inheritance, and it was finally developed to the governing system to maintain that society, which, from that time on, focused more on the social status rather than the happiness of wedding partners for both families.
Hujeon, a famous confucius schola who lived in late Chosun times and put the Chinese ritual books into 『Saeui(士儀)』 suitable for his society, said in his work, 'Wedding is the only thing to decide the order of a man and an woman, and everything comes out from the wedding.' So, his opinion on the wedding was strongly chosen and practiced as the highest moral excellence to keep up for the human beings and social survival in the Confucianism-dominated era.
Sungkungwan's current traditional wedding has well been maintained up to date in spite of the western cultural invasion on the modern korean society. So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work out the value of our traditional wedding culture and try to match it to our spiritual culture for the better marriage life.
In this paper, therefore, the comparision and analysis among 『Yaeki-Honeui(禮記-昏義)』, 『Chu-tzu's Karae- Honrae (朱子家禮-昏禮)』, 『Saeui-Tungsi (士儀-正始)』, and the recent Sungkungwan's wedding was performed to review the change of wedding rites first, and then the result of the study was intended to show the future desirable wedding culture to us.
In conclusion, this paper was aimed to let us know the importance of the wedding so that it was put forward to return our current wedding process to a productive and meaningful rite in our societ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what an important meaning a traditional wedding had and how two different families of the wedding were united by a wedding in a traditional times, which made us realize the true meaning of a wedding in our society as comparing a current wedding with a traditional.
For this study, 『Yaeki (禮記)』 and 『Chu-tzu's Karae (朱子家禮)』 from China, 『Hujeon's Saeui (許傳-士儀)』, a rewrite from the origin of China, which all were written about wedding rites, and Sungkungan's traditional wedding practice of today were roughly reviewed to analyze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wedding.
According to the data, It showed that the wedding in Chosun dynasty had some political intention both to rule the country and to maintain the already-made class system so that the process of wedding was recognized as a kind of systemized rite of passage to unite the partner's families, which allowed them to be a member of both families in law.
In the process to know each other in precision and to estimate how much one side of the marriage respects the other, they made it a rule that both families must go through the six important rites of passage in the wedding: 1) groom's asking for marriage to the bride's side with two wild geese meaning a symbolic good marriage life, 2) identification of the bride's mother in order to show a qualification of the bride to be a member of the groom family, 3) sending of the groom's birth date to bride's family to have a likely couple's fortune told. 4) delivering of some wedding presents from a future mother-in-law to the bride family for the agreed wedding, 5) asking for a good day for the wedding to the bride's family, and 5) groom's going to the bride's house for wedding. All of these process were formally initiated by the groom's side but accepted and allowed by the bride's as a formality at a wedding for both side's equal respect.
『Chu-tzu's Karae (朱子家禮)』 was introduced in late Korea dynasty, and, in the following Chosun dynasty, it was used as a powerful base to become a father-oriented society as well as to empower the eldest son of legal wife to have a preferencial right in all family inheritance, and it was finally developed to the governing system to maintain that society, which, from that time on, focused more on the social status rather than the happiness of wedding partners for both families.
Hujeon, a famous confucius schola who lived in late Chosun times and put the Chinese ritual books into 『Saeui(士儀)』 suitable for his society, said in his work, 'Wedding is the only thing to decide the order of a man and an woman, and everything comes out from the wedding.' So, his opinion on the wedding was strongly chosen and practiced as the highest moral excellence to keep up for the human beings and social survival in the Confucianism-dominated era.
Sungkungwan's current traditional wedding has well been maintained up to date in spite of the western cultural invasion on the modern korean society. So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work out the value of our traditional wedding culture and try to match it to our spiritual culture for the better marriage life.
In this paper, therefore, the comparision and analysis among 『Yaeki-Honeui(禮記-昏義)』, 『Chu-tzu's Karae- Honrae (朱子家禮-昏禮)』, 『Saeui-Tungsi (士儀-正始)』, and the recent Sungkungwan's wedding was performed to review the change of wedding rites first, and then the result of the study was intended to show the future desirable wedding culture to us.
In conclusion, this paper was aimed to let us know the importance of the wedding so that it was put forward to return our current wedding process to a productive and meaningful rite in our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