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관음 신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의 목소리를 찾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곧 ‘남성 저자인 일연이『삼국유사』에서 관음을 여성 이미지로 나타낸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진다.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를 보면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은 여성들에게 매우 이상적이고 표본적인 역할을 제공한다. 하지만 『삼국유사』를 기술한 일연이 남성이기 때문에 관음 신화에 남성 저자의 가치관 개입을 간과할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관음 신화의...
이 논문은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관음 신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의 목소리를 찾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곧 ‘남성 저자인 일연이『삼국유사』에서 관음을 여성 이미지로 나타낸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진다.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를 보면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은 여성들에게 매우 이상적이고 표본적인 역할을 제공한다. 하지만 『삼국유사』를 기술한 일연이 남성이기 때문에 관음 신화에 남성 저자의 가치관 개입을 간과할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관음 신화의 표층의 의미와 심층의 의도를 밝혀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삼국유사』를 주요 텍스트로 선택한 이유는 첫째, 저자가 승려이자 남성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려사회의 지배적 분위기와 남성저자의 의도가 어떻게 개입되어 있는지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관음 신화에서 관음이 여성으로 등장하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관음의 여성성을 부각시킨 이유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삼국유사』 속의 관음 신화에는 여성에 대한 이중적 이미지가 공존한다. 즉 여성은 남성에게 숭배의 대상이자 배타적 존재이다. 이를 통해 남성에 의해 재생산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논의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의식과 관음 신화 분석의 틀을 이야기하고 있다. 기존의 신화연구에서 신화는 성스러운 이야기이고, 인간이 사는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회 현상이나 질서에 근거와 힘을 실어준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관음 신화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신화 연구와는 다른 이야기를 한다. 신화는 단순히 성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라 역사적 의도와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다. 따라서 관음 신화 속에 있는 이데올로기를 밝혀낼 것이며, 이는 신화 속에서 남성 저자의 의도를 밝혀내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2장에서는 관음이 역사적으로 여성화 혹은 여신화가 되어가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관음의 여신화는 역사적 전환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불교가 처음 발생한 인도에서는 남신이었으나,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토착 여신과 습합되어 여신의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여신화된 관음이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삼국시대를 거쳐 『삼국유사』가 쓰인 고려시대까지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알아보는 것은 관음 신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3장과 4장은 관음 신화에 대한 실질적인 분석으로 관음 신화 텍스트를 분석한다. 웬디 도니거의 복화술 개념을 이용하여 남성 텍스트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텍스트 심층에 있는 남성의 이중적 시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루스 링컨의 ‘친화성’과 ‘소외’ 개념을 통해 어떻게 남성 집단이 신화를 통해 여성을 물신화하는지 볼 수 있고, 이데올로기적 설득을 통해 관음 신화 속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별이 자연적인 것으로 설명되는지를 밝혀본다. 지금껏 『삼국유사』 속의 관음 신화를 통해 드러난 여성의 역할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표면적인 이미지일 뿐이고, 이 논문에서는 심층에 들어있는 남성 저자의 의도와 그 의도를 설득해 가는 이데올로기적 방식을 살펴본다. 이와 같이 관음 신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신화를 재발견 할 수 있고, 이후에 다양한 신화들과 비교 분석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 논문은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 글은 관음 신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의 목소리를 찾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곧 ‘남성 저자인 일연이『삼국유사』에서 관음을 여성 이미지로 나타낸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진다. 『삼국유사』 속 관음 신화를 보면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은 여성들에게 매우 이상적이고 표본적인 역할을 제공한다. 하지만 『삼국유사』를 기술한 일연이 남성이기 때문에 관음 신화에 남성 저자의 가치관 개입을 간과할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관음 신화의 표층의 의미와 심층의 의도를 밝혀내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삼국유사』를 주요 텍스트로 선택한 이유는 첫째, 저자가 승려이자 남성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고려사회의 지배적 분위기와 남성저자의 의도가 어떻게 개입되어 있는지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관음 신화에서 관음이 여성으로 등장하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관음의 여성성을 부각시킨 이유를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삼국유사』 속의 관음 신화에는 여성에 대한 이중적 이미지가 공존한다. 즉 여성은 남성에게 숭배의 대상이자 배타적 존재이다. 이를 통해 남성에 의해 재생산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논의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의식과 관음 신화 분석의 틀을 이야기하고 있다. 기존의 신화연구에서 신화는 성스러운 이야기이고, 인간이 사는 현실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회 현상이나 질서에 근거와 힘을 실어준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 관음 신화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신화 연구와는 다른 이야기를 한다. 신화는 단순히 성스러운 이야기가 아니라 역사적 의도와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담고 있다. 따라서 관음 신화 속에 있는 이데올로기를 밝혀낼 것이며, 이는 신화 속에서 남성 저자의 의도를 밝혀내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2장에서는 관음이 역사적으로 여성화 혹은 여신화가 되어가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관음의 여신화는 역사적 전환 속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불교가 처음 발생한 인도에서는 남신이었으나,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토착 여신과 습합되어 여신의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 이렇게 여신화된 관음이 한국으로 들어오면서 삼국시대를 거쳐 『삼국유사』가 쓰인 고려시대까지 사회·문화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알아보는 것은 관음 신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3장과 4장은 관음 신화에 대한 실질적인 분석으로 관음 신화 텍스트를 분석한다. 웬디 도니거의 복화술 개념을 이용하여 남성 텍스트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통해 텍스트 심층에 있는 남성의 이중적 시각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루스 링컨의 ‘친화성’과 ‘소외’ 개념을 통해 어떻게 남성 집단이 신화를 통해 여성을 물신화하는지 볼 수 있고, 이데올로기적 설득을 통해 관음 신화 속에서 여성과 남성의 차별이 자연적인 것으로 설명되는지를 밝혀본다. 지금껏 『삼국유사』 속의 관음 신화를 통해 드러난 여성의 역할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표면적인 이미지일 뿐이고, 이 논문에서는 심층에 들어있는 남성 저자의 의도와 그 의도를 설득해 가는 이데올로기적 방식을 살펴본다. 이와 같이 관음 신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신화를 재발견 할 수 있고, 이후에 다양한 신화들과 비교 분석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femele image of Kuan-yin(觀音) in Samguk Yusa(三國遺事). Employed by mythological analysis, this examins what is implied in the text by the male author, Il-yeon(一然) who is a monk in 13 century. In the book, Kuan-yin incarnated into female proposes ideal mo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femele image of Kuan-yin(觀音) in Samguk Yusa(三國遺事). Employed by mythological analysis, this examins what is implied in the text by the male author, Il-yeon(一然) who is a monk in 13 century. In the book, Kuan-yin incarnated into female proposes ideal model to women. As seen previous, Samguk Yusa was written by male, the monk. Therefore this dissertation insists that a point of male's view intervene in Samguk Yusa. To search this work, in the this thesis, the chapter 1 presents a critical mind and methodology. E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myth as ideology; I think that in Samguk Yusa Kuan-yin's stories are the form of a myth. this maintenance differs from a established myth which looks at a sacred narrative and resource of human. The viewpoint is based on romantic mythology. However, this treatise asserts not that a myth is simply a sacred story but that it is a narrative to have a intention in. Accodingly, this will tend to shed light on the ideological intention and patriachal worldview of Kuan-yin stories in Samguk Yusa. The chapter 2 of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process with Kuan-yin having become feminization or goodness. Kuan-yin's feminiztion was achieved in a historical change. From the first, she was male in India. yet interoduced in China, she was converted into female. After this set of prosesses, Kuan-yin was transported from China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三國時代). Consequently, a change of Kuan-yin in Korea is bound to look into the context at that time. The Chapter 3, 4 analyze the text of Kuan-yin's myths in the concrete. applied to Wendy Doniger's ventriloquism theory, this treatise searches for woman's voices through the stories of Kuan-yin in Samguk yusa that appears in male's voice. It is the duplicate angles that men contain in the depths of their consciousness. This paper uses Bluce Lincoln' notions that are 'affinity' and 'estrangement'. These reveal ideologies in the text and expose sexual discrimination justified in a patriarchal system at that moment(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 merit of this thesis is to have considered existing studies for Kuan-yin's myths presented in Samguk Yusa critical.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has a important significance by exploring how male's pupose was embodied in a tex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femele image of Kuan-yin(觀音) in Samguk Yusa(三國遺事). Employed by mythological analysis, this examins what is implied in the text by the male author, Il-yeon(一然) who is a monk in 13 century. In the book, Kuan-yin incarnated into female proposes ideal model to women. As seen previous, Samguk Yusa was written by male, the monk. Therefore this dissertation insists that a point of male's view intervene in Samguk Yusa. To search this work, in the this thesis, the chapter 1 presents a critical mind and methodology. E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myth as ideology; I think that in Samguk Yusa Kuan-yin's stories are the form of a myth. this maintenance differs from a established myth which looks at a sacred narrative and resource of human. The viewpoint is based on romantic mythology. However, this treatise asserts not that a myth is simply a sacred story but that it is a narrative to have a intention in. Accodingly, this will tend to shed light on the ideological intention and patriachal worldview of Kuan-yin stories in Samguk Yusa. The chapter 2 of this dissertation describes the process with Kuan-yin having become feminization or goodness. Kuan-yin's feminiztion was achieved in a historical change. From the first, she was male in India. yet interoduced in China, she was converted into female. After this set of prosesses, Kuan-yin was transported from China to Korea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三國時代). Consequently, a change of Kuan-yin in Korea is bound to look into the context at that time. The Chapter 3, 4 analyze the text of Kuan-yin's myths in the concrete. applied to Wendy Doniger's ventriloquism theory, this treatise searches for woman's voices through the stories of Kuan-yin in Samguk yusa that appears in male's voice. It is the duplicate angles that men contain in the depths of their consciousness. This paper uses Bluce Lincoln' notions that are 'affinity' and 'estrangement'. These reveal ideologies in the text and expose sexual discrimination justified in a patriarchal system at that moment(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 merit of this thesis is to have considered existing studies for Kuan-yin's myths presented in Samguk Yusa critical.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has a important significance by exploring how male's pupose was embodied in a text.
Keyword
#관음 신화 여성 이데올로기 Kuan-yin myth female ventriloquism affinity estrangement Ideology 복화술 친화성 소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